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90camcc2200409 c 4500 | |
001 | 000045637750 | |
005 | 20110329113729 | |
007 | ta | |
008 | 110328s2010 ggk b 010c kor | |
020 | ▼a 9788959960811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2020570 | |
040 | ▼a 225013 ▼c 225013 ▼d 211009 | |
082 | 0 4 | ▼a 495.709 ▼2 22 |
085 | ▼a 497.09 ▼2 DDCK | |
090 | ▼a 497.09 ▼b 2010z2 | |
245 | 0 0 | ▼a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 = ▼x A new study of Korean-language history / ▼d 전정예 외 |
246 | 3 1 | ▼a New study of Korean-language history |
260 | ▼a 광명 : ▼b 경진, ▼c 2010 | |
300 | ▼a 548 p. ; ▼c 24 cm | |
440 | 0 0 | ▼a 국어학ㆍ국어사 |
500 | ▼a 지은이: 전정예, 고경민, 김슬옹, 김유범, 박동근, 박철주, 백낙천, 윤혜영, 정수현, 최미현, 허원욱, 황선엽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전정예, ▼e 저 |
700 | 1 | ▼a 고경민, ▼e 저 ▼0 AUTH(211009)16294 |
700 | 1 | ▼a 김슬옹, ▼e 저 |
700 | 1 | ▼a 김유범, ▼e 저 ▼0 AUTH(211009)126978 |
700 | 1 | ▼a 박동근, ▼e 저 |
700 | 1 | ▼a 박철주, ▼e 저 |
700 | 1 | ▼a 백낙천, ▼e 저 |
700 | 1 | ▼a 윤혜영, ▼e 저 |
700 | 1 | ▼a 정수현, ▼e 저 |
700 | 1 | ▼a 최미현, ▼e 저 |
700 | 1 | ▼a 허원욱, ▼e 저 ▼0 AUTH(211009)142354 |
700 | 1 | ▼a 황선엽, ▼e 저 ▼0 AUTH(211009)9914 |
900 | 1 0 | ▼a Chun, Jungye,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9 2010z2 | 등록번호 1116180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9 2010z2 | 등록번호 1116180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 문법사, 어휘사, 국어 계통과 문자사 등을 대상으로 여러 학자들이 주제를 정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탐구한 책으로 문법사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형태소 ‘-오-’를 비롯하여, 문법화론, 통사 구조의 변화 등을 다루고자 하였고, 어휘사에서는 흥미를 끌 만한 개별 어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언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공간에 따라 의사소통의 기능을 담당한다. 말 속에는 그 말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과 의식이 담겨 있다. 말이 변화하는 모습을 탐구하는 일은 인간의 삶 자체를 탐구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갖는다.
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일은 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삶과 의식을 탐구하는 일이 된다. 이 책은 국어 문법사, 어휘사, 국어 계통과 문자사 등을 대상으로 여러 학자들이 주제를 정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탐구한 성과를 모아놓은 책이다. 국어 문법사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형태소 ‘-오-’를 비롯하여, 문법화론, 통사 구조의 변화 등을 다루고자 하였고, 어휘사에서는 흥미를 끌 만한 개별 어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선보이고자 하였다. 국어의 계통 문제나 차자 표기법, 문체의 문제 등은 학계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던 주제이기는 하지만, 이 또한 충실한 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서문 = 4 제1부 국어 문법사 연구 선어말어미 '-오-' 연구론 / 전정예 = 10 '-오-' 연구사 / 정수현 = 28 언간에 나타난 의도형 접속어미의 형태론 / 백낙천 = 48 현대국어 연결어미 {-면서}의 문법화 과정 / 안주호 = 64 15세기 '말다' 부정문 연구 / 박형우 = 87 중세국어 인용구조 / 허원욱 = 109 『명의록 언해』에 나타난 인용구조 연구 : '존현각 일기'를 중심으로 / 윤혜영 = 133 명사구내포문에서의 '-오-'와 동명사형어미의 기능에 대한 연구 : 대명률직해를 중심으로 / 박철주 = 170 17세기 국어의 '-ㄴ/ㄹ+것-' 구조 연구 / 최대희 = 186 韓國語 文法史에서 助動詞 槪念의 定立을 위하여 / 박진호 = 225 20세기 초기 국어 청자 높임법의 변화에 대한 통계적 분석 : 대화 참여자의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 김정호 = 238 제2부 국어 어휘사 연구 17세기 흉내말의 어휘 구조 연구 / 박동근 = 300 『관북유람일기(關北遊覽日記)』의 어휘 고찰 / 고은숙 = 323 쓸모 있는 가죽나무 / 황선엽 = 353 『언간의 연구』(1986/1991, 김일근) 소재 윤선도 언간 2편의 종합적 검토 / 김양진 = 371 '고개'의 어원 연구 / 최중호 = 401 梔子의 명칭, '지지'와 '치자'에 대하여 / 최미현 = 415 근대계몽기 한국어 학습서의 품사분류 체계와 기준: 전통적인 품사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 고경민 = 430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휘 계 변화 / 이소영 = 465 제3부 국어 계통, 문자사 연구 삼국시대 언어의 동질설ㆍ이질설과 한국어 계통론 : 세 설의 상관 관계 / 김슬옹 = 490 고대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를 통해 본 한국의 차자표기법 : 소리보조글자와 말음첨기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유범 = 503 문자 사용 방식에 따른 국어 문체 변천사 / 허재영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