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방자치의 이해

지방자치의 이해 (1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창호 崔昌浩 강형기 姜瑩基, 저
서명 / 저자사항
지방자치의 이해 / 최창호, 강형기 공저
발행사항
서울 :   三英社,   2011  
형태사항
326 p. : 삽화 ; 26 cm
ISBN
9788944502248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73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44454
005 20110426140911
007 ta
008 110425s2011 ulka 001c kor
020 ▼a 9788944502248 ▼g 93350
035 ▼a (KERIS)BIB000012355215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52.14 ▼2 22
085 ▼a 352.14 ▼2 DDCK
090 ▼a 352.14 ▼b 2011z1
100 1 ▼a 최창호 ▼g 崔昌浩 ▼0 AUTH(211009)35323
245 1 0 ▼a 지방자치의 이해 / ▼d 최창호, ▼e 강형기 공저
260 ▼a 서울 : ▼b 三英社, ▼c 2011
300 ▼a 326 p. : ▼b 삽화 ; ▼c 26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강형기 ▼g 姜瑩基, ▼e▼0 AUTH(211009)13144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14 2011z1 등록번호 1116212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14 2011z1 등록번호 1116212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형기(지은이)

현재 충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와 대통령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위원으로 일하면서 창조적 공무원을 육성하는 향부숙(鄕富塾)을 운영하고 있다. 1954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으며, 1984년 건국대학교에서 '시민참여의 결정요인'으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본 국립 이바라키대학에서 '시민참여론'과 '지방자치국제비교론'을 강의 했으며(조교수), 일본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정책대학원에서 창조도시론을 강의했다(객원교수). 충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과 행정대학원장,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과 명예회장, 대통령자문 행정쇄신위원회 실무위원, 대통령직속 중앙권한지방분권위원회 위원, 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 지방자치학(2010년: 2인 공저) 논어의 자치학(2006년, 비봉출판사, 출판윤리위원회 선정 5월의 책 : 북경대출판사에서 번역출간), 향부론(2002년, 비봉출판사, 한국지방자치학회 저술상), 관의논리 민의논리(1998년, 비봉출판사), 혁신과 진단- 지방자치경영-(1997년), 지방자치 가슴으로 해야 한다(2001년, 비봉출판사, 문광부 출판윤리위원회 선정 청소년 권장도서), 地域社會の構造と歷史(1996년 : 共著, 御茶の水書房) 등 역서 전자정부(2002년, 공역, 비봉출판사), 행정학의 이론과 역사(1987년, 편역), 공익과 사익(1986년, 공역)

최창호(지은이)

<지방자치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 자치여건편 
 제1부 지방자치의 기초적 이해 
  제1장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제1절 지방자치의 연구체계 = 29
   제2절 지방자치란 무엇인가 = 33
   제3절 지방자치의 득과 실 = 42
  제2장 지방자치의 발달과 동향
   제1절 지방자치의 발달 = 49
   제2절 지방자치의 현대적 경향 = 53
   제3절 한국 지방자치의 발달 = 58
   제4절 한국 지방자치의 현황 = 64
 제2부 지방자치단체와 자치업무
  제3장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제1절 지방자치구역 = 71
   제2절 일반지방자치단체 = 82
   제3절 특별지방자치단체 = 88
   제4절 자치제의 특례 = 92
  제4장 자치기능ㆍ사무
   제1절 지방자치권 = 99
   제2절 지방사무 = 108
   제3절 계층간 기능배분 = 114
   제4절 교육ㆍ경찰 기능 = 120
2. 자치운행편
 제3부 지방자치의 대의제 조직
  제5장 지방자치정부
   제1절 지방자치정부의 유형 = 133
   제2절 의결기관(지방의회) = 138
   제3절 집행기관(자치단체장과 교육감) = 147
   제4절 의결기관과 집행기관의 관계 = 154
  제6장 지방자치선거
   제1절 지방선거의 의의 = 160
   제2절 지방선거의 기조 = 163
   제3절 지방선거의 절차 = 166
   제4절 지방선거 부정의 방지 = 172
 제4부 지방자치의 민주적 경영
  제7장 주민의 자치참여
   제1절 지방주민의 지위와 권리 = 179
   제2절 주민의 직접참정 = 184
   제3절 주민참여 = 192
   제4절 주민의 정부통제(주민통제) = 204
  제8장 봉사적 자치행정
   제1절 자치행정과 지방공무원제 = 210
   제2절 행정서비스 = 215
   제3절 행정정보공개 = 224
   제4절 자치행정의 경영화 = 231
3. 자치제어편
 제5부 지방자치의 재정
  제9장 지방자치재정
   제1절 지방자치와 재정 = 241
   제2절 지방자치경비 = 247
   제3절 지방자치예산 = 252
   제4절 지방자치 재정력 = 255
  제10장 지방자치재원
   제1절 자주적 재원(자체재원) = 259
   제2절 의존적 재원(지방재원조정) = 264
   제3절 지방공기업 = 268
   제4절 지방자치재정의 확충방향 = 273
 제6부 지방자치의 광역적 협력
  제11장 중앙ㆍ지방간 관계
   제1절 정부간 관계와 집권ㆍ분권 = 281
   제2절 중앙ㆍ지방관계 모형과 상호의존 = 285
   제3절 국가ㆍ지방간 갈등관계 = 291
   제4절 지방에 대한 국가관여(중앙통제) = 294
  제12장 지방자치단체의 상호간 관계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대외괸계 = 299
   제2절 지역이기주의 = 304
   제3절 지방 상호간 갈등관계 = 309
   제4절 광역행정체계(협력관계) = 317
찾아보기 = 323

관련분야 신착자료

정창수 (2022)
김대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