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초ㆍ중등학교 교과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방안 연구

초ㆍ중등학교 교과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방안 연구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구향, 연구책임 김현미, 연구 이순영, 연구 최병택, 연구 정지은, 연구
서명 / 저자사항
초ㆍ중등학교 교과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방안 연구 / 민용성 연구책임 ; 정구향 [외] 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형태사항
xv, 463 p.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RRC 2010-13
ISBN
9788963135830
일반주기
연구: 정구향, 김현미, 이순영, 최병택, 정지은  
서지주기
참고문헌(p. 321-328)과 부록수록
000 01308namcc2200397 c 4500
001 000045643088
005 20120609104009
007 ta
008 110415s2010 ulk b 000c kor
020 ▼a 9788963135830 ▼g 93370
040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5.006 ▼2 22
085 ▼a 375.006 ▼2 DDCK
090 ▼a 375.006 ▼b 1998a ▼c RRC2010-13
245 0 0 ▼a 초ㆍ중등학교 교과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방안 연구 / ▼d 민용성 연구책임 ; ▼e 정구향 [외] 연구
246 1 1 ▼a (A) study on enhancing appropriateness of subject cont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260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0
300 ▼a xv, 463 p. ; ▼c 26 cm
490 1 0 ▼a 연구보고 ; ▼v RRC 2010-13
500 ▼a 연구: 정구향, 김현미, 이순영, 최병택, 정지은
504 ▼a 참고문헌(p. 321-328)과 부록수록
700 1 ▼a 정구향, ▼e 연구책임 ▼0 AUTH(211009)75932
700 1 ▼a 김현미, ▼e 연구
700 1 ▼a 이순영, ▼e 연구
700 1 ▼a 최병택, ▼e 연구
700 1 ▼a 정지은, ▼e 연구
830 0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 2010-13
900 1 0 ▼a Min, Yong-seong, ▼e 연구책임
900 1 0 ▼a Jeong, Koo-hwyang, ▼e 연구
900 1 0 ▼a Kim, Hyun-mi, ▼e 연구
900 1 0 ▼a Lee, Soonyoun, ▼e 연구
900 1 0 ▼a Choe, Byongtek, ▼e 연구
900 1 0 ▼a Jung, Ji-eun, ▼e 연구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006 1998a RRC2010-13 등록번호 1116218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표제지

머리말

연구요약

목차

Ⅰ. 서론 2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2. 연구 내용 26

가.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구안 26

나.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분석 및 개선 방안 27

다.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구안 27

라.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27

3. 연구 방법 28

가. 문헌 연구 28

나. 전문가 의견 조사 28

다. 설문 조사 29

라. 전문가 협의회 29

마. 워크숍 29

Ⅱ.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관련 선행 연구 분석 30

1.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의 의미 분석 32

가. 교육 내용의 의미 32

나. 교육 내용 ‘적합성’의 의미 34

다.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의 의미 37

2. 교과별 교육 내용 적합성 관련 선행 연구 분석 39

가. 교육 내용의 준거 관련 선행 연구 분석 39

나. 국어과 교육 내용 관련 선행 연구 분석 42

다. 사회과 교육 내용 관련 선행 연구 분석 49

3. 교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시사점 55

Ⅲ.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구안 60

1.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구안 방법 및 절차 62

2.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안) 개발 및 타당성 검토 63

가. 1차 전문가 의견 조사 검토 관점 및 결과 65

나. 2차 전문가 의견 조사 검토 관점 및 결과 69

다. 3차 전문가 의견 조사 검토 관점 및 결과 72

라. 국어과 및 사회과 교육 내용 적합성 준거 구안을 위한 전문가 협의 내용 및 결과 76

3. 초ㆍ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79

Ⅳ. 국어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분석 및 개선 방안 90

1. 국어과 교육 내용 적합성에 대한 설문 조사 92

가. 설문 조사 방법 및 내용 92

나. 설문 분석 결과 95

2. 국어과 교육 내용 적합성에 대한 질적 분석 105

가. 분석 방법 및 절차 105

나. 분석 결과 107

3. 국어과 교육 내용 적합성 관련 외국의 교육과정 분석 152

가. 미국 152

나. 영국 159

다. 독일 165

라 . 프랑스 171

마. 일본 179

4. 국어과 교육 내용 적합성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 및 개선 방안 184

가. 내용의 선정 185

나. 내용의 조직 186

다. 내용의 구현 188

Ⅴ. 사회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분석 및 개선 방안 190

1. 사회과 교육 내용 적합성에 대한 설문 조사 192

가. 설문 조사 방법 및 내용 192

나. 설문 분석 결과 194

2. 사회과 교육 내용 적합성에 대한 질적 분석 204

가. 분석 방법 및 절차 204

나. 분석 결과 206

3. 사회과 교육 내용 적합성 관련 외국의 교육과정 분석 242

가. 미국 242

나. 영국 248

다. 독일 255

라. 프랑스 261

마. 일본 265

4. 사회과 교육 내용 적합성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 및 개선 방안 272

가. 내용의 선정 272

나. 내용의 조직 275

다. 내용의 구현 277

Ⅵ.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280

1.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의 구안 절차 282

가. 전문가 의견 조사 283

나. 적합성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워크숍 283

다. 전문가 자문회의 284

2.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내용 및 결과 285

가. 1차 의견 조사 285

나. 2차 의견 조사 286

다. 3차 의견 조사 291

3.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워크숍 및 자문회의 298

가. 워크숍 내용 및 결과 298

나. 자문회의 내용 및 결과 303

4. 초ㆍ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305

가. 국가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 305

나.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 310

Ⅶ. 요약 및 정책 제언 312

1. 요약 314

가.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관련 선행 연구 분석 314

나.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구안 316

다. 국어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분석 및 개선 방안 317

라. 사회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분석 및 개선 방안 322

마.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안 327

2. 정책 제언 330

참고문헌 342

Abstract 350

부록 354

[부록 1]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구안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1ㆍ2ㆍ3차) 356

[부록 2] 초ㆍ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제고 방법 및 절차 안 구안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1ㆍ2ㆍ3차) 371

[부록 3] 국어과 교육 내용에 대한 적합성 의견 조사 (초등학교 교사용, 중학교 교사용, 교수ㆍ전문가용) 392

[부록 4] 사회과 교육 내용에 대한 적합성 의견 조사 초등학교 교사용, 중학교 교사용, 교수ㆍ전문가용) 430

[부록 5] 국어과 교육 내용 설문 분석 결과 477

[부록 6] 사회과 교육 내용 설문 분석 결과 480

판권기 3

[표 Ⅲ-1] 적합성 준거 안 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참여 현황 63

[표 Ⅲ-2] 선행 연구 분석 및 전문가 집중 논의 결과 도출된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준거(안) 64

[표 Ⅲ-3] 1차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른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준거(안)의 수정ㆍ보완 사항 67

[표 Ⅲ-4] 2차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른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준거(안)의 수정ㆍ보완 사항 71

[표 Ⅲ-5] 3차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른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준거(안)의 수정ㆍ보완 사항 75

[표 Ⅲ-6] 국어과 전문가 협의회 참여 현황 77

[표 Ⅲ-7] 사회과 전문가 협의회 참여 현황 78

[표 Ⅲ-8] 초ㆍ중등학교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80

[표 Ⅲ-9] 국어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85

[표 Ⅲ-10] 사회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87

[표 Ⅳ-1] 국어과 설문 응답자 93

[표 Ⅳ-2] 국어과 설문 분석에서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준거 반영 현황 93

[표 Ⅳ-3]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어과 성격 규정에 대한 의견 95

[표 Ⅳ-4]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의 부합 정도 95

[표 Ⅳ-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해야 할 내용 97

[표 Ⅳ-6]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 내용의 학습량에 대한 의견 98

[표 Ⅳ-7]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영역별 교육 내용의 수준에 대한 의견 99

[표 Ⅳ-8]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구분에 대한 의견 100

[표 Ⅳ-9]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영역 구분 방식에 대한 의견 100

[표 Ⅳ-10] ‘담화(글, 언어, 자료, 작품)의 수준과 범위’ 제시 방식에 대한 의견 101

[표 Ⅳ-11] 각 ‘성취 기준’별 3~4개의 ‘내용 요소의 예’의 제시 방식에 대한 의견 101

[표 Ⅳ-12]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담화(글, 언어 자료, 작품)의 수준과 범위’와 ‘성취 기준’, ‘내용 요소의 예’ 제시의 명료성 102

[표 Ⅳ-13]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의 교과서, 교수ㆍ학습 자료 구현에 대한 의견 103

[표 Ⅳ-14]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의 목표 도달도 ‘평가’ 적절성 103

[표 Ⅳ-15] 교육 내용의 적합성 판단 고려 요소에 대한 의견 104

[표 Ⅳ-16] 국어과 공통핵심표준 교육과정의 체계(K-5학년) 154

[표 Ⅳ-17] 프랑스의 국어과 교육과정 주기별 교과목 및 시수 172

[표 Ⅳ-18] 일본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 체계 181

[표 Ⅴ-1] 사회과 설문 응답자 193

[표 Ⅴ-2] 사회과 설문 분석에서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준거 반영 현황 193

[표 Ⅴ-3] ‘내용’의 사회과 목표 부합성 195

[표 Ⅴ-4] ‘내용’의 학교급별 사회과 목표 부합성 195

[표 Ⅴ-5] 학습자의 내용 흥미도에 대한 사회과 교사 의견 196

[표 Ⅴ-6] 사회과 내용 중요도의 적절성 197

[표 Ⅴ-7] 사회과 양의 적절성 198

[표 Ⅴ-8] 사회과 수준의 적절성 199

[표 Ⅴ-9] 사회과 내용 연계의 적절성 200

[표 Ⅴ-10] 사회과 교육 내용 표현의 명료성 200

[표 Ⅴ-11]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대강화된 성취 기준 제시 방법의 개선점(복수응답) 201

[표 Ⅴ-12] 교수ㆍ학습 자료 또는 교재 구현 가능성 202

[표 Ⅴ-13] 성취 기준의 목표 도달 평가 도구로서의 적절성 202

[표 Ⅴ-14] 교육 내용의 적합성 판단 고려 요소 203

[표 Ⅵ-1] 적합성 제고 방안 구안을 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시기 및 대상 283

[표 Ⅵ-2] 워크숍 주제 발표 및 토론 현황 284

[표 Ⅵ-3] 전문가 자문회의 시기 및 대상 284

[표 Ⅵ-4] 국가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법 및 절차(초안) 287

[표 Ⅵ-5]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법 및 절차(초안) 288

[표 Ⅵ-6] 국가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법 및 절차(수정안) 291

[표 Ⅵ-7]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법 및 절차(수정안) 293

[표 Ⅵ-8] 국가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법 및 절차(최종안) 295

[표 Ⅵ-9]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법 및 절차(최종안) 296

[표 Ⅵ-10] 전문연구기관 중심의 국가 수준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 306

[표 Ⅵ-11] 교육과정심의회 중심의 국가 수준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 307

[표 Ⅵ-12] 통합형 국가 수준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 308

[표 Ⅵ-13]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 310

[그림 Ⅲ-1] 교과 교육 내용의 적합성 준거 구안 방법 및 절차 62

[그림 Ⅳ-1] 국어과 교육 내용 적합성 분석 절차 105

[그림 Ⅴ-1] 사회과 교육 내용 적합성 분석 절차 205

[그림 Ⅵ-1] 교과 교육 내용 적합성 제고 방안의 구안 방법 및 절차 282

[부록 5] 국어과 교육 내용 설문 분석 결과 477

[표-1]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어과 교육목표 제시 방식 477

[표-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가 부합하지 않는 이유 477

[표-3]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년군 도입시 학년별 내용 제시 방식 477

[표-4] ‘내용’을 몇 개 학년 단위로 묶어 제시할 경우 적절한 방식 478

[표-5]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편성 478

[표-6]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주당 수업 시수 478

[표-7]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ㆍ학습 방법’에 제시된 내용의 적절성 479

[표-8]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에 제시된 내용의 적절성 479

[표-9] 초등학교 1학년 입학생의 적절한 한글 학습 정도 479

[부록 6] 사회과 교육 내용 설문 분석 결과 480

[표-1]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영역별 하위 목표의 적절성 480

[표-2] 내용(성취 기준)의 양, 수준, 조직, 중요도, 흥미도 평가 480

[표-3] 학년별 내용 제시 방식의 적절성 483

[표-4] 현행 내용 조직 방법 중 개선이 필요한 부분 (복수응답) 484

[표-5]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년군 도입 시 세부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할 필요가 있는 학년(복수응답) 484

[표-6]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의견 48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