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알기 쉬운) 교육과정

(알기 쉬운) 교육과정 (Loan 30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홍후조 洪厚祚
Title Statement
(알기 쉬운) 교육과정 = Curriculum understanding & development / 홍후조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1   (2014)  
Physical Medium
462 p. ; 27 cm
ISBN
9788963306339
General Note
부록: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기준,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47-458)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38850
005 20150611091856
007 ta
008 110404s2011 ulk b 001c kor
020 ▼a 9788963306339 ▼g 93370
035 ▼a (KERIS)REW000000115141
040 ▼d 244002 ▼d 211009 ▼a 211009 ▼c 211009
082 0 4 ▼a 375 ▼2 22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1z1
100 1 ▼a 홍후조 ▼g 洪厚祚 ▼0 AUTH(211009)21051
245 2 0 ▼a (알기 쉬운) 교육과정 = ▼x Curriculum understanding & development / ▼d 홍후조 저
246 3 1 ▼a Curriculum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1 ▼g (2014)
300 ▼a 462 p. ; ▼c 27 cm
500 ▼a 부록: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기준,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외
504 ▼a 참고문헌(p. 447-458)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116195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1166251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1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212333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212333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513196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116195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11662511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17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2123339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212333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5 2011z1 Accession No. 1513196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과정이라고 하면 누구에게나 어렵게 느껴진다. 왜냐하면 책을 읽어도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모습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이 책은 교육과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그림을 보여준다. 저자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연구개발에 다년간 참여하면서, 우리 교육 현실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더 나은 모습을 그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개별 교과 교육과정을 넘어서, 교과와 교과외 체험활동을 종합한 교육과정의 총체성과 균형성을 확보하는 데 애쓰고 있다. 또한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만한 교육과정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잘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업에서 중요한 매체가 되고 있는 ‘교과서’의 연구개발, 발행, 공급, 선정 절차에 대해서도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현재와 미래를 파악하는 데 그리고 손에 잡히는, 살아있는 교육과정을 그려보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홍후조(지은이)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문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문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Ph. D)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인하대 교육학과 교수, 이화학원 이사 제 25대 한국교육과정학회장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봉암학원 이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01 교육과정의 이해 = 11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3
  1. 교육과 교육과정 = 13
   1) 교육과정의 기본 질문 = 15
   2) 교육과정 기본 질문의 의의 = 17
   3) 교육과정의 부속 질문 = 21
   4) 기본 질문에 대한 두 가지 대답 방식 = 22
  2.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정의 = 23
   1) 교육계획 = 23
   2) 교과목이나 거기네 담긴 내용 = 24
   3) 수행할 과업 = 25
   4) 의도한 학습결과 = 26
   5) 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겪는 온갖 실제 경험 = 26
   6)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 27
   7) 사회재생산의 도구 = 28
   8) 사회개선의 수단 = 29
   9) 개인 삶의 궤적과 그 해석 = 29
   10) 교육과정 정의의 한계와 대안 탐색 = 30
  3. 교육과정의 특성 = 32
  4. 교육과정 학습의 목적 = 35
 제2장 교육과정의 종류 = 41
  1. 공식화 정도에 따른 교육과정 구분 = 41
   1) 공식적 교육과정 = 41
   2) 잠재적 교육과정 = 42
   3) 영 교육과정 = 42
  2. 공식적 교육과정의 전모 = 43
   1) 존립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구분 = 47
   2) 구성영역에 다른 교육과정 구분 = 53
   3) 변화단계에 따른 교육과정 구분 = 55
  3. 교육의 진행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구분 = 58
   1) 계획한 교육과정 = 58
   2) 실천한 교육과정 = 58
   3) 경험한 교육과정 = 59
  4. 적용범위와 부과방식에 따른 교육과저어 구분 = 59
   1) 공통피수 교육과정 = 60
   2) 상이선택 교육과정 = 62
  5. 교육의 단기 목적에 따른 교육과정 구분 = 63
   1) 진학준비 교육과정 = 63
   2) 직업준비 교육과정 = 63
 제3장 교육과정의 기초 = 69
  1. 교육과정 탐구의 기초 = 69
   1) 교육과정의 역사학 = 69
   2) 교육과정의 철학, 윤리학 = 70
   3) 교육과정의 사회학, 이데올로기 = 72
   4) 교육과정의 심리학 = 73
  2. 교육과정 결정의 기초 = 75
   1) 사회 = 76
   2) 학습자(개인) = 79
   3) 교과(학문) = 84
   4) 세 요소의 조화와 절충에서 우선순위 = 89
 제4장 교육과정의 역사 = 95
  1. 교육과정의 정초기 = 95
   1) Spencer: 현대 교육과정 논의의 시작 = 95
   2) McMurry 형제: 교육과정과 수업의 집합 = 96
   3) 20세기 교육과정 논의의 맹아 = 98
   4) Dewey: 아동 중심 교육과정 논의의 구체화 = 102
   5) Bobbitt: 교육과정 구성의 과학화ㆍ전문화 = 105
  2. 교육과정 개발의 융성기 = 109
   1) Newlon: 교사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 109
   2) Caswell: 수업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111
   3) 8년 연구: 고교-대학 학습 연계를 통한 중등 교육과정 개선 = 113
   4) Tyler: 20세기 교육과정 논의의 거대한 디딤과 걸림 = 117
   5) Bruner: 지식의 구조와 학문으로 견고해진 교과 = 119
  3. 교육과정 이해의 발달과 정체성의 혼란 = 121
   1) 교육과정 사회학의 발달 = 121
   2) 교육과정 이해의 확산과 정체성 상실 = 122
 제5장 교육과정의 유형 = 127
  1.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 127
   1) 교과 중심 교육과정 = 127
   2) 학문 중심 교육과정 = 130
   3) 행동주의 교육과정 = 132
  2.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 134
   1) 경험 중심 교육과정 = 134
   2) 인본주의 교육과정 = 137
   3) 인지주의 교육과정 = 140
   4) 구성주의 교육과정 = 142
  3. 사회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 144
   1) 생활적응 교육과정 = 144
   2) 직업 교육과정 = 147
   3) 중핵 교육과정 = 152
   4) 사회개조 교육과정 = 154
02 교육과정의 개발 = 161
 제6장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63
  1. 교육과정 개발 = 163
  2. 전통적인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모형 = 164
   1) Tyler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64
   2) Taba의 단원 개발 모형 = 168
   3) Oliva의 종합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70
   4) 직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73
  3. 대안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절차 = 177
   1) Walker이 실제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77
   2) Eisner의 예술 교육과정 개발 모형 = 180
   3) 역행 설계 모형 = 182
  4. 초등학교 공통필수 교육과정의 설계 모형 = 188
  5. 고등학교 상이선택 교육과정의 설계 모형 = 192
 제7장 교육목표의 설정 = 203
  1. 교육의 일반목표 = 203
  2. 교과의 특수목표 = 211
   1) 교과의 성격과 교육목적의 규정 = 211
   2) 교과 수업 목표의 명세화 = 213
  3. 교육목표의 현황과 대안 탐색 = 216
 제8장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223
  1. 교육내용의 선정 = 223
   1) 교육내용 선정의 기준 = 223
   2) 교과의 내용 선정 기준 = 227
  2. 교육내용의 조직 = 232
   1) 교육내용 조직의 기준 = 232
   2) 교육내용의 계열적 조직 = 233
  3. 교육내용의 개선 = 236
   1) 교과내용과 활동의 선정과 조직의 적절성 = 236
   2) 교과내용과 활동의 문제점 분석과 대안 = 1273
 제9장 교육과정 총론 = 243
  1.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 243
   1) 대한민국의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역사적 변천 = 243   
   2)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연구개발 = 249
  2. 국가교육과정기준 개정의 개선 = 262
   1) 국가교육과정기준 개정 관행의 평가 = 262
   2) 국가교육과정기준 개선의 방향 = 267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현황 이해와 대안 탐색 = 272
 제10장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 = 283
  1. 우리나라 교과외 활동 교육과정의 변천 = 283
   1) 특별활동 시기 = 283
   2)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의 시기 = 287
  2.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목표와 내용 체계 = 292
   1) 교육 목표 = 292
   2) 내용 체계 = 292
  3. 외구에서 교과외 활동 = 294
 제11장 교재의 연구 개발 = 303
  1.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의 특징 = 303
   1) 교과서 제도의 개관 = 303   
   2) 교과서 제도이 법적 근거 = 304
   3) 교과서 제도의 구분 = 306
   4) 교과서 발행 형식의 구분 = 308
   5) 교과교육과정기준과 학교수업용 교재 = 311
   6) 학교수업용 교재 개념의 확대 = 312
  2. 교과서의 발행과 공급 = 314
   1) 국정 도서의 발행과정 = 314
   2) 검정 도서의 발해 및 심사제도 = 319
  3. 교과서 제도의 발전 방안 = 327
 제12장 교육과정 운영 = 335
  1. 교육과정 운영의 기초 = 335
   1)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 = 335
   2) 교육과정 운영의 기본 원리 = 336
   3)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39
  2.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 344
  3. 우리나라 수업의 현황 이해와 대안 탐색 = 347
  4. 교육과정 운영의 개선 = 352
   1)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변화촉진자의 역할 = 353
   2)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를 돕는 방안 = 354
   3)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개선을 위한 과제 = 356
   4)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교원 = 357
   5)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교육제도 = 362
   6)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한 교육문화 = 366
 제13장 교육과정 평가 = 373
  1. 교육평가와 교육과정 평가 = 373
  2. 교육과정 평가의 논리 = 375
  3. 교육과정 평가모형 = 378  
  4. 교육과정 평가의 실제 = 385
   1) 대학종합평가 = 386
   2) 교양교육 분야 평가 = 387
   3) 교양교육과정의 평가영역 및 준거 = 390
  5. 교육평가의 현황 이해와 대안 탐색 = 397
부록
 1.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405
 2.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기준 = 423
 3.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 432
 4. 초ㆍ중등학교 교과용 도서 국ㆍ검ㆍ인정 구분 수정 고시 = 440
참고문헌 = 447
찾아보기 = 45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