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기획의 이론과 기초
제1장 기획의 의의와 본질
제1절 기획의 의의 = 3
1. 기획의 개념 = 3
2. 기획의 관련개념 = 6
3. 기획의 기능 및 용도 = 9
4. 기획의 필요성 및 특성 = 10
5. 기획의 제약요인 = 12
제2절 기획의 발달과정 = 15
1. 기획제도의 전개과정 = 15
2. 기획의 발달요인 = 19
3. 기획관의 변천 = 21
4. 기획과 민주주의 = 22
제2장 기획의 분류와 접근방법
제1절 기획의 분류와 원칙 = 25
1. 기획의 유형 = 25
2. 효과적 기획의 원칙 = 31
제2절 기획의 한계와 수정전략 = 34
1. 기획의 위기상황 = 34
2. 기획의 수정전략 = 35
3. 계획집행의 접근방법 = 37
제3절 기획가의 역할 = 39
1. 기술자-행정가 = 39
2. 동원가 = 39
3. 중재자 = 40
4. 기업가 = 40
5. 창도자 = 40
6. 기타 역할들 = 41
제3장 기획철학
제1절 기획의 이념 = 45
1. 기획의 이념 = 45
2. 국가개입에 따른 이념 모형 = 51
제2절 기획과 합리성 = 55
1. 합리성의 개념 = 55
2. 합리성에 관한 이론 = 55
3. 합리적 기획의 제약요인 = 58
제3절 기획과 윤리 = 60
1. 윤리의 의의 = 60
2. 기획윤리의 내용 = 62
3. 기획가의 윤리규범 = 65
제4절 기획과 시민참여 = 66
1. 행정참여의 의의 = 66
2. 시민참여의 대두와 필요성 = 67
3. 참여방식의 유형 = 69
4. 참여의 실제적 수단 = 71
5. 참여의 문제점 및 제고방안 = 76
제2편 기획의 과정
제4장 기획과정의 개관
제1절 기획수립단계 = 83
1. 문제의 진단 = 84
2. 목표의 설정 = 85
3. 대안의 설계ㆍ탐색 및 비교ㆍ분석 = 89
4. 최종안의 선택 = 92
제2절 기획의 집행 = 95
1. 집행의 의의 = 95
2. 집행의 유형 = 96
3. 기획의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8
제3절 기획의 평가 = 100
1. 평가의 의의 = 100
2. 평가의 과정과 방법 = 101
제5장 미래의 예측
제1절 미래의 불확실성 = 105
1. 의의 = 105
2. 불확실성의 발생원인 = 106
3. 불확실성의 감소방안 = 107
제2절 미래예측의 개관 = 109
1. 미래예측의 의의 = 109
2. 미래예측기법 선정시 고려요인 = 111
3. 미래예측의 접근방법 = 113
제3절 정성적 접근방법 = 113
1. 델파이기법 = 114
2. 브레인스토밍 = 117
3. 브레인라이팅 = 118
제4절 정량적 접근방법 = 118
1. 비용편익분석과 비용효과분석 = 119
2. 시계열분석 = 127
3. 회귀분석 = 131
제5절 예비타당성조사제도 = 137
1. 예비타당성조사제도의 도입배경 = 137
2. 대상사업 및 조사내용 = 137
제6장 기획의 집행과 통제
제1절 정부기획기구 = 141
1. 의의 = 141
2. 정부기획기능의 배분 = 142
3. 정부기획기구의 기능 = 143
4. 정부기획기구의 형태 및 한국의 기획기구 = 143
제2절 행정법상의 행정계획 = 146
1. 의의 = 146
2. 행정계획의 종류 = 147
3. 행정계획절차 = 148
4. 행정계획과 권리구제제도 = 150
제3절 기획의 조정 = 151
1. 조정의 의의 = 151
2. 조정의 유형 및 원칙 = 152
3. 조정의 과정 = 153
4. 조정의 방법 = 154
5. 조정의 저해요인 = 156
제4절 기획의 통제 = 157
1. 관리통제의 의의 = 157
2. 관리통제의 원칙 = 160
3. 관리통제의 절차 = 162
제7장 기획의 평가
제1절 기획평가의 의의와 유형 = 171
1. 평가의 개념과 필요성 = 171
2. 평가의 목적과 유형 = 172
3. 평가의 한계 = 174
제2절 평가과정 = 177
1. 평가의 기준 = 177
2. 평가의 단계 = 178
제3절 프로그램 확인과 평가기준 = 180
1. 프로그램의 확인 = 180
2. 평가기준의 선정 = 180
제4절 평가기법의 설계 = 182
1. 과정평가 = 182
2. 영향평가 = 183
제5절 평가자료의 수집 = 184
1. 관찰법 = 184
2. 면접법 = 185
3. 질문지법 = 185
4. 사례연구법 = 187
제6절 정부업무평가제도 = 189
1. 심사평가제도 = 189
2. 정부업무평가제도 = 190
제7절 평가의 개선 = 192
제3편 기획의 계층과 유형
제8장 기획의 차원과 계층
제1절 기획의 차원과 계층의 구분 = 199
제2절 운영기획 = 201
1. 운영기획의 의의 = 201
2. 운영기획도구로서의 MBO = 203
제3절 정책기획 = 212
1. 정책기획의 의의 = 212
2. 공공정책의 성격 및 기능 = 213
3. 정책과정 = 215
4. 정책과정과 기획 = 217
5. 정책품질관리제도 = 222
제9장 전략적 기획
제1절 전략적 기획의 의의 = 227
1. 전략적 기획의 의의 = 228
2. 전략적 사고의 중요성 = 231
제2절 전략적 기획의 적용 = 233
1. 전략적 기획의 당위성 = 233
2. 전략적 기획의 전제로서의 환경분석 = 235
3. 전략적 기획의 과정 = 243
4. 전략적 기획의 제약요인과 확산요인 = 247
제10장 프로젝트 기획
제1절 프로젝트의 의의 = 253
제2절 프로젝트의 수명주기 = 255
1. 프로젝트 선택 = 256
2. 계획 = 257
3. 집행 = 258
4. 통제 = 258
5. 평가 = 259
6. 종료 = 260
제3절 프로젝트팀의 구조화 = 261
1. 동형적 팀구조 = 261
2. 전문적 팀구조 = 262
3. 이타적 팀구조 = 263
4. 외과수술 팀구조 = 264
제4절 프로젝트의 기획과정과 기법 = 266
1. 프로젝트 기획과 불확실성 = 266
2. 프로젝트 기획의 단계 = 268
3. 프로젝트의 일정계획과 통제기법 = 273
제11장 인적자원의 기획 : 인력기획
제1절 미래의 불확실성 = 285
1. 인력기획의 의의와 중요성 = 285
2. 인력기획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 288
제2절 인력기획과정 = 290
1. 조직의 전략적 방향설정 = 292
2. 인력의 분석 및 예측 = 294
3. 차이(gap)해소를 위한 종합적 인력관리방안의 수립 및 시행 = 296
4. 인력기획 시행결과의 평가 및 환류 = 299
제3절 인력예측방법 = 301
1. 인력수요예측방법 = 301
2. 인력공급예측방법 = 303
제4절 우리나라 인력기획의 문제점과 방향 = 305
제12장 물적자원의 기획 : 재정기획
제1절 중기재정계획 = 309
1. 중기재정계획의 개념 = 309
2. 중기재정계획의 목적 = 310
3. 중기재정계획의 기능 = 311
4. 중기재정계획의 기대효과 = 313
5. 중기재정계획의 한계 = 314
제2절 우리나라의 중기재정계획 = 315
1. 중기재정계획의 연혁 = 315
2. 중기재정계획의 수립절차 = 317
3. 연동계획 = 318
4. 주요 업무계획 = 319
5. 중기재정계획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320
제3절 기획과 예산 = 322
1. 예산과 PPBS = 323
2. 기획과 예산의 괴리 = 325
3. 기획과 예산의 연계방안 = 328
제13장 지역계획ㆍ국가계획
제1절 지역계획 = 333
1. 지역계획의 의의 = 333
2. 지역계획의 유형과 지역발전 = 334
3. 지역계획의 한계 = 339
제2절 도시계획 = 340
1. 도시계획의 의의 = 340
2. 도시계획의 내용 = 344
제4편 기획의 실제
제14장 창의적 기획안의 작성
제1절 창의적 문제해결과 기획 = 353
1. 창의성의 의의 = 353
2. 창의성 발현의 과정 = 354
3. 문제해결의 의의 = 355
4. 창의적 집단의사결정의 기법 = 356
제2절 기획과 정보관리 = 364
1. 정보의 개념 = 364
2. 기획관리에 있어서 정보의 기능 = 365
3. 효율적 기획을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 = 366
제3절 기획과 지식관리 = 367
1. 지식관리의 의의 = 367
2. 지식의 유형 = 368
3. 효율적 기획을 위한 지식관리의 과정 = 369
제4절 기획안 작성의 실제 = 371
1. 문서의 요건 = 371
2. 문장구성의 원칙 = 373
3. 기획서의 작성 = 373
제15장 기획의 프리젠테이션
제1절 프리젠테이션의 의의 = 379
1. 프리젠테이션의 의의 = 379
2.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과정 = 380
3. 커뮤니케이션 장애의 극복과 원칙 = 382
제2절 프리젠테이션의 전제조건 = 383
1. 프리젠테이션 팀의 구성방식 = 383
2. 프리젠테이션의 전달양식 = 384
3. 프리젠테이션의 전제조건 = 385
제3절 프리젠테이션 자료의 작성과 활용 = 387
1. 시각자료의 작성 = 387
2. 시각디자인의 원리 = 388
3. 시각미디어매체의 활용 = 389
제4절 프리젠테이션의 준비와 실행 = 390
1. 프리젠테이션의 준비 = 390
2. 질의와 응답 = 393
제5절 기획의 PR = 395
1. PR의 의의 = 395
2. PR의 과정과 원칙 = 395
3. PR의 한계와 효과적인 PR방안 = 397
참고문헌 = 401
찾아보기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