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Ⅰ 행복한 소비
Chapter 1. 소비와 행복 = 3
1. 무엇을 위해 소비하는가? = 5
2. 무엇이 문제인가? = 8
1)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것은 행복이다 = 8
2) 소비자는 진정으로 존재에 유익한 것을 원하는가? = 9
3) 소비자는 행복한가? = 10
3. 무엇을 실천할 것인가? = 13
1) 소비시대의 일탈자 = 13
2) 행복한 삶을 위한 행동 지침들 = 16
4. 행복한 소비 = 18
Chapter 2.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과 행복 = 23
1.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소비를 하면 행복한가? = 25
1) 소비의 사회적 책임이란? = 25
2)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소비와 행복 = 28
2.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소비의 영역과 실천사례 = 30
1) 윤리적 상거래 = 32
2) 녹색소비 = 33
3) 로컬소비 = 35
4) 공정무역제품 소비 = 37
5) 절제와 간소한 삶 = 40
6) 기부와 나눔 = 42
Part Ⅱ 행복한 소비문화 만들기
Chapter 3. 입는 소비문화 = 51
1. 무엇이 문제인가? = 53
1) 잃어버린 자아: 넘쳐나는 상징과 기호 = 53
2) 수동적인 따라쟁이: 유행과 모방 = 54
3) 더 높은 곳을 향하여: 명품과 과시 = 57
4) 새로운 것만이 아름다운 세상 = 59
2. 입는 소비문화 들여다보기 = 60
1) 억제할 수 없는 소유욕, 공허함 vs 사라진 소유욕, 넘치는 행복 = 60
2) 쇼핑 속에 사라져가는 시간들 vs 충만감으로 돌아오는 시간들 = 62
3) 유행의 색깔 덧칠하기 vs 자신만의 생각 심기 = 63
4) 생각 없는 버리기 vs 의미 있는 되살리기 = 66
3. 행복한 소비문화 만들기 = 70
1) 나를 찾아가는 옷과의 새로운 관계 만들기 = 70
2) 따라쟁이가 아닌 창조자로 = 72
3) 환경을 생각하는 윤리적 소비로 = 75
4) 조금 더 행복해지는 방법 알기 = 79
5) 버리기 전 3초만 생각해요 = 81
Chapter 4. 음식 소비문화 = 89
1. 무엇이 문제인가? = 91
1) 음식천국 한국, 길들어진 입맛 = 91
2)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 편리함에 잃어버린 것들 = 93
3) 지나친 풍요와 굶는 사람들 = 95
4) 위협받는 소비자 안전과 생태계의 안녕 = 97
2. 음식 소비문화 들여다보기 = 99
1) 몸의 반란 vs 되찾은 인생 = 99
2) 잃어버린 대화 vs 추억을 만드는 밥상 = 100
3) 멈출 수 없는 식탐 vs 소박함에 길들이기 = 103
4) 버려지는 음식 vs 생각하는 선택 = 105
3. 행복한 음식 소비문화 만들기 = 107
1) 함께 식사하기: 음식은 사랑과 존중의 도구 = 107
2) 만들어 먹기: 요리에서 찾는 즐거움 = 110
3) 생산자와 생태계를 생각하는 윤리적 소비 = 112
4) 배우며, 성장하며 = 115
5) 음식으로 행복 나누기 = 118
Chapter 5. 주거 소비문화 = 125
1. 무엇이 문제인가? = 127
1) 이해하기 어려운 주택시장 = 127
2) 주택 소유에 대한 문제 = 130
3) 주택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은 있는가? 문제가 있을 때 하자보수는? = 133
4) 너무 비싼 집 = 135
5) 과시적인 전시장 = 137
2. 주거 소비문화 들여다보기 = 138
1) 하우징 푸어와 작은 집의 행복 = 138
2)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 140
3) 이웃 없는 공동체, 더불어 사는 공동체 = 143
4) 에너지 소비의 주범과 제로에너지 하우스 = 146
3. 행복한 주거 소비문화 만들기 = 149
1) 팔 집보다 살 집 = 149
2) 작은 집을 넓게 쓰기 = 149
3) 환경을 생각하는 생태적인 주거 = 152
4) 나눔의 행복 = 154
5) 주택정책을 바꾸는 사람들 = 158
Chapter 6. 여가 소비문화 = 163
1. 무엇이 문제인가? = 165
1) 시간의 빈곤: 노동 중심 여가소외 현상 = 165
2) 그냥 집에서 보내요: 수동적 여가 = 166
3) 더 멀리, 더 화려하게: 과시적 여가와 여가강박 = 168
4) 채워지지 않는 충족감: 여가의 상업화와 쾌락주의 = 169
5) 인간의 즐거움 파괴되는 자연: 여가와 환경문제 = 172
2. 여가 소비문화 들여다보기 = 174
1) 나는 방콕족 vs 움직이는 즐거움 = 174
2) 여가방법의 부재 vs 나만의 재미 찾기 = 175
3) 상품화된 여가소비 vs 소비를 적게 하고도 즐기는 여가 = 176
4) 불만 남기는 소비적 여행 vs 미소 남기는 윤리적 여행 = 178
5) 행복나누기: 소통과 나눔이 있는 여가 = 180
3. 행복한 여가 소비문화 만들기 = 182
1) 함께하는 여가시간 갖기 = 182
2) 빠름과 느림, 심신의 조율 = 184
3) 나만의 여가방법 개발하기 = 186
4) 너와 내가 행복해지는 여행 만들기 = 189
5) 여가를 통해 나의 시간, 재능, 물질 나누기 = 193
Chapter 7. 몸 소비문화 = 199
1. 무엇이 문제인가? = 201
1) 전시되는 몸: 몸에 대한 인식 = 201
2) 무한 몰입 다이어트 = 202
3) 성형수술의 블랙홀 = 205
4) 무엇을 위한 몸부림인가? = 207
2. 몸 소비문화 들여다보기 = 209
1) 언제든 변화 가능한 몸 vs 영혼을 담고 있는 몸 = 209
2) 식스팩을 위해 vs 나와의 균형점을 찾아 = 211
3) 어색한 동안과 감춰진 추억 vs 자연스러운 세월의 흔적 = 213
4) 빛으로 돌아오는 아름다운 땀방울 = 215
3. 행복한 소비문화 만들기 = 218
1) 몸의 주인은 바로 당신 = 218
2) 올바른 몸 사랑법을 찾아 = 221
3) 행복해지기 위한 몸 공부 = 223
4) 나눔으로 더 행복해지는 몸 = 226
Chapter 8. 디지털 소비문화 = 235
1. 무엇이 문제인가? = 237
1) 소통의 확대, 그러나 가벼워진 인간관계 = 237
2) 디지털 중독과 디지털 과부화 = 239
3) 간편해진 쇼핑, 더 커진 쇼핑유혹 = 242
4) 짧아지는 디지털기기 교체주기, 늘어가는 e-폐기물 = 244
5) 디지털 윤리와 프라이버시의 부재 = 246
2. 디지털 소비문화 들여다보기 = 250
1) 디지털은 소통의 도구? = 250
2) 디지털의 노예? 디지털의 주인? = 253
3) 구매와 자책감의 쳇바퀴 vs 절제와 인내로 찾아가는 행복여정 = 255
4) 나는 디지털 윤리의 수호자? = 256
5) 사이버 오블리주 - 나눔문화의 발상전환 = 257
3. 행복한 디지털 소비문화 만들기 = 260
1) 디지털기기의 과도한 사용 자제하기 = 260
2) 충동적인 인터넷쇼핑 다시 한번 생각하기 = 263
3) e-쓰레기를 줄이는 생활양식으로! = 264
4) 디지털 매너와 소양 갖추기 = 265
5) 디지털로 소통과 나눔문화에 동참하기 = 266
Chapter 9. 결혼 소비문화 = 273
1. 무엇이 문제인가? = 275
1) 체면 의식, 과시적 소비 = 275
2) 간편함의 추구, 배우자의 등급화 = 278
3) 쾌락적 가치 추구, 호화로운 결혼 = 280
4) 남녀 불평등의 관행, 혼수 갈등 = 282
5) 낭비적인 결혼식과 환경문제 = 285
2. 결혼 소비문화 들여다보기 = 286
1) 다른 사람의 이목에 따라 vs 진실한 축하와 함께하며 = 287
2) 조건을 맞추는 결혼 vs 철학과 가치 공유하는 결혼 = 289
3) 더 많이 더 크게 더 화려하게 vs 필요에 충실하며 간소하게 = 290
4) 단 한 번뿐인 이벤트 vs 환경을 보호하며 행복을 추구하며 = 293
5) 행사 치르듯이 서두르며 vs 관계와 나눔을 중시하며 = 295
3. 행복한 결혼 소비문화 만들기 = 297
1) '따로 또 같이' 더불어 사는 삶으로 = 298
2) 간소한 결혼으로 추구하는 행복 = 301
3) 환경 보호하는 윤리적 결혼으로 = 304
4) 행복해지는 생각의 전환 = 307
5) 결혼으로 실천하는 나눔의 문화 = 310
Part Ⅲ 행복한 소비사회를 위하여
Chapter 10. 행복한 소비사회를 위한 거버넌스 = 321
1. 행복한 소비사회를 위해 어떤 거버넌스가 필요한가? = 323
1) 더 큰 효율성 - 자원ㆍ에너지 절약과 효율을 추구하는 기술 = 325
2) 만족 - 좀 더 적은 재화로 행복해지는 기술 = 326
3) 더 큰 조화 - 자원의 사용을 자연과 양립하도록 하는 기술 = 331
2. 행복한 소비사회를 위한 거버넌스 들여다보기 = 332
1) 더 큰 효율성을 위한 실천의 장애요인들 = 332
2) 만족으로의 가치의 전환을 위해 어떤 노력들을 해왔는가? = 334
3) 자원의 사용을 자연과 양립시켜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 338
3. 행복한 소비문화 실천 거버넌스 만들기 = 343
1) 효율적 실천을 위한 넛지의 이용 = 343
2) 가치변화를 위한 노력 = 346
3) 더 조화로운 삶을 위해 함께하는 실천 = 348
찾아보기 =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