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시스템 개요
제1절 시스템 개념 = 14
1. 시스템의 정의 = 14
2. 정보 시스템 = 15
3. 시스템의 특성 = 20
제2절 시스템 개발 방법 = 21
1. 시스템 개발의 동기 = 21
2. 시스템 개발 방법 = 22
3. 시스템의 개발 주기 = 22
제2장 시스템 조사와 분석
제1절 조사 분석의 개요 = 40
1. 시스템 분석 = 40
2. 시스템 분석가 = 41
3. 조사 분석 과정 = 42
제2절 시스템 조사(Survey) = 42
1. 예비 조사 = 42
2. 기초 조사 = 43
3. 조사 내용 = 47
제3절 시스템 분석 단계 = 53
1. 기능분석 = 54
2. 예비설계 = 56
3. 비용효과 분석 = 58
제4절 개발 계획서 작성 = 59
1. 인력(개발 조직) 계획 작성 = 60
2. 비용 계획 작성 = 63
3. 추진일정 계획 작성 = 63
제3장 구조적 분석
제1절 구조적 분석 개요 = 78
1. 구조적 분석의 정의 = 78
2. 구조적 분석의 특징 = 78
제2절 구조적 분석 도구 = 80
1. 자료 흐름도(D.F.D) = 80
2. 자료 사전(D.D : Data Dictionary) = 91
3. 소단위 명세서(Mini-Spec) = 97
제3절 구조적 분석 절차 = 102
1. 개요 = 102
2. 분석 절차 = 105
제4절 구조적 검토회의(Structured Walkthrough) = 121
1. 구조적 검토회의 개요 = 122
2. 구조적 검토 회의의 특징 = 122
3. 구조적 검토회의 참석자와 운영 = 123
4. 구조적 검토회의 진행 단계 = 125
제4장 구조적 설계
제1절 시스템 설계 개요 = 140
1. 시스템 설계 정의 = 140
2. 설계의 원리 = 140
3. 설계의 특징과 종류 = 141
제2절 구조적 설계(Structured Design) 개념 = 144
1. 구조적 설계의 정의 = 144
2. 모듈화(Modularization) = 145
3. 구조적 설계의 구성 = 146
제3절 설계 구조도(Structured Chart) = 147
1. 프로그램 모듈 작성 = 148
2. 설계 구조도 작성 예 = 151
3. 설계 구조도의 작성시 검토사항 = 153
제4절 모듈 명세서(Module Specification) = 154
1. 개념 = 154
2. 모듈 명세서의 작성 구성 = 154
3. 모듈 명세서의 작성 도구 = 157
제5절 설계전략 기술 = 161
1. 변환 분석(Transform Analysis) = 161
2. 거래 분석(Transaction Analysis) = 166
제6절 설계 평가 기술 = 170
1. 모듈 결합도 = 171
2. 모듈 응집도 = 174
제5장 코드 설계
제1절 코드의 개요 = 192
1. 코드의 정의 = 192
2. 코드의 필요성 = 192
제2절 코드 설계의 원칙 = 194
1. 코드 설계의 기본 원칙 = 194
2. 코드 설계의 유의 사항 = 195
제3절 코드의 종류 = 196
1. 목적에 의한 분류 = 196
2. 기능에 의한 분류 = 196
제4절 코드의 에러 및 검출 방법 = 201
1. 코드 설계 및 관리상의 오류 방지 방안 = 202
2. 코드 오류 방지를 위한 기기의 사용 = 202
3. 오류 검출 = 203
제5절 코드 설계 순서 = 206
제6절 코드 관리 = 211
1. 코드 관리 방법 = 211
2. 코드 관리 기준 = 212
3. 코드의 유지 보수 = 212
제6장 입ㆍ출력 설계
제1절 입력 설계 = 228
1. 입력 설계의 개념 = 228
2. 입력 설계의 내용 = 228
3. 원시 전표의 설계 = 230
4. 입력 매체 = 231
5. 입력 방식 = 234
제2절 출력설계 = 237
1. 출력 방식과 출력 매체 = 237
2. 출력 설계 순서 = 240
3. 출력 보고서 설계 = 241
제3절 입출력 인터페이스 설계 = 242
1. 인터페이스 개념 = 242
2.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유형 = 244
제7장 파일 설계
제1절 파일 설계의 기본 = 260
1. 파일의 종류 = 262
2. 파일과 레코드 = 273
제2절 파일의 속성 = 275
1. 데이터 구조 = 275
2. 비선형 구조 = 278
3. 파일 속성의 검토 = 282
제3절 파일 매체의 설계 = 284
1. 파일 설계의 전제 = 284
2. 파일 매체 = 285
3. 파일 설계의 순서 = 286
제8장 데이터베이스 설계
제1절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 301
1. 데이터베이스 개념 = 301
2. 파일 시스템(File System) = 303
3.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305
4.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 306
5.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요소 = 306
6.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 308
제2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309
1. 데이터베이스 = 310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312
3. 데이터베이스 언어 = 315
4.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 316
5. 데이터베이스 기계 = 317
제3절 데이터 모델링 = 317
1. 데이터 모델 개념 = 317
2. 개체-관계 모델(E-R:Entity-Relationship Model) = 320
제4절 관계형 데이터 모델 = 324
1. 기본 구성 = 324
2. 릴레이션 특징 = 325
3. 관계 데이터 제약 = 325
제5절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법론 = 327
1. 데이터베이스 설계 개요 = 327
2. 데이터베이스 설계 절차 = 327
제6절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 = 337
1. 정규화되지 않은 스키마의 문제점 = 337
2. 함수적 종속성 = 334
3. 정규화 과정 = 335
제9장 프로세스 및 프로그램 설계
제1절 프로세스 설계 = 352
1. 프로세스 설계의 기본 = 352
2. 표준 패턴 = 352
3. 프로세스 설계 순서 = 357
제2절 프로그램 설계 = 358
1. 프로그램 설계서의 구성 = 358
2. 프로그램 작성 = 360
3. 프로그래밍의 표준화 = 360
4. 프로그램 테스트 = 361
제10장 시스템 평가와 문서화
제1절 시스템 평가 = 376
1. 시스템의 평가 = 376
2. 시스템 도입의 평가 = 379
제2절 시스템의 문서화(Documentation) = 382
1. 시스템 문서화의 개요 = 382
2. 문서화의 표준화 = 383
3. 문서화의 구분 = 384
4. 문서화 도구들(Documentation Tools) = 387
제11장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제1절 객체 지향(Objct-Oriented)의 개요 = 404
1. 객체 지향의 개념 = 404
2. 객체 지향의 기본 요소 = 405
3. 객체 지향의 장단점 = 407
제2절 객체 지향 개발 단계 = 408
1. 객체 지향 분석(OOA ; Object-Oriented Analysis) = 408
2. 객체 지향 설계(OOD: Object-Oriented Design) = 409
3.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 = 410
제3절 객체 지향 개발 방법론 = 411
1. 객체 지향 개발 = 411
2. 객체 지향 개발의 과정 = 412
3. 대표적인 객체 지향 방법론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