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패턴인식과 기계학습의 개요
1.1. 패턴인식과 기계학습 = 3
1.2. 패턴인식의 처리과정 = 6
1.3. 패턴인식의 기본 요소 = 8
1.3.1. 데이터와 데이터 분포 = 9
1.3.2. 특징과 특징추출 = 11
1.3.3. 분류와 결정경계 = 13
1.3.4. 분류율과 오차 = 14
1.4. 패턴인식과 관련된 개념들 = 16
1.4.1. 분류와 군집화 = 16
1.4.2. 교사학습과 비교사학습 = 17
1.4.3. 분류기 복잡도와 과다적합 = 18
1.5. 패턴인식의 응용 = 20
연습문제 = 22
참고자료 = 23
Chapter 2 패턴인식기 개발
2.1. 2차원 데이터의 분류 = 27
2.1.1. 데이터의 생성 = 27
2.1.2. 학습 : 데이터의 분포 특성 분석 = 29
2.1.3. 분류 : 결정경계의 설정 = 31
2.1.4. 성능 평가 = 32
2.2. 숫자 데이터의 분류 = 34
2.2.1. 데이터 수집과 전처리 = 34
2.2.2. 학습과 결정경계 = 37
2.2.3. 분류와 성능 평가 = 38
연습문제 = 40
참고자료 = 41
Chapter 3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
3.1. 데이터의 확률분포와 패턴인식 = 45
3.2. 모수적 확률밀도 추정 = 47
3.2.1. 최우추정법 = 48
3.2.2. 가우시안 확률밀도함수의 최우추정 = 49
3.3. 비모수적 확률밀도 추정 = 53
3.3.1. 히스토그램법 = 53
3.3.2. 히스토그램법의 일반화 = 55
3.3.3. 커널 밀도함수 추정법 = 57
3.4. 매트랩을 이용한 밀도함수 추정 실험 = 60
연습문제 = 64
참고자료 = 66
Chapter 4 베이지안 분류기
4.1. 베이지안 분류기 = 69
4.1.1. 우도비에 의한 패턴분류 = 69
4.1.2. 다중 클래스 분류기 = 72
4.2. 베이지안 분류기의 결정경계와 오차 = 74
4.2.1. 분류기의 오류확률 = 74
4.2.2. 최소 오류확률 결정경계 = 76
4.2.3. 오류확률의 확장 - 베이즈 위험 = 78
4.3. 가우시안 확률분포와 베이지안 분류기 = 80
4.3.1. 클래스 공통 단위공분산행렬 = 81
4.3.2. 클래스 공통 공분산행렬 = 83
4.3.3. 일반적인 공분산행렬 = 84
4.4. 매트랩을 이용한 베이지안 분류기 실험 = 85
연습문제 = 90
참고자료 = 91
Chapter 5 K-근접이웃 분류기
5.1. K-근접이웃 분류기 = 95
5.1.1. 비모수적 확률밀도 추정과 최근접이웃 분류기 = 95
5.1.2. K-근접이웃(K-NN) 분류기 = 97
5.1.3. K-NN 분류기와 비모수적 밀도추정 = 99
5.2. K-근접이웃 분류기의 특성 = 100
5.2.1. K-NN 분류기의 결정경계 = 100
5.2.2. K-NN 분류기 설계시 고려사항 = 101
5.3. 매트랩을 이용한 K-NN 분류기 실험 = 104
연습문제 = 109
참고자료 = 110
Chapter 6 선형 판별함수
6.1. 판별함수와 패턴인식 = 113
6.1.1. 판별함수의 형태 = 113
6.1.2. 판별함수와 결정영역 = 116
6.2. 판별함수의 학습 = 121
6.2.1. 최소제곱법 = 121
6.2.2. 퍼셉트론 학습 = 124
6.3. 매트랩에 의한 선형 판별함수 분류기 실험 = 127
연습문제 = 129
참고자료 = 131
Chapter 7 군집화
7.1. 분류와 군집화 = 135
7.2. K-means 알고리즘에 의한 군집화 = 137
7.2.1. K-means 알고리즘 = 137
7.2.2. K-means 알고리즘의 특성 = 139
7.3. 계층적 군집화 = 142
7.3.1. 계층적 군집화 알고리즘 = 142
7.3.2. 계층적 군집화의 특성 = 144
7.4. 매트랩을 이용한 군집화 실험 = 146
연습문제 = 149
참고자료 = 151
Chapter 8 특징추출
8.1. 선형변환에 의한 특징추출 = 155
8.2. 주성분분석법 = 159
8.2.1. 공분산 분석과 화이트닝변환 = 159
8.2.2. 주성분분석 알고리즘 = 163
8.2.3. 주성분분석법의 수학적 유도 = 166
8.2.4. 주성분분석법의 특성과 문제점 = 169
8.3. 선형판별분석법 = 170
8.3.1. 선형판별분석 알고리즘 = 170
8.3.2. 선형판별분석법의 특성과 문제점 = 174
8.4. 매트랩을 이용한 특징추출 실험 = 175
연습문제 = 178
참고자료 = 181
Chapter 9 패턴인식 시스템 설계
9.1. 얼굴인식 문제 = 185
9.2. 특징추출기의 학습 = 187
9.2.1. 영상 데이터를 위한 주성분분석 = 187
9.2.2. PCA에 의한 특징추출 - 아이겐페이스 = 190
9.2.3. LDA에 의한 특징추출 - 피셔페이스 = 191
9.3. 분류기의 설계 = 193
9.4. 매트랩에 의한 인식기 구현 = 193
연습문제 = 198
참고자료 = 199
Chapter 10 가우시안 혼합 모델
10.1. 가우시안 혼합 모델 = 203
10.1.1. 가우시안 혼합 모델의 필요성 = 203
10.1.2. 가우시안 혼합 모델의 정의 = 205
10.2. 가우시안 혼합 모델의 학습 = 206
10.2.1. 최우추정법 = 206
10.2.2. 최우추정법의 문제점 = 211
10.3. EM 알고리즘의 적용 = 212
10.3.1. 가우시안 혼합 모델과 은닉변수 = 212
10.3.2. 은닉변수를 가진 확률 모델을 위한 EM 알고리즘 = 213
10.3.3.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위한 EM 알고리즘 = 218
10.4. 일반화된 EM 알고리즘 = 218
10.5. 매트랩을 이용한 가우시안 혼합 모델 추정 실험 = 222
연습문제 = 227
참고자료 = 229
Chapter 11 신경망
11.1. 인공신경망 = 233
11.1.1. 신경망이란? = 233
11.1.2. 생물학적 신경망 = 234
11.1.3. 인공신경망의 구성요소 = 236
11.2. 신경망 분류기 = 239
11.2.1. M-P 뉴런과 퍼셉트론 = 239
11.2.2. 다층 퍼셉트론(MLP) = 241
11.2.3. 다층 퍼셉트론의 학습 = 243
11.2.4. 다층 퍼셉트론 학습의 고려사항 = 250
11.3. 군집화를 위한 신경망 = 252
11.3.1. 자기조직화 특징맵(SOM) = 252
11.3.2. 자기조직화 특징맵의 학습 = 255
11.4. 매트랩을 이용한 신경망 구현 = 259
11.4.1. MLP를 이용한 패턴 분류 = 259
11.4.2. SOM을 이용한 군집화와 특징맵 = 263
연습문제 = 269
참고자료 = 271
Chapter 12 SVM과 커널법
12.1. 선형 초평면에 의한 분류 = 275
12.1.1. 과다적합과 일반화오차 = 275
12.1.2. 선형 초평면 분류기 = 276
12.2. 서포트벡터머신(SVM) = 278
12.2.1. 최대 마진 분류기 SVM = 278
12.2.2. SVM의 학습 = 281
12.2.3. SVM에 의한 분류 = 284
12.3. 슬랙변수를 가진 SVM = 286
12.3.1. 슬랙변수의 도입 = 286
12.3.2. 파라미터의 추정 = 288
12.4. 커널법 = 290
12.4.1. 커널의 필요성 = 290
12.4.2. 커널법과 SVM = 291
12.5. 매트랩을 이용한 SVM 실험 = 293
연습문제 = 301
참고자료 = 302
Chapter 13 학습기의 결합
13.1. 학습기 결합의 개요 = 305
13.1.1. 학습기 결합의 필요성 = 305
13.1.2. 앙상블 학습의 개요 = 307
13.2. 배깅과 보팅 = 310
13.2.1. 배깅에 의한 학습과 보팅에 의한 결합 = 310
13.2.2. 배깅과 보팅의 효과 = 311
13.3. 부스팅 = 314
13.3.1. AdaBoost 알고리즘 = 314
13.3.2. AdaBoost 알고리즘과 오차변화 = 317
13.4. 캐스케이딩 = 320
13.5. 전문가 혼합 = 322
13.6. 매트랩을 이용한 실험 = 324
연습문제 = 329
참고자료 = 330
Chapter 14 비선형 특징추출
14.1. 비선형 특징추출의 필요성 = 333
14.2. 커널법과 특징추출 = 335
14.2.1. 커널 PCA = 335
14.2.2. 커널 LDA = 343
14.3. 비선형 매니폴드 학습 = 347
14.3.1. 매니폴드 학습 = 347
14.3.2. MDS와 ISOMap = 349
14.3.3. LLE(국소선형임베딩) = 357
14.4. 매트랩을 사용한 비선형 특징추출 실험 = 363
14.4.1. 커널 PCA와 커널 LDA의 구현 = 363
14.4.2. ISOMap과 LLE의 구현 = 366
연습문제 = 372
참고자료 = 373
Appendix A 벡터와 행렬
A.1. 벡터 = 377
A.1.1. 벡터와 기초 연산 = 377
A.1.2. 실수공간 Rⁿ상에서의 n차원 벡터 = 378
A.1.3. 기저를 이용한 벡터 표현 = 381
A.2. 행렬 = 383
A.2.1. 행렬과 기본 연산 = 383
A.2.2. 정방행렬 = 385
A.2.3. 행렬의 성질 = 387
A.2.4. 자주 사용되는 행렬 = 389
A.3. 데이터 변환 = 390
A.3.1. 기저행렬을 이용한 데이터 표현 = 390
A.3.2. 선형변환 = 392
Appendix B 확률통계
B.1. 확률론 = 399
B.1.1. 기본 용어 = 399
B.1.2. 결합확률과 조건부확률 = 401
B.1.3. 독립사건과 독립시행 = 402
B.1.4. 베이즈 정리 = 403
B.2.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 405
B.2.1. 확률변수 = 405
B.2.2. 확률분포함수 = 406
B.2.3. 확률변수의 통계량 = 408
B.2.4. 가우시안 분포함수 = 410
B.3. 벡터 확률변수 = 412
B.3.1. 랜덤벡터 = 412
B.3.2. 랜덤벡터의 확률분포함수 = 412
B.3.3. 랜덤벡터의 통계량 = 414
B.3.4. 다변량 가우시안 분포함수 = 416
INDEX =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