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컨텐츠 설계 및 개발의 기초
Chapter 1 컨텐츠 설계와 개발의 개요 / 조미헌 = 2
1. 컨텐츠 설계와 개발의 특성 = 3
2. 체제적 교수설계ㆍ개발 = 5
3. 체제적 교수설계ㆍ개발의 단계별 세부 활동 = 11
Chapter 2 기획 / 이옥화 = 20
1. 기획의 의의 = 21
2. 기획의 과정 = 22
Chapter 3 분석 / 허희옥 = 36
1. 분석의 개요 = 37
2. 요구 분석 = 39
3. 학습 내용 분석 = 45
4. 학습자 분석 = 57
5. 학습 환경 분석 = 63
6. 학습 목표 진술 = 68
Chapter 4 기획 및 분석의 실제 / 이옥화 ; 허희옥 = 76
1. 기획의 실제 = 77
2. 분석의 실제 = 89
PART 2 컨텐츠 설계
Chapter 5 컨텐츠 설계의 기초 / 조미헌 = 112
1. 교수설계의 의미와 특성 = 113
2. 설계개요서 = 116
3. 학습 흐름도 = 123
4. 내용 구성 원고 = 132
5. 스토리보드 = 138
Chapter 6 교수설계 이론 / 허희옥 = 156
1. 교수설계 이론의 인식론적 관점과 학습 이론 = 157
2. 객관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한 교수설계 이론 = 160
3. 구성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한 교수설계 이론 = 170
Chapter 7 상호작용 설계 방법 / 김미량 = 186
1. 상호작용 설계 = 187
2. 상호작용 설계의 구성요소 = 191
3. 화면설계 = 198
4.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 212
Chapter 8 교수-학습 유형별 설계 방법 / 김민경 ; 조미헌 = 222
1. 개인교수 = 223
2. 반복연습 = 227
3. 시뮬레이션 = 230
4. 교육용 게임 = 235
5. 자료제시 = 239
6. 문제해결 = 242
Chapter 9 지식의 유형별 설계 방법 / 김민경 = 250
1. 개념 학습을 위한 설계 방법 = 251
2. 원리 학습을 위한 설계 방법 = 254
3. 절차 학습을 위한 설계 방법 = 257
4. 인지 전략 학습을 위한 설계 방법 = 259
5. 태도 증진을 위한 설계 방법 = 261
6. 운동 기능 숙달을 위한 설계 방법 = 264
Chapter 10 설계의 실제 / 조미헌 ; 김미량 ; 김민경 = 268
PART 3 컨텐츠 개발 및 평가
Chapter 11 컨텐츠 개발 / 허희옥 = 318
1. 개발 과정 = 319
2.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 338
3. 웹 문서 제작 = 345
Chapter 12 e-Learning 컨텐츠 운영 환경 / 이옥화 = 356
1. e-Learning 컨텐츠 운영 환경의 개념 = 357
2. e-Learning 컨텐츠 운영 환경의 구성 = 360
3. e-Learning 시스템의 기능 = 363
4. IPTV의 교육적 활용 = 371
5. 모바일 컨텐츠의 교육적 활용 = 376
6. 교육용 로봇의 활용 = 381
Chapter 13 e-Learning 표준화 / 이옥화 = 388
1. e-Learning 기술 표준화의 개요 = 389
2. e-Learning 기술 표준화 분야 = 393
3. e-Learning의 질관리 = 403
Chapter 14 컨텐츠 평가 / 김미량 = 424
1. 컨텐츠 평가의 목적 = 425
2. 컨텐츠 평가의 관점 = 427
3. 컨텐츠 평가의 절차 = 428
4. 평가도구의 타당도 측정 = 429
5. 컨텐츠 평가의 내용과 요소 = 431
6. 컨텐츠 평가의 항목 = 434
Chapter 15 개발 및 평가의 실제 / 허희옥 ; 김미량 = 450
1. 개발의 실제 = 451
2. 평가의 실제 = 479
부록 : 행동목표 진술 동사 리스트 = 496
찾아보기 =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