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71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636621 | |
005 | 20110325094659 | |
007 | ta | |
008 | 110323s2010 ulkag b 001c kor | |
020 | ▼a 9788956389882 ▼g 94670 | |
020 | 1 | ▼a 9788956389899 (set) |
035 | ▼a (KERIS)BIB000012172727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0 | ▼a kor ▼a eng |
082 | 0 4 | ▼a 780.944 ▼2 22 |
085 | ▼a 780.944 ▼2 DDCK | |
090 | ▼a 780.944 ▼b 2010 | |
100 | 1 | ▼a 김춘미 |
245 | 1 1 | ▼a (A) case study of the influence of the east to the west : ▼b Indonesian gamelan and Debussy / ▼d by Kim, Choon Mee |
260 | ▼a Seoul : ▼b Minsokwon, ▼c 2010 | |
300 | ▼a 223 p. : ▼b 삽화, 악보 ; ▼c 22 cm | |
440 | 0 0 | ▼a Minsokwon Korean studies series. ▼p Music ; ▼v 8 - Comparative musicology |
440 | 0 0 | ▼a 所以硏文集 ; ▼v 10 |
504 | ▼a 참고문헌(p. 207-214)과 색인, 부록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600 | 1 0 | ▼a Debussy, Claude, ▼d 1862-1918 |
900 | 1 0 | ▼a Kim, Choon-mee, ▼e 저 |
945 | ▼a KLPA | |
949 | ▼a Soyiyeon moonjip ; ▼v 1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44 2010 | Accession No. 1116138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44 2010 | Accession No. 1116138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연숙(지은이)
계명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한 뒤 일본의 오차노미즈여자대학에서 <닛본에이타이구라(日本永代藏)론>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우키요조시괴이소설연구(浮世草子怪異小說硏究)>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과 일본의 계모설화 비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일본 고전문학과 비교문학이다. 현재 계명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그동안 저술하고 번역한 책으로는 ≪한국과 일본의 계모설화 비교 연구≫, ≪한일설화소설비교연구≫, ≪한·일 주보설화 비교 연구≫, ≪일본 옛이야기 모음집 오토기조시≫, ≪우지슈이 이야기≫ 등이 있으며, 일본의 근세문학과 한·일 비교문학에 관한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1장 서론 = 12 1. 연구의 목적 = 12 2. 선행 연구 검토 = 14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3 2장 한ㆍ일 계모설화의 형성 및 전승 배경 = 28 1. 한국 계모설화의 형성 = 28 2. 일본 계모설화의 형성 = 44 3. 한일에 있어서의 전승 배경 = 49 3장 한ㆍ일 계모설화의 분류와 유형 = 60 1. 한국 계모설화의 분류 현황 = 61 2. 한국 계모설화의 유형 분류 = 70 3. 한일 유형의 대응관계 = 81 4장 한ㆍ일 계모설화의 유형별 비교 = 86 1.〈콩쥐 팥쥐〉와〈고메후쿠 아와후쿠(米福ㆍ栗福)〉 = 86 2.〈연이와 버들도령〉과〈의붓자식의 딸기 구해 오기(繼子のいちご取り)〉 = 114 3.〈손 없는 색시〉와〈손 없는 처녀(手なし娘)〉 = 138 4.〈약 되는 간〉과〈의붓자식의 간 내기(繼子の肝取り)〉 = 162 5.〈우목낭상〉과〈순토쿠마루(俊德丸)〉 = 187 6.〈의좋은 이복 자매〉와〈오긴 고긴(おぎんㆍこぎん)〉 = 209 7.〈의붓자식을 우물에 빠트리기〉와〈의붓자식의 우물 파기(繼子の井戶掘り)〉 = 228 8.〈생선 머리〉ㆍ〈볶은 삼씨〉ㆍ〈잠자리 바꾸기〉 = 244 1)〈생선 머리〉와〈의붓자식과 생선(繼子と魚)〉 = 244 2)〈볶은 삼씨〉와〈의붓자식과 볶은 콩(繼子と炒り豆)〉 = 248 3)〈잠자리 바꾸기〉와〈인형으로 바꿔치기(人形の身替わり)〉 = 255 5장 한ㆍ일 계모설화 비교의 의의 = 264 1. 계모설화의 일치와 문화적 동질성 = 264 2. 계모설화의 불일치와 문화적 이질성 = 266 3. 계모설화의 동아시아적 의의 = 276 6장 결론 = 284 〈부록 1〉 = 291 한국계모설화유형분류표 = 291 국제적 유형 비교표 = 319 계모설화의 자료목록 = 321 〈부록 2〉 = 328 일본계모설화유형분류표 -『日本昔話通觀』제28권,「일본석화타이프 - 인덱스」에 수록된「繼子話」번역 = 328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