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1]----------
목차
chapter 01 HRD! 처음부터 바로알자! = 17
01 HRD의 역사속으로 = 21
1. 중세시대 : A.D. 300∼A.D. 1300 = 22
2. 19세기 미국중심의 인적자원개발 = 25
3. 20세기 인적자원개발의 본격적인 발전 = 27
4. HRD의 현황 = 34
02 HRD 트렌드 = 41
1. HRD 패러다임의 발전 = 41
03 HRD의 역할 = 61
1. 교육훈련 제공처로써 HRD = 61
2. 조직의 문제해결방식으로써 HRD = 62
3. 인적자원 운영에 대한 지원적 역할 = 62
chapter 02 HRD담당자라면 무엇을 해야할까? = 75
01 HRD담당자의 임무와 역할 = 79
1. HR 분야의 변화 = 79
2. 전통적 교육담당자의 역할 = 83
3. 교육담당자의 변화하는 역할 : 변화촉진자로서의 교육담당자 = 84
4. 교육담당자의 변화하는 역할 : e-learning, 아웃소싱 그리고 교육담당자 = 87
5. 교수자로서의 교육담당자 = 88
6. 평가자로서의 교육담당자 = 89
7.경력개발 전문가로서 교육담당자 = 90
8. 마케팅전문가로서의 교육담당자 = 92
9. 아웃소싱 전문가로서 교육담당자 = 93
02 HRD 담당자의 필요자질 = 96
1. ASTD의 HRD 담당자 역량 = 96
2. HRD Specialist와 HRD Expert = 99
03 HRD 담당자에게 필요한 HRM 기초 지식 = 1 02
1. 조직진단과 결과 피드백 = 1 02
2. 지식경영 = 106
3. HRM 기초지식을 얻기 위한 정보원 = 113
chapter 03 과정설계의 첫걸음! 요구분석부터 교수설계까지 = 123
01 교육 요구의 개념과 분석의 필요성 = 127
1. 교육 요구의 개념 = 127
2. 요구분석의 필요성 = 132
02 교육 요구분석의 과정과 방법 = 139
1. 교육 요구분석의 과정 = 139
2. 교육 요구분석의 방법 = 148
03 교수설계 = 169
1. 교육 요구분석 결과의 활용 = 169
2. 교수설계 = 169
chapter 04 교육운영의 첫걸음! 교수법부터 운영기법까지 = 2 03
01 효과적인 교수법 = 207
1. 강의법 = 207
2. 토의법 = 210
3. 게임법 = 214
4. 실습법 = 220
5. 소집단 학습 = 222
6. 액션러닝 = 225
7. 가속학습 = 232
02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준비 = 232
1. 과정홍보 = 239
2.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준비사항 = 240
3. 교육 중 운영사항 = 247
03 교육 프로그램 시작 및 마침기법 = 240
1. Ice-breaking과 Open-the-door = 249
2. 교육마침기법 = 251
chapter 05 교육평가의 첫걸음! 평가모델부터 평가도구까지 = 269
01 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델 = 273
1. 평가모델의 종류 = 274
2. Kirkpatrick의 모형 = 277
3. Saratoga의 모형 = 283
4. Phillips의 ROI 평가 모형 = 287
5. Basarab과 Root의 모형 = 291
6. DeSimone과 Harrise의 모형 = 293
02 교육 프로그램 평가 도구 = 295
1. 도구의 개발 = 296
2. 평가의 실시 및 도구 사례 = 297
03 교육 프로그램 평가 사례 = 306
1. Kirkpatrick의 평가 적용 사례 = 306
2. Saratoga 평가 모형 적용 사례 = 309
3. Phillips의 ROI 모형 적용 사례 = 310
[volume. vol.2]----------
목차
chapter 01 우리 회사의 교육체계 수립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 17
01 교육체계의 개념과 방법 = 21
1. 교육체계의 개념 = 21
2. 교육 체계수립의 방법 = 24
02 교육체계의 사례 = 31
1. OJT, Off-JT, SD에 따른 교육체계 = 31
2. 교육내용과 교육과정의 난이도를 결합한 교육체계 = 34
3. 교육내용과 직급을 결합한 교육체계 = 35
4. 직급별 승진과정에 따른 교육체계 = 36
5. 직군과 직급에 따른 교육체계 = 37
03 교육기획의 방법과 절차 = 38
1. 교육기획의 기초 = 38
2. 교육기획 실무 = 45
chapter 02 성과달성을 위한 필요조건 역량! 역량모델링 방법은? = 61
01 역량의 개념과 도출 방법 = 65
1. 역량의 개념 = 65
02 역량기반 교육체계 수립 방법 = 98
1. 역량모델링 및 역량모델의 다양한 활용 = 98
2. 역량모델을 통한 교육체계 수립 = 99
03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법 = 106
chapter 03 나도 어려운 경력개발! 직원들의 경력은 어떻게 개발해야 할까? = 135
01 경력개발의 개념과 경력발달단계 = 139
1. 경력개발의 개념 = 139
2. 경력개발의 특징 = 140
3. 경력발달단계 = 141
02 경력의 유형과 진단 = 154
1. 경력닻 유형론 = 154
2. 경력유형의 진단 = 159
03 경력개발 프로그램 = 160
1. 핵심인재 육성전략 = 160
2. 멘토링 제도 = 164
chapter 04 생존을 위한 조직개발! 변화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는? = 177
01 조직개발의 개념과 접근 방법 = 181
1. 조직개발의 개념 = 181
2. 조직개발의 특징 = 184
3. 조직개발의 접근 방법 = 187
02 학습조직으로서 조직개발 = 2 03
1. 학습조직의 특징 = 204
2. Senge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 207
3. 학습조직 진단설문지(Learning Organization Questionnarie : LOQ) = 208
03 조직개발 프로그램 = 211
1. 기업합병과 조직개발 사례 = 211
2. 지식경영사례 = 215
chapter 05 교육의 성패는 마케팅! 마케팅 전략은 어떻게 수립할까? = 235
01 교육 마케팅의 개념과 교육시장의 특성 = 239
1. 교육 마케팅의 필요성과 개념 = 239
2. 교육시장 유형과 특성 = 245
02 교육 프로그램 특성 분석과 시장분할 전략 = 250
1. 교육 프로그램 특성 분석 = 250
2. 시장분석과 시장분할 = 259
03 교육 마케팅전략 = 266
1. 가격결정전략 = 266
2. 마케팅전략 구상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