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거시경제학 제4판

거시경제학 제4판 (6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준영
서명 / 저자사항
거시경제학 / 김준영
판사항
제4판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11  
형태사항
xvii, 580 p. : 삽화, 도표 ; 27 cm
총서사항
경제학총서
ISBN
9788918102269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720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40222
005 20110411105142
007 ta
008 110408s2011 ggkad 001c kor
020 ▼a 9788918102269 ▼g 93320
035 ▼a (KERIS)BIB000012363692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82 0 4 ▼a 339 ▼2 22
085 ▼a 339 ▼2 DDCK
090 ▼a 339 ▼b 2011
100 1 ▼a 김준영 ▼0 AUTH(211009)44922
245 1 0 ▼a 거시경제학 / ▼d 김준영
246 1 1 ▼a Macro economics
250 ▼a 제4판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11
300 ▼a xvii, 580 p. : ▼b 삽화, 도표 ; ▼c 27 cm
490 1 0 ▼a 경제학총서
500 ▼a 색인수록
830 0 ▼a 경제학총서 (法文社)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116205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116205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212083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212083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513000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116205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116205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212083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212083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9 2011 등록번호 1513000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글로벌화되고 있는 거시경제를 종합진단하고 이해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최근 거시경제학의 학문동향과 함께 다른 텍스트북에서 간단히 다루고 있는 경제성장과 경기변동 분야를 알기 쉽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였다. 나아가서 거시경제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 실물경제에 대한 현장감을 높이도록 「경제이슈」박스를 신설하고, 「사례분석」과 「주요 경제통계그래픽」을 첨가하였다.

경제위기 속에서 거시경제학은 끊임없이 진화해 왔다. 크고 작은 파고를 겪으면서 거시경제의 실상은 다양한 모습과 색깔로 물들여져 왔다.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세계경제의 글로벌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국내경제와 해외경제를 따로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공조화되고 있다. 영토상 지리적인 국경은 지도 위에 남아있지만 경제적으로 국경은 허물어지고 있다. 우리 경제의 최대 교역국이 중국으로 바뀌고, 중국으로부터 최대 무역흑자를 내고 있는 현실은 글로벌 경제를 피부로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거시경제학 제4판은 글로벌화되고 있는 거시경제를 종합진단하고 이해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었다. 국제간의 교역과 자본이동, 환율문제, 정책공조 그리고 경기변동파급 등 글로벌 시대의 변화하고 있는 경제지형도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본서의 제4판은 (i) 글로벌 경제에 대한 안목과 통찰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ii) 최근 거시경제학의 학문동향과 함께 다른 텍스트북에서 간단히 다루고 있는 경제성장과 경기변동 분야를 알기 쉽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였다. (iii) 나아가서 거시경제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 실물경제에 대한 현장감을 높이도록 「경제이슈」박스를 신설하고, 「사례분석」과 「주요 경제통계그래픽」을 첨가하였다. 거시경제학 제4판은 총 7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별로 주요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제1부에서는 거시경제학의 진화를 고전학파 → 케인즈학파 → 통화주의 → 합리적 기대 → 새 고전학파, 새 케인즈학파 순으로 체계적으로 짚어 볼 것이다. 아울러 거시경제의 실상을 글로벌 경제지형도와 함께 세계적인 경제위기 이후 재편되고 있는 경제질서를 G2, G20, 아시아 포커스, 한국경제 그리고 글로벌 임밸런스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점검하게 된다. 제2부에서 거시경제의 총수요 축을 상품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 그리고 국제수지 균형의 관점에서 개방경제로 확장시켜 살펴 볼 것이다. IS-LM-BP 곡선을 응용하여 거시경제의 총수요를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제3부에서는 거시경제의 총공급 축을 전통적인 관점과 새로운 관점에서 논의하게 된다. 가격과 임금의 신축성 여부를 둘러싸고 전개된 전통적인 관점의 총공급을 고전학파 공급관과 케인즈학파 공급관으로 나누어 점검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합리적 기대와 불완전한 정보를 반영시킨 루카스공급곡선과 노동의 기간 간 대체효과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관점의 총공급론을 집중 조명할 것이다. 거시경제의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거시경제의 균형은 경제정책과 함께 제4부에서 토의하게 된다. 현실경제에서 나타나는 가격?임금?이자율의 경직성과 불완전경쟁시장하에서 거시경제는 바람직한 균형상태에서 벗어나 있다. 왜 가격?임금?이자율이 경직적이게 되는지 새 케인즈학파의 답변을 짚어보자. 나아가서 시장 실패로 나타나는 바람직하지 못한 균형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 개방경제하의 경제정책 유효성도 다각도로 점검하게 될 것이다. 제5부에서는 경제가 장기적으로 왜 순환변동하며 성장하게 되는지를 종합적으로 짚어 본다. 특히 균형경기변동론으로서 화폐적 경기변동론과 실물적 경기변동론 그리고 국제적 경기변동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논의하게 된다. 앞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솔로 성장론과 신성장론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내생적 성장론에 초점을 둘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금융위기에서 경험했듯이 실물?금융?외환?부채 리스크로 경제안정이 위협받고 있다. 제6부에서는 경제안정의 논점을 실업과 인플레이션 그리고 정부부채에 두고 있다. 일자리 창출과 함께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대책, 그리고 필립스 곡선을 둘러싼 논쟁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다. 또한 선진권에서 불거지고 있는 국가채무의 안정된 관리와 경제적 효과도 짚어 볼 것이다.
거시경제는 마치 수많은 별들로 구성된 은하계와 같이 여러 부문으로 구성되어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움직이게 된다. 제7부에서 거시경제의 핵심부문인 소비와 투자, 화폐경제에서 화폐수요와 공급, 그리고 노동경제에서 노동수요와 공급이 어떤 요인에 의해서 어떻게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미시경제학적인 기반 위에서 파악하게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준영(지은이)

<거시경제학>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거시경제학 : 진화와 실상
 제1장 거시경제학의 진화 = 3
  1.1 거시경제학이란? = 4
  1.2 거시경제학의 발전 = 6
  요점정리 = 17
  연습문제 = 20
 제2장 거시경제의 실상 = 23
  2.1 거시경제의 실제순환 = 24
  2.2 글로벌 거시경제 실상 = 33
  요점정리 = 44
  연습문제 = 47
제2부 거시경제의 총수요 축
 제3장 총수요의 개념과 범주 = 51
  3.1 거시경제의 총수요란? = 52
  3.2 유효수요와 승수효과 = 53
  요점정리 = 58
  연습문제 = 59
 제4장 상품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 = 61
  4.1 상품시장의 균형: IS곡선 = 62
  4.2 화폐시장의 균형: LM곡선 = 65
  4.3 IS-LM모델의 균형 = 70
  [보론 1] IS곡선의 수식도출 = 72
  [보론 2] LM곡선의 수식도출 = 73
  [보론 3] IS-LM균형 = 73
  요점정리 = 74
  연습문제 = 76
 제5장 개방경제 확장 = 81
  5.1 환율결정과 변동 = 82
  5.2 이자율 평형설 = 86
  5.3 개방경제하의 상품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 = 91
  5.4 국제수지균형 곡선 도출 및 이동 = 92
  [보론 1] BP곡선의 수식도출 = 98
  요점정리 = 99
  연습문제 = 102
 제6장 총수요곡선: IS, LM, BP곡선의 응용 = 107
  6.1 총수요곡선 도출 및 이동 = 108
  6.2 총수요곡선의 거시경제적 함의 = 110
  요점정리 = 113
  연습문제 = 114
제3부 거시경제의 총공급 축
 제7장 전통적인 관점의 총공급 = 117
  7.1 전통적인 총공급 유형 = 118
  7.2 고전학파 총공급 = 119
  7.3 케인즈학파 총공급 = 123
  요점정리 = 125
  연습문제 = 126
 제8장 새로운 관점의 총공급 = 129
  8.1 루카스 공급곡선 = 130
  8.2 불완전정보하의 루카스공급곡선 응용 = 134
  8.3 불완전정보하의 국제적 총공급곡선 응용 = 135
  8.4 노동의 기간간 대체와 총공급 = 136
  요점정리 = 138
  연습문제 = 139
제4부 거시경제의 균형과 경제정책
 제9장 거시경제의 균형 = 143
  9.1 거시경제의 일반균형 = 144
  9.2 장단기 IS-LM 및 AD-AS 모델의 균형 = 144
  9.3 가격의 신축성과 경직성 = 146
  요점정리 = 148
  연습문제 = 149
 제10장 새 케인즈학파의 가격.임금.이자율 경직성 = 151
  10.1 새 케인즈학파 경제학의 배경과 특징 = 152
  10.2 가격의 경직성 = 154
  10.3 임금의 경직성 = 158
  10.4 이자율의 경직성과 신용할당 = 163
  요점정리 = 166
  연습문제 = 168
 제11장 금융정책 = 169
  11.1 경제정책 = 170
  11.2 금융정책의 수단 = 172
  11.3 금융정책의 지표와 중간목표 = 173
  11.4 금융정책의 전달경로 = 177
  11.5 금융정책 효과 = 179
  요점정리 = 186
  연습문제 = 191
 제12장 재정정책 = 195
  12.1 재정정책의 목표와 수단 = 196
  12.2 재정정책의 전달경로 = 197
  12.3 재정정책의 효과 = 198
  12.4 구축효과 = 201
  12.5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의 결합 = 203
  [보론 1] 장기적인 성장촉진정책 = 205
  [보론 2] 유동성 함정하의 경제정책효과 = 206
  [보론 3] 공급경제학 = 209
  요점정리 = 213
  연습문제 = 215
 제13장 개방경제와 경제정책 = 219
  13.1 개방경제의 대내외 균형 = 220
  13.2 소국개방경제하의 경제정책효과 = 223
  13.3 대국개방경제하의 경제정책효과 = 228
  13.4 개방경제의 경제정책제약 = 233
  [보론 1] 수용적 정책과 비수용적 정책 = 236
  [보론 2] 경제안정을 위한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의 유효성 논쟁 = 237
  요점정리 = 239
  연습문제 = 243
제5부 경기변동과 경제성장
 제14장 경기변동 = 251
  14.1 경기변동이란? = 252
  14.2 경기변동론의 발전 = 257
  14.3 균형경기변동론 = 263
  14.4 새 케인즈학파 경기변동론 = 283
  14.5 국제적 경기변동론 = 287
  요점정리 = 289
  연습문제 = 295
 제15장 경제성장 = 299
  15.1 경제성장의 의의 = 300
  15.2 경제성장론의 발전 = 301
  15.3 신고전학파의 경제성장론: 솔로 성장모형 = 303
  15.4 내생적 경제성장론 = 323
  15.5 경기변동과 경제성장의 연계 = 337
  요점정리 = 340
  연습문제 = 349
제6부 경제안정과 정부부채
 제16장 실업과 일자리 창출 = 355
  16.1 경제와 실업 = 356
  16.2 일자리 탐색 = 364
  16.3 일자리 매칭 = 368
  16.4 임금의 경직성, 이력 가설 및 실업 = 369
  16.5 고용 없는 성장과 일자리 만들기 = 374
  요점정리 = 378
  연습문제 = 382
 제17장 인플레이션 = 385
  17.1 인플레이션의 의의 = 386
  17.2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유형 = 387
  17.3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효과 = 396
  17.4 인플레이션 대책 = 403
  요점정리 = 411
  연습문제 = 415
 제18장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응용 = 417
  18.1 필립스곡선의 진화 = 418
  18.2 기대첨가 필립스곡선: 자연실업률가설 = 422
  18.3 합리적 기대와 필립스곡선 = 427
  18.4 필립스곡선을 둘러싼 쟁점 = 429
  18.5 최적정책의 시간비일관성 = 432
  요점정리 = 436
  연습문제 = 439
 제19장 정부부채와 국민경제 = 443
  19.1 정부부채와 재정적자 = 444
  19.2 정부부채의 측정 = 450
  19.3 정부부채의 지속가능성 = 453
  19.4 정부부채의 국민경제적 효과 = 455
  19.5 인플레이션 조세 = 465
  요점정리 = 468
  연습문제 = 472
제7부 거시경제부문별 이해
 제20장 소비와 저축 = 477
  20.1 케인즈의 소비론 = 478
  20.2 피셔의 2기간 소비모형 = 480
  20.3 케인즈 이후의 소비론 = 485
  20.4 소비론의 발전 = 491
  20.5 소비론의 재조명 = 494
  요점정리 = 498
  연습문제 = 500
 제21장 투자 = 505
  21.1 투자의 의의 = 506
  21.2 기업의 고정투자 = 508
  21.3 주택투자론 = 515
  21.4 재고투자론 = 516
  요점정리 = 519
  연습문제 = 522
 제22장 화폐의 수요와 공급 = 525
  22.1 화폐경제 = 526
  22.2 화폐공급 = 529
  22.3 화폐수요 = 534
  22.4 이자론 = 547
  22.5 화폐수요의 안정성과 정책효과 = 552
  요점정리 = 554
  연습문제 = 559
 제23장 노동시장 = 561
  23.1 노동수요 = 562
  23.2 노동공급 = 563
  23.3 노동시장의 균형 = 566
  23.4 기간간 대체가설과 실업 = 568
  요점정리 = 570
  연습문제 = 572
찾아보기 = 57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