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24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643595 | |
005 | 20110421110827 | |
007 | ta | |
008 | 110419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7268575 ▼g 93700 | |
035 | ▼a (KERIS)REQ000018585171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01/.93 ▼2 22 |
085 | ▼a 401.93 ▼2 DDCK | |
090 | ▼a 401.93 ▼b 2011 | |
100 | 1 | ▼a Tomasello, Michael ▼0 AUTH(211009)46123 |
245 | 1 0 | ▼a 언어의 구축 : ▼b 언어 습득의 용법 기반 이론 / ▼d Michael Tomasello 저 ; ▼e 김창구 역 |
246 | 1 9 | ▼a Constructing a language : ▼b a usage-based theory of language acquisition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1 | |
300 | ▼a 540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71-518)과 색인수록 | |
650 | 0 | ▼a Language acquisition |
650 | 0 | ▼a Cognition in children |
700 | 1 | ▼a 김창구,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93 2011 | Accession No. 11162098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12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93 2011 | Accession No. 1116209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마이클 토마셀로(지은이)
독일의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공동 소장을 맡고 있는 세계적인 영장류학자이다. 심리학을 전공하고 영장류의 인지능력과 문화가 인간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는 연구 및 아이들의 언어 습득에 관한 연구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인지과학과 심리철학에 중요한 기여를 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장 니코드 상Jean Nicod Prize’ 외에 다수의 학술상을 수상했으며, 세계적으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다학제적 연구자로 인정받는다. 사회성과 협력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사회적 인지능력의 기원을 연구했으며, 영장류의 인지 과정의 이해에 큰 기여를 했다. 구겐하임 재단, 영국 아카데미, 네덜란드 왕립아카데미, 독일 국립과학아카데미 등에서 과학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지은 책으로 《생각의 기원A Natural History of Human Thinking》을 비롯해 《이기적 원숭이와 이타적 인간Why We Cooperate》, 《인간의 의사소통 기원Origins of Human Communications》, 《인간 인지의 문화적 기원The Cultural Origins of Human Cognition》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용법 기반 언어학 = 7 제2장 언어의 기원 = 17 2.1. 계통 발생적 기원 = 18 2.2. 개체 발생적 기원 = 33 2.3. 아이의 초기 발화 = 49 2.4. 요약 = 63 제3장 단어 = 67 3.1. 초기 단어와 사용 = 69 3.2. 단어 학습 프로세스 = 89 3.3. 단어 학습 이론 = 122 3.4. 요약 = 135 제4장 초기 통사 구문 = 139 4.1. 구문의 성질 = 145 4.2. 초기 구문의 섬 = 166 4.3. 통사 역할의 표시 = 185 4.4. 요약 = 206 제5장 추상적 통사 구문 = 209 5.1. 추상적 구문 = 212 5.2. 구문의 구축 = 234 5.3. 구문의 제약 = 254 5.4. 통사 발달 이론 = 263 5.5. 요약 = 278 제6장 명사구 구문과 절 구문 = 283 6.1. 지시 대상과 명사구 = 288 6.2. 서술과 절 = 307 6.3. 형태소 학습 = 334 6.4. 요약 = 347 제7장 복문 구문과 담화 = 351 7.1. 복문 구문 = 353 7.2. 대화와 이야기 = 384 7.3. 요약 = 402 제8장 생물학적, 문화적, 개체 발생적 프로세스 = 405 8.1. 이중적 계승 = 407 8.2. 습득의 심리언어학적 프로세스 = 423 8.3. 산출의 심리언어학적 프로세스 = 437 8.4. 언어 표상의 발달 = 450 8.5. 요약 = 458 제9장 언어 습득의 심리학적 접근 = 461 참고문헌 = 471 감사의 말 = 519 역자 후기 = 521 찾아보기 = 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