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07c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637406 | |
005 | 20110325205024 | |
007 | ta | |
008 | 110325s2010 ggkak b 001c kor | |
020 | ▼a 9788930314947 ▼g 94330 | |
020 | 1 | ▼a 9788930315005 (세트) |
035 | ▼a (KERIS)BIB000012280976 | |
040 | ▼a 221020 ▼c 221020 ▼d 221020 ▼d 221020 ▼d 211009 | |
082 | 0 4 | ▼a 616.89 ▼2 22 |
085 | ▼a 616.89 ▼2 DDCK | |
090 | ▼a 616.89 ▼b 2010z8 | |
100 | 1 | ▼a 강선경 ▼g 姜善暻 ▼0 AUTH(211009)138709 |
245 | 1 0 | ▼a 정신병리 / ▼d 강선경 |
260 | ▼a 파주 : ▼b 집문당, ▼c 2010 | |
300 | ▼a 569 p. : ▼b 삽화, 서식 ; ▼c 24 cm | |
440 | 0 0 | ▼a 아산재단 연구총서 ; ▼v 제308집 |
500 | ▼a 부록: 정신장애 판정기준, 정신장애 판정요령, GAF(Global assessment functioning) 채점표 등 | |
504 | ▼a 참고문헌(p. 553-563)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아산사회복지재단의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116171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116171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212126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513025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116171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116171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2121264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6.89 2010z8 | 등록번호 15130259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회복지사들이 정신장애 진단 및 분류편람(DSM)의 체계를 더욱 잘 이해하고 접근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사회복지사들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하는 경우에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반을 둔 직업정신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뿐 아니라 다양한 실천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정신건강 전문가, 상담가, 그리고 가족치료사들도 이 책을 긴요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정신보건사회복지는 의료사회사업과 함께 사회복지 전문분야 중 한 영역이다. 병원에 입원하는 사람들 가운데 정신증적 증상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의료업무 등에 종사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영역의 정신병리를 가진 개인들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 책을 저술하게 된 이유는 사회복지사들이 정신장애 진단 및 분류편람(DSM)의 체계를 더욱 잘 이해하고 접근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동안 정신질환에 관한 대부분의 책들을 정신과 의사나 심리학자들이 저술하였기 때문에 복잡하고 그들의 직업적인 성향에 치우친 감이 있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정신과 의사들의 고유 영역이었던 정신상태 검사와 약물복용의 점검 관리까지 이제는 대부분의 경우 사회복지사들이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하는 경우에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기반을 둔 직업정신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뿐 아니라 다양한 실천분야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정신건강 전문가, 상담가, 그리고 가족치료사들도 이 책을 긴요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정보제공 :

목차
제Ⅰ부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제1장 정신보건과 사회복지 1. 정신보건사회복지의 개념 및 의의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업무 3. 그 외 정신보건영역 전문요원 제2장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발달 1. 서구의 정신보건사회복지의 발달 2. 한국의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역사 제3장 정신보건법과 정신보건 정책 1. 각국의 정신보건법 내용 2. 한국 정신보건정책 내용과 현황 3. 한국 정신보건법의 개정방향 4. 한국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주요 쟁점과 과제 제4장 정신보건 윤리와 가치 1. 자기결정권(Self Determination) 2. 비밀보장(Confidentiality) 3. 법적 절차와 사회복지 윤리 4. 사례기록 및 기록의 유출 5. 다른 사람과의 정보 공유 제Ⅱ부 정신보건과 정신병리에 대한 이해 제1장 정신보건과 정신장애 1. 정신장애의 개념 2. 역학연구(Epidemiological Study) 3. 이론적 접근 4. 원인학(Etiology) 제2장 정신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1. 방어기제의 종류 2. 정신장애와 방어기제 제3장 정신병리의 이해 1. 표정과 태도(Facial Expression and Attitude) 2. 행동의 장애(Disorders of Activity) 3. 지각의 장애(Disorders of Perception) 4. 사고의 장애(Disorders of Thought) 5. 감정의 장애(Disturbance of Emotion) 6. 의식의 장애(Disturbance of Consciousness) 7. 지남력의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8. 기억의 장애(Disorders of Memory) 9. 지능의 장애(Disorders of Intelligence) 10.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s) 제4장 정신장애 진단 범주 1.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iagnostic Statistical Manual:DSM) 2. 정신장애의 분류(Classification of Mental Disorders) 제5장 인생주기에 따른 정신건강 문제 1. 영·유아기의 정신건강 2. 아동기의 정신건강 3. 청소년기의 정신장애 4. 노년기의 정신장애 제Ⅲ부 정신장애의 이해 제1장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1. 정의 및 역사적 고찰 2. 역학 3. 원인 4. 주요 증상 및 진단 5. 임상경과 및 예후 6. 유형 7. 정신분열증과 유사한 정신병적 장애 8. 개입 제2장 기분장애(Mood Disorder) 1. 정의 2. 역학 3. 원인 4. 주요 증상 및 진단 5. 임상경과 및 예후 6. 유형 7. 개입 제3장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1. 정의 및 역사적 고찰 2. 역학 3. 원인 4. 유형(DSM-Ⅳ에 의한 불안장애의 분류) 제4장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1. 정의 및 역사적 고찰 2. 역학 3. 원인 4. 유형(DSM-Ⅳ에 의한 인격장애의 분류) 제5장 신체형장애(Somatoform Disorder) 1. 정의 및 역사적 고찰 2. 역학 3. 유형(DSM-Ⅳ에 의한 신체형장애의 분류) 제6장 섭식장애(Eating Disorder) 1. 정의 및 역사적 고찰 2. 역학 3. 원인 4. 유형(DSM-Ⅳ에 의한 섭식장애 분류) 제7장 치매(Dementia) 1. 정의 및 역사적 고찰 2. 역학 3. 원인 4. 유형(DSM-Ⅳ에 의한 치매의 분류) 제8장 약물관련 정신장애 1. 정의 및 역사적 고찰 2. 역학 3. 원인 4. 주요 증상 및 진단 5. 임상경과 및 예후 6. 물질남용의 종류 7. 개입 제Ⅳ부 사회복지사 실천개입의 이해 제1장 정신사회재활 개입 1. 정의 및 모형 2. 정신사회재활의 목적과 원칙 3. 개입과정 제2장 지역사회 정신보건 1.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개념 2.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목적 3.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형성과정 4. 지역사회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역할 5. 지역사회 지지체계 6.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비전과 방향 제3장 사례관리 1. 사례관리의 이해 2. 사례관리의 이론적 기반 및 실천과정 3. 사례관리의 기본 원칙 4. 사례관리의 등장 배경 5. 사례관리자의 역할 6. 개별사례에 대한 적용 제4장 정신장애인과 가족 1. 정신장애인 가족의 개념 2. 정신장애인 가족의 스트레스 대처 3. 자조집단 4. 가족치료의 배경과 이론 제5장 현대인의 정신건강 1. 현대사회와 정신건강 2. 정신건강 문제의 본질 3. 직업활동과 스트레스 4. 현대사회의 정신건강을 위하여 부록 1: 정신장애 판정기준 부록 2: 정신장애 판정요령 부록 3: GAF(Global Assessment Functioning) 채점표 부록 4: 장애인 등록 관련 서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