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16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642036 | |
005 | 20110421164837 | |
007 | ta | |
008 | 110412s2009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57331552 ▼g 94910 | |
020 | 1 | ▼a 9788957331200 (세트) |
035 | ▼a (KERIS)BIB000011678928 | |
040 | ▼a 243009 ▼c 243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2 ▼2 22 |
085 | ▼a 953.057 ▼2 DDCK | |
090 | ▼a 953.057 ▼b 2009z5 | |
100 | 1 | ▼a 허태용 |
245 | 1 0 | ▼a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 ▼x Sinocentrism and memory in late Joseon period / ▼d 허태용 지음 |
260 | ▼a 서울 : ▼b 아카넷, ▼c 2009 | |
300 | ▼a 279 p. ; ▼c 23 cm | |
440 | 0 0 | ▼a 한국의 젊은 지성 ; ▼v 011 |
504 | ▼a 참고문헌: p. 253-279 | |
536 | ▼a 이 저서는 2007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음 | |
900 | 1 0 | ▼a Huh, Tae-yong, ▼e 저 |
945 | ▼a KLPA | |
949 | ▼a Korean young intellect ; ▼v 011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115397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116197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116197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2120795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8-22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512932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115397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116197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116197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21207954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8-22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953.057 2009z5 | 등록번호 1512932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조선후기 역사학의 자국사 인식을 당시 중화론의 한 흐름으로 읽어낸 책이다. 조선후기 역사학에 있어,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역사성’이라는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근대의 시각이 강하게 투사되었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조선후기 역사학을 규정지은 구체적인 조건과 배경을 찾아보는 데 노력을 기울인다.
조선후기 역사학의 자국사 인식을 당시 중화론의 한 흐름으로 읽어낸 책이다. 이 책은 조선후기 역사학에 있어,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역사성’이라는 부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근대의 시각이 강하게 투사되었다는 한계를 지적하고, 조선후기 역사학을 규정지은 구체적인 조건과 배경을 찾아보는 데 노력을 기울인다.
이 과정에서 조선후기 역사인식의 주요한 특징으로 이해되는 북방고대사인식과 정통론 강화의 배경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명청교체를 거치면서 조선 지배층 인물들이 자기 존립 근거를 위해 형성한 중화회복의식과 중화계승의식의 전개가 놓여 있음을 확인한다. 근대의 민족주의와 조선후기의 역사인식을 단선적이고 목적론적으로 직접 연결해서 이해하였던 기존의 시각을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5 표 차례 = 10 일러두기 = 11 서론 = 13 제1장 임진왜란 이후 북방고대사의 재인식 1. 임진왜란의 발발과 특정한 역사의 기억 = 41 1) 조선전기의 고구려사 인식 = 41 2) 전쟁 속에서 부각된 기억들 = 47 2. 고구려사 기억의 유형과 연안성 전투 = 52 1) 명나라의 고구려 기억 = 52 2) 연안성 전투와 안시성의 기억 = 55 3. 고구려사 기억의 형상화 = 61 1) 후금의 위협과 확대된 고구려 영토의식 = 61 2) 역사서에 반영된 고구려사 = 69 제2장 중화회복의식의 형성과 북방고대사의 재해석 1. 명청교체 이후 중화회복의식의 형성 = 77 1) 북벌론의 사상적 기초 = 77 2) 특정한 기억과 정통론의 대두 = 85 2. 정통론의 영향과 적용 = 92 1) 정통론으로 해석된 과거 = 92 2) 정통론에 입각한 역사서의 편찬 = 97 3. 유교적 가치로 재해석된 고구려사 = 102 1) 을지문덕의 재해석 = 102 2) 영웅·충신으로 형상화된 안시성주 = 107 제3장 중화계승의식의 전개와 북방영토의식의 성장 1. 17세기 말 '중화회복'에서 '중화계승'으로의 전환 = 113 1) 북벌의 포기와 중화정체성의 발굴 = 113 2) 존주대의의 강화와 기념사업의 추진 = 121 2. 정통론과 기자 인식의 강화 = 134 1) 정통론의 강화와 적용 = 134 2) 기자 계보의 추적과 마한정통론 = 145 3. 북방위기의식의 고조와 북방영토의식 = 152 1) 영고탑회귀설과 안시성 전투의 집단기억 = 152 2) 연행의 공간 속에서 드러난 북방고대사 회고 = 161 제4장 중화계승의식의 강화와 실지회복의식의 등장 1. 18세기 후반 중화계승의식의 강화 = 171 1) 자존의식의 강화와 문화적 화이관의 성립 = 171 2) 청나라에 대한 재평가와 북학론의 형성 = 185 2. 중화계승자로서의 역사서 편찬 = 194 1)『존주휘편』과 중국 역사서의 편찬 = 194 2)『동사강목』에 드러난 반청의식 = 206 3. 영토의식의 확대와 북방 지역 개발 = 215 1) 안시성 전투에 대한 유교적 평가의 강화 =215 2) 백두산 정계비의 수립과 폐사군의 개발 = 223 4. 북방고대사인식의 체계화 = 230 1) 실지회복의식의 출현과『동사』의 편찬 = 230 2) 발해의 자국사 편입과『발해고』의 편찬 = 237 결론 = 245 참고문헌 =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