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북한인권 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 평화적 개입 전략과 국제 사례

북한인권 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 평화적 개입 전략과 국제 사례 (Loan 6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학성, 저 Maung, Zaw, 저 박명림, 朴明林, 1963-, 저 서창록, 저 원재천, 저 이남주, 저 김수암, 편 윤영관 尹永寬, 편
Title Statement
북한인권 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 평화적 개입 전략과 국제 사례 / 김수암 [외]지음 ; 윤영관, 김수암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0  
Physical Medium
283 p. ; 24 cm
Series Statement
한반도평화연구원총서 ;6
ISBN
9788946052741
General Note
지은이: 김수암, 김학성, 마웅저, 박명림, 서창록, 원재천, 이남주  
부록: 버마 인권개선의 사례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1265camcc2200385 c 4500
001 000045635661
005 20230810174908
007 ta
008 110317s2010 ggk b 001c kor
020 ▼a 9788946052741 ▼g 93340
035 ▼a (KERIS)BIB000012075880
040 ▼a 242002 ▼d 242002 ▼d 211009 ▼c 211009
082 0 4 ▼a 323.095193 ▼2 22
085 ▼a 323.09539 ▼2 DDCK
090 ▼a 323.09539 ▼b 2010
245 0 0 ▼a 북한인권 개선, 어떻게 할 것인가 : ▼b 평화적 개입 전략과 국제 사례 / ▼d 김수암 [외]지음 ; ▼e 윤영관, ▼e 김수암 엮음
246 1 1 ▼a Improving North Korean human rights situation : ▼b peaceful engagement and international experiences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0
300 ▼a 283 p. ; ▼c 24 cm
440 0 0 ▼a 한반도평화연구원총서 ; ▼v 6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274
500 ▼a 지은이: 김수암, 김학성, 마웅저, 박명림, 서창록, 원재천, 이남주
500 ▼a 부록: 버마 인권개선의 사례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김학성, ▼e▼0 AUTH(211009)50831
700 1 ▼a Maung, Zaw, ▼e
700 1 ▼a 박명림, ▼g 朴明林, ▼d 1963-, ▼e▼0 AUTH(211009)126906
700 1 ▼a 서창록, ▼e▼0 AUTH(211009)62153
700 1 ▼a 원재천, ▼e▼0 AUTH(211009)79543
700 1 ▼a 이남주, ▼e▼0 AUTH(211009)138869
700 1 ▼a 김수암, ▼e▼0 AUTH(211009)124482
700 1 ▼a 윤영관 ▼g 尹永寬, ▼e
900 1 0 ▼a 마웅저,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116166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116166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212118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513153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513153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116166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116166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212118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513153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3.09539 2010 Accession No. 15131533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반도평화연구원총서 여섯 번째 책. 한반도 분단의 당사자로서 한국 사회는 남북 통합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인권개선을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이 책은 ‘우리 사회가 한반도 통합에 대비하기 위해 어떻게 평화적으로 개입해 북한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큰 맥락에서 북한 인권문제는 어디쯤에 있는지를 조망한다.

북한 인권문제, 왜 평화적 개입이 필요한가?
한반도 통합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 연구


북한 인권문제는 본질적으로 북한 당국과 북한 주민이 해결해야 할 문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북한 당국의 인권에 대한 태도와 북한 주민의 인권의식 수준을 고려할 때, 결국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핵심은 외부의 개입이라 할 수 있겠다.
- 본문 중

탈냉전의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한반도는 유일하게 냉전 대결의 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국제 흐름에 뒤처지고 있다. 21세기 국제 무대의 주역이 되기 위해서 이러한 간극을 좁혀나가는 것이 우리의 사명이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문제, 특히 북한 인권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한반도 분단의 당사자로서 한국 사회는 남북 통합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인권개선을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이 책은 ‘우리 사회가 한반도 통합에 대비하기 위해 어떻게 평화적으로 개입해 북한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큰 맥락에서 북한 인권문제는 어디쯤에 있는지를 조망하려 했다. 예를 들어 북한인권 개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서독의 대동독 인권정책, 중국의 사례 등 인권개선 정책의 국제 사례들을 검토했다. 그리고 다자 협력, 국제법 관점에서 북한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평화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려 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명림(지은이)

현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로서 정치학, 사회인문학, 평화학, 한국학, 동아시아국제관계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연세대학교 인간평화와 치유 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 박사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연구 교수(1994-1999), 하버드대학교 하버드-옌칭 연구소 협동 연구학자(1999-2001), 프랑스고등사회과학원과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2013-2014)로 재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전쟁의 발발과 원 1,2』(1996), 『한국1950: 전쟁과 평화』(2002) 등이 있다.

서창록(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수, 유엔 자유권위원회 위원 1989년 미국 유학 시절, 인턴으로 4개월간 제네바의 유엔본부에서 일하며 국제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14년, 유엔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며 청년 시절의 꿈을 뒤늦게 이루었으며, 2020년에 한국인 최초의 유엔 시민적·정치적권리위원회(자유권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최근 주요 관심사는 신기술이 인권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인권보호체제 증진방안으로 이와 관련한 주제의 보고서를 작성해 유엔인권이사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인권학자로서 다양한 직책을 거쳤지만, 무엇보다 인권활동가로서의 역할을 가장 소중하게 생각한다. 1990년대 중반에 북한인권 활동을 하다 아시아 지역으로 시야를 넓히게 되었고, 이에 2000년대 중반 인권NGO 휴먼아시아를 설립했다. 현재까지 아시아의 이주노동자, 난민의 보호와 인신매매, 기업과 인권 등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인권활동을 해오고 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터프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6년부터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고려대 국제대학원장, 인권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일민국제관계연구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 인권전문가로서 국가인권위원회,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에서 자문활동을 했고, 현재 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나는 감염되었다》(2021), 《국제기구 : 글로벌 거버넌스의 정치학》(공저, 2016), 《국제기구와 인권, 난민, 이주》(공저, 2015) 외 다수가 있다.

김학성(지은이)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와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전국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상임대표이다. 편저로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2019), 공저로 『독일 통합과 한국』 (2019)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반도 문제의 해결방법에 관한 제도주의적 접근” (『한국과 국제정치』 32권 2호 [2016] 수록)이 있다.

이남주(지은이)

성공회대학교 인문융합자율학부 교수. 현대 중국의 정치사상과 중국의 부상에 따른 국제 관계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동시에 분단 체제의 관점에서 한반도와 지역 질서의 변화와 관련한 글도 발표했다. 계간 『창작과 비평』 주간도 맡고 있다. 저서로 『중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특징』, 『이중과제론』(공저), 『중국 국가전략의 변화와 한중 관계에 대한 함의』(공저) 등이 있다.

김수암(지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센터 소장

마웅저(지은이)

버마 민주화 운동가

원재천(지은이)

한동대학교 국제법률전문대학원 교수 미국 버지니아 공대에서 학사 학위와 경영학 석사 학위를, 뉴욕 브루크린 사법대학원에 법학박사(Juris Doctor) 학위를 취득했다. 국방부 법무관리관실 국제법장교와 뉴욕 주 검사를 역임했으며, 2001년 한동대학교 국제법률전문대학원 설립 교수 및 교학실장으로 임명된 후 국제 인권법, 국제개발법, 미국형사소송법, 국제협상법 등을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에서는 대한민국의 인권정책, 인권교육, 시민사회교류 및 국제인권, 북한인권 부서들을 총괄 책임지는 정책교육국장을 엮임했고, 한동대 통일과평화연구소 소장이다. 대한국제법학회 이사와 한국형사소송법학히 상임이사로 학회활동을 하고 있고, 북한인권시민연합의 국제이사로 봉사하고 있으며, 미국변호사협회 국제법분과 회원, 뉴욕 주 변호사협회 형사법분과 회원이다. 저서는 《Northeast Asian Perspective on International Law》 《북한난민 문제의 해결과 접근》 《유엔인권메커니즘과 북한인권》 등이 있다.

윤영관(엮은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 후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국제정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서울대학교에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는 캘리포니아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3년간 국제정치경제학을 가르쳤다. 국제정치경제, 한국외교, 남북관계 분야에서 「외교의 시대」, 「21세기 한국정치경제모델」, 「한반도 통일」(공저), 「통일한국의 정치제도」(공저) 등의 저서와 8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World Politic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National Interest 등의 국제학술지와 미디어에 실렸다. 비영리 민간연구소인 미래전략연구원과 한반도평화연구원을 설립해 초대 원장으로 일했고, 제32대 외교통상부 장관, 동아시아비전그룹 II 한국대표이자 공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를 맡고 있다.

김수암(엮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통일연구원 북한인권센터 소장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발간사 = 4
서문 북한 인권문제, 왜 평화적 개입이 필요한가? = 6
제1부 북한인권에 접근하는 시각과 국제사회의 인권논의
 제1장 한국의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접근: 반성과 대안 모색 / 박명림 = 22
  1. 문제제기: '북한문제'인가, '인권문제'인가? = 22
  2. 문제의 차원과 수준의 분리: 부분적ㆍ포괄적 종합을 위한 전제 = 27
  3. 한국 정부와 사회의 대북정책과 북한인권: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의 이중 준거, 보수와 진보의 역전 = 33
  4. 법률 영역에서의 포괄적ㆍ통합적 접근 사례: 한반도 민주주의, 한반도 인권증진의 관점에서 = 44
  5. 잠정적 대안을 찾아서 = 54
 제2장 인권논의의 세계적 흐름과 북한인권 / 김수암 = 61
  1. 서론 = 61
  2. 국가 중심의 국제관계와 인권 = 63
  3. 인권의 보편성과 상대성 논쟁 = 73
  4. 개발(발전)과 인권 = 79
  5. 인권 논쟁과 북한 = 82
  6. 결론 = 85
제2부 인권개선 정책의 국제 사례
 제3장 서독의 대동독 인권정책 / 김학성 = 92
  1. 문제제기 = 92
  2. 동독 인권문제에 대한 서독 사회의 담론과 실천 = 95
  3. 동독 인권침해에 관한 서독의 판단 기준과 내용 = 107
  4. 서독 정부의 대동독 인권정책 사례 = 115
  5. 시사점 = 127
 제4장 중국에서 인권규범의 확산과 한계 / 이남주 = 134
  1. 왜 중국의 인권이 문제인가? = 134
  2. 국제인권규범의 확산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리세와 시킹크의 '5단계 나선모델'을 중심으로 = 137
  3. 개혁개방 이후 중국 인권상황의 변화: 강한 상대주의에서 약한 상대주의로의 전환 = 142
  4. 국제인권체제와 중국 정부의 상호 작용: 전술적 양보 단계로의 진전 = 148
  5. 중국 내에서 인권규범의 내재화와 한계 = 156
  6. 결론 = 164
제3부 북한인권 개선과 개입 전략
 제5장 북한인권과 다자적 접근 / 서창록 = 172
  1. 서론 = 172
  2. 국제사회와 인권 = 173
  3. 북한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다자적 접근법 모색 = 185
  4. 결론 = 194
 제6장 북한인권의 국제법적 접근 / 원재천 = 200
  1. 서론 = 200
  2. 국제인권법과 정치범 수용소 = 201
  3. 국제인권법과 북한 종교의 자유 = 204
  4. 국제난민법과 탈북자 인권 = 209
  5. 국제형법과 북한인권 = 213
  6. 국제인도법(전쟁법)의 적용과 납북자 및 미송환 국군포로 = 220
  7. 결론 = 224
나가며 : 평화적 개입 수준의 설정과 전략의 모색 / 김수암 = 227
 1. 조력자ㆍ촉진자로서의 평화적 개입 = 227
 2. 북한의 인권 네트워크 형성 및 허브역할 수행 = 229
 3. 개입 목표의 설정과 실천 전략의 수립 = 231
 4. 북한의 개방과 인권규범의 확산 전략 = 233
 5. 북한 당국의 정권안보 인식과 대응전략 수립 = 234
 6. 남북관계 개선과 인권개선의 통합전략 수립 = 236
 7. 자유권과 사회권의 통합 접근 = 237
 8. 개발과 인권의 통합 = 238
 9. 상호 보완적 전략의 병행과 개선효과 평가 = 239
부록 : 버마 인권개선의 사례 / 마웅저 = 241
 1. 들어가며 = 241
 2. 버마의 역사 = 242
 3. 경제에 관하여 = 244
 4. 보건ㆍ교육에 관하여 = 256
 5. 민주화 세력에 관하여 = 266
 6. 맺음말 = 271
찾아보기 = 27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