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문법의 진화 : 시제, 상, 양태

문법의 진화 : 시제, 상, 양태 (Loan 8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ybee, Joan L. Perkins, Revere D. (Revere Dale), 저 Pagliuca, William, 저 박선자, 역 김문기, 역
Title Statement
문법의 진화 : 시제, 상, 양태 / Joan Bybee, Revere Perkins, William Pagliuca ; 박선자, 김문기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소통,   2010  
Physical Medium
xv, 501 p. ; 25 cm
Varied Title
(The) evolution of grammar :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ISBN
9788993454406
General Note
부록: 문법형태 범주 표본 추출 절차, 의미 표지, 언어 자료의 출처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77]-493)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 Grammaticalization Linguistic change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 Tense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 Aspect Tense and modality (Linguistics)
000 01520camcc2200397 c 4500
001 000045643622
005 20110421173221
007 ta
008 110419s2010 ulk b 001c kor
020 ▼a 9788993454406 ▼g 93700
035 ▼a (KERIS)BIB000012356676
040 ▼a 241008 ▼c 241008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a eng ▼h eng
082 0 4 ▼a 415 ▼2 22
085 ▼a 415 ▼2 DDCK
090 ▼a 415 ▼b 2010z4
100 1 ▼a Bybee, Joan L. ▼0 AUTH(211009)108499
245 1 0 ▼a 문법의 진화 : ▼b 시제, 상, 양태 / ▼d Joan Bybee, ▼e Revere Perkins, ▼e William Pagliuca ; ▼e 박선자, ▼e 김문기 옮김
246 1 9 ▼a (The) evolution of grammar : ▼b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260 ▼a 서울 : ▼b 소통, ▼c 2010
300 ▼a xv, 501 p. ; ▼c 25 cm
500 ▼a 부록: 문법형태 범주 표본 추출 절차, 의미 표지, 언어 자료의 출처
504 ▼a 참고문헌(p. [477]-493)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650 0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Grammaticalization
650 0 ▼a Linguistic change
650 0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Tense
650 0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Aspect
650 0 ▼a Tense and modality (Linguistics)
700 1 ▼a Perkins, Revere D. ▼q (Revere Dale), ▼e
700 1 ▼a Pagliuca, William, ▼e▼0 AUTH(211009)68831
700 1 ▼a 박선자, ▼e
700 1 ▼a 김문기, ▼e▼0 AUTH(211009)61489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10z4 Accession No. 11162109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1-01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10z4 Accession No. 1116210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Joan Bybee와 Revere Perkins, William Pagliuca가 함께 지은 The Evolution of Grammar(1994)를 우리말로 옮겼다.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것처럼 세계의 언어들에서 '시제, 상, 양태'의 문법범주들을 다룬다.

<문법의 진화>는 Joan Bybee와 Revere Perkins, William Pagliuca가 함께 지은 The Evolution of Grammar(1994)를 우리말로 옮긴 책이다. 이 책은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것처럼 세계의 언어들에서 '시제, 상, 양태'의 문법범주들을 다룬 것이다.
그렇다. 무관한 언어들의 범 언어적 교차 비교를 통하여 문법화를 밝힐 수 있다는 Bybee의 헤아림은 빼어난 슬기였다. 참조 문법들(reference grammars)로 수많은 언어에서 문법적인 범주들을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 한편으로 그는 문법화에 대한 통찰력을, 무관한 언어들의 범 언어적인 비교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종속적이고 인식적인 서법(moods)이 대개 굴곡적인 반면, 의무를 나타내거나 동작 주 지향적인 양태(modalities)는 대개 우언적인 표현을 취한다는 것을 찾아냄에(Bybee 1985) 기초하였다. 이에 대한 통시적인 해석은, 앞의 것이 문법화를 통해 뒤의 것으로 발달했다는 것이다. 그는, 우언적이고 굴절적인 표현을 지닌 다른 의미적 영역들에서 범주들이 고려된다면 유사한 통시적인 대응물이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기면서 = 3
머리말과 고마운 말씀 = 16
약호 = 21
제1장 이론적 배경 = 23
 1.1. 도입 = 25
 1.2. 이 연구의 목표 = 26
 1.3. 문법화 = 28
 1.4. 문법화 이론에 대한 일련의 가설 = 34
  1.4.1. 근원 결정 = 34
  1.4.2. 단일방향성 = 38
  1.4.3. 보편적 경로 = 41
  1.4.4. 초기 의미의 보존 = 42
  1.4.5. 의미적 유지의 결과 = 44
  1.4.6. 의미적 축약과 음운론적 축약 = 46
  1.4.7. 층위화 = 49
  1.4.8. 관련성 = 50 
 1.5. 가설 검증 = 51
 1.6. 의미적 변화의 기제 = 52
제2장 연구 방법 = 57
 2.1. 표본 추출의 절차 = 59
  2.1.1. 표본의 계층화 = 61
  2.1.2. 언어의 선택 = 64
 2.2. 2차 근원 사용의 결과 = 65
 2.3. 코딩할 형태의 선택 = 70
 2.4. 코딩 형태 = 74
 2.5. 의미의 코딩 = 77
  2.5.1. 쓰임의 구별 = 78
  2.5.2. 의미 표지의 부여 = 80
 2.6. 어휘적 근원 = 83
 2.7. 분석 = 83
제3장 선행상, 완료상 = 87 
 3.1. 의미 표지의 예비적 분류 = 90
 3.2. 정의 = 92
 3.3. 어휘적 근원 = 94
 3.4. 완성상 = 96
 3.5. 선행상 = 101
 3.6. 결과상 = 104
 3.7. 결과상에서 선행상으로 = 111
 3.8. 동적 동사 근원으로부터 온 선행상 = 113
 3.9. 상태 서술어와의 상호 작용 = 118
 3.10. 오래된 선행상 = 123
 3.11. 선행상에서 완료상과 단순 과거로 = 128
 3.12. 의존소에서 온 완료상 = 136
 3.13. 영 형태에서 온 완료상 = 139
 3.14. 완료상과 단순 과거의 차이 = 140
 3.15. 선행상의 증거가 되는 쓰임 = 146
 3.16. 원격성의 등급 = 149
 3.17. 형태/의미의 상관관계 = 157
제4장 문법화에 대한 양적인 접근 = 161
 4.1. 도입 = 163
 4.2. 음성적 축약 = 164
 4.3. 자율성의 소실 = 167
 4.4. 형태론적 유형론 = 174
 4.5. 언어 유형론에 대한 통제 = 179
 4.6. 인과율과 편견에 대한 검증 = 181
 4.7. 결론 = 183
제5장 진행상, 미완료상, 현재 그리고 관련된 의미 = 185
 5.1. 정의 = 187
 5.2. 진행상의 근원 = 190
 5.3. 진행상 의미 = 197
 5.4. 미완료상, 계속상, 진행상에 대한 Comrie의 분석 = 202
 5.5. 어휘적 제약 = 205
 5.6. 현재와 미완료상으로 진화하는 진행상 = 206
  5.6.1. 두 가지 현재 문법형태가 있는 언어의 함의 = 210
  5.6.2. 문법적 의미에 대한 이론의 함의 = 216
 5.7. 새로운 의미가 없는 새로운 형태 = 217
 5.8. 습관상 의미 = 219
  5.8.1. 습관상 문법형태 = 221
  5.8.2. 어휘적인 근원 = 223
  5.8.3. 발달의 다른 경로에서의 습관상 = 228
  5.8.4. 습관상과 관련된 결론 = 230 
 5.9. 반복상 = 231
 5.10. 계속상과 빈번상 = 235
 5.11. 중첩 = 238
 5.12. 결론 = 247
제6장 서법과 양태 = 251 
 6.1. 도입 = 253
 6.2. 양태의 유형 = 254
  6.2.1. 동작주 지향적 양태 = 254
  6.2.2. 화자 지향적 양태 = 256
  6.2.3. 인식적 양태 = 257
  6.2.4. 종속적인 서법 = 258
  6.2.5. 형태/의미의 일치 = 259
 6.3. 의무 = 259
  6.3.1. 어휘적 근원 = 260
  6.3.2. 의무의 유형 = 266
 6.4. 능력과 가능성 = 267
  6.4.1. 어휘적 근원 = 268
  6.4.2. 능력, 본원적 가능성, 그리고 허락 = 273 
 6.5. 동작주 지향적 양태에 대한 발달의 경로 = 276
 6.6. 동작주 지향적 의미와 인식적 의미 = 277
  6.6.1. 변화의 기제로서 은유와 추론 = 279
  6.6.2. 본원적 가능성에서 인식적 가능성으로 = 280
  6.6.3. 의무에서 개연성으로 = 283
  6.6.4. 문법형태 범주 표본에서의 의무 의미와 인식적 의미 = 287
  6.6.5. 문법형태 범주 표본에서의 본원적 가능성과 인식적 의미 = 289
 6.7. 가능성과 개연성 = 291
 6.8. 동작주 지향적 양태에서 화자 지향적 양태로 = 297
 6.9. 종속적 서법의 발달 = 300
  6.9.1. 보어절에서의 가정법 : should의 경우 = 302
  6.9.2. 보어절에서의 가정법 : 범언어적인 연구 = 307
 6.10. 부사절에서의 가정법 = 315
  6.10.1. 양보절 = 315
  6.10.2. 목적절 = 318
 6.11. 가정법에 대한 직설법 근원 = 321
 6.12. 비실제 = 328
 6.13. 결론 = 332
제7장 미래 = 337
 7.1. 정의 = 340
  7.1.1. 미래 = 340
  7.1.2. 가까운 미래 = 341
  7.1.3. 미래의 인식적 특질 = 345
  7.1.4. 한정적 미래와 비한정적 미래 = 346
  7.1.5. 예상된 미래 = 347
 7.2. 1차적 미래의 어휘적 근원 = 350
 7.3. 미래로의 경로 = 352
  7.3.1. 화자 지향적 양태 = 353
  7.3.2. 이동 동사에서 온 미래 = 369
  7.3.3. 시간 부사에서 온 미래 = 373
 7.4. 가까운 미래 = 374
 7.5. 명령법으로 쓰인 미래 = 377
 7.6. 미래에 대한 종속절 쓰임 = 378
 7.7. 상적인 미래 = 379
 7.8. 미래에서의 형태-의미 연계 변이 = 384
 7.9. 결론 = 385
제8장 의미적 변화의 기제 = 387
 8.1. 기제 = 389
 8.2. 은유 = 391
 8.3. 추론 = 394
 8.4. 일반화 = 399
 8.5. 조화 = 403
 8.6. 영 문법형태의 발달 = 403
 8.7. 제한된 영역을 지닌 더 오래된 문법형태 = 405
 8.8. 발달의 다른 단계에서의 변화의 기제 = 406
 8.9. 설명 = 407
 8.10. 공시적 분석과 언어 간 비교에 대한 함축 = 411
 8.11. 시제, 상, 양태 = 412
부록 = 415
 [부록 A] 문법형태 범주 표본 추출 절차 = 417
  Ⅰ. 표본 추출 대상 = 417
  Ⅱ. 언어들의 전체 영역에 대한 기술적 배경 = 419
  Ⅲ. 표본 추출의 정의 = 420
  Ⅳ. 절차 = 423
 [부록 B] 의미 표지 = 430
 [부록 C] 언어 자료의 출처 = 441 
문법형태 범주 표본에 대한 참조 자료 = 465
참고 문헌 = 477
찾아보기 = 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