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뉴스미디어의 미래 : 델파이 조사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탐색

뉴스미디어의 미래 : 델파이 조사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탐색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영욱, 책임연구 김광호, 연구
서명 / 저자사항
뉴스미디어의 미래 : 델파이 조사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탐색 / 김영욱 [책임연구]; 김광호 [공동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형태사항
219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연구서 ;2010-09
ISBN
9788957112847
서지주기
참고문헌(p. 167-168)과 부록수록
000 00940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635266
005 20110408171815
007 ta
008 110315s2010 ulkad b 000c kor
020 ▼a 9788957112847 ▼g 93300
035 ▼a (KERIS)BIB000012327914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070.4 ▼2 22
085 ▼a 070.4 ▼2 DDCK
090 ▼a 070.4 ▼b 2010z3
245 0 0 ▼a 뉴스미디어의 미래 : ▼b 델파이 조사와 시나리오 기법을 통한 탐색 / ▼d 김영욱 [책임연구]; ▼e 김광호 [공동연구]
260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10
300 ▼a 219 p. : ▼b 삽화, 도표 ; ▼c 26 cm
490 1 0 ▼a 연구서 ; ▼v 2010-09
504 ▼a 참고문헌(p. 167-168)과 부록수록
536 ▼a 2010년 언론진흥기금으로 수행한 것임 c
700 1 ▼a 김영욱, ▼e 책임연구 ▼0 AUTH(211009)20623
700 1 ▼a 김광호, ▼e 연구
830 0 ▼a 연구서 (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10-09
945 ▼a KLPA
949 ▼a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서 ; ▼v 2010-09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116129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116150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116150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212071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212071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116129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116150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116150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212071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4 2010z3 등록번호 1212071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연구는 사회의 중요한 영역의 하나인 뉴스미디어가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고 빠르게, 큰 폭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그래서 그 동안 주로 기술, 에너지, 환경 등 복합성과 불확실성이 높은 사회영역에서 사용되었던 미래연구 방법을 뉴스미디어에 적용해 보기 위한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영욱(지은이)

한국언론진흥재단 수석연구위원이다. 저서로 「저널리즘의 객관성」, 「한국 언론의 윤리점검 시스템」, 「미디어 사회의 정치와 언론」, 「뉴스미디어의 미래」 등이 있다. “미디어 다양성 개념과 신문 정책”. “언론 윤리 가치의 위계” 등의 논문이 있다. 저널리즘, 언론윤리, 미디어 정책 등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youkim21@kpf.or.kr

김광호(지은이)

現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現 미래방송연구회 회장 現 저작권위원회 기술위원회위원장 저서: 《미디어융합과 방송의 미래》(공저)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01. 서론 11


1. 문제 제기: 복합성과 불확실성 11


2. 연구서의 구성과 내용 15


02. 미래연구의 경향과 방법들 17


1. 미래연구의 흐름과 방법론 17


1-1. 미래연구 추세 17


1-2. 미래연구 방법론 18


2. 시나리오 기법 20


3. 델파이 기법 (Delphi Technique) 23


3-1. 개념과 특징 23


3-2. 조사 방법 24


(1) 절차 24


(2) 델파이 조사의 장점과 한계 26


03.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27


1. 조사 방법 27


1-1. 대상자 선정 28


1-2. 설문 구성 29


1-3. 조사 진행 절차 31


1-4. 조사 결과 제시 방식 34


2. 뉴스 소통: 미래에 더 좋아진다 34


2-1. 뉴스 소통의 변화와 그 원인 35


2-2. 미래의 뉴스 소통 38


2-3: 뉴스의 질과 신뢰성 44


3. 미디어/플랫폼: 올드미디어는 주변부로, 다양한 미디어와 플랫폼의 병존 46


3-1. 미래 뉴스를 주도하는 미디어/플랫폼 47


3-2. 종이신문의 미래 50


3-3. 뉴스 이용의 주도적 기기(Device) 52


3-4. 모바일, 3D, 4D 56


3-5. 뉴스 이용 기기의 통합 혹은 다양화? 59


3-6. 새로운 플랫폼이 가져올 부정적 결과 60


4. 뉴스생산 조직과 언론인: 복합 미디어 그룹과 다양한 전문 미디어 기업의 병존 61


4-1. 전통적 뉴스 생산 사업자의 미래 62


4-2. 인터넷 포털과 인터넷 언론사의 미래 65


4-3. 미래 뉴스미디어 시장의 주도자 67


4-4. 미디어 기업 간의 협력과 제휴, 통합뉴스룸 69


4-5. 뉴스미디어 시장의 집중 혹은 분산 71


4-6. 직업적 언론인의 미래 모습과 역할 76


5. 뉴스 이용자의 변화: 이용자에 맞춘, 이용자를 찾아가는 뉴스 85


5-1. 미래 뉴스의 내용: 단신, 종합뉴스, 고급 뉴스? 86


5-2. 미래 뉴스 이용 방식 90


5-3. 미래 뉴스와 미디어 이용에 사용하는 비용 96


6. 비즈니스 모델 98


6-1. 뉴스 유료화 99


6-2. 고품질 저널리즘 콘텐츠의 생산 기반 101


6-3. 전통적 비즈니스 모델 붕괴와 저널리즘 기능 유지 104


6-4. 개인 맞춤 광고 및 모바일 광고 106


7. 사회적 영향과 미디어 권력 111


7-1. 뉴스미디어의 사회적 순기능 112


7-2. 뉴스미디어의 역기능 115


7-3. 뉴스와 정보의 자본 종속성, 이념적 양극화 등 118


8. 소결: ''진정한'' 개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개인에 맞춘 뉴스 조합 서비스 122


8-1. ‘스마트’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진정한 개인 미디어 시대의 개막? 123


8-2. 개별 이용자의 관심과 필요에 맞춘 뉴스 조합 서비스 125


8-3. 뉴스미디어 내부 혁신과 생산 체제의 변화 128


04. 미래 뉴스미디어 시나리오 131


1. 조사 방법 131


2. 조사 결과 133


3. 시나리오 선택 및 전제 137


4. 미래 뉴스미디어에 대한 2개의 시나리오 140


4-1. 시나리오 1 141


4-2. 시나리오 2 145


05. 결론과 전망 151


1. 델파이 조사 결과 요약 152


2. 전문가 서술에 나타난 미래 변화 156


3. 조사 결과의 함의 157


3-1. 뉴스미디어 기업에게 주는 함의 158


3-2. 미디어정책적 함의 161


4. 연구 방법에 대한 반성과 전망 164


참고문헌 167


부록 170


[부록 1] 자문단 명단 171


[부록 2] 델파이 조사 대상 전문가 명단 171


[부록 3] 델파이 1차 설문지 172


[부록 4] 델파이 2차 설문지 174


[부록 5] 시나리오를 위한 전문가 설문지 220


판권기 2


[표 1] 미래예측 방법론의 유형 19


[표 2] T.A.I.D.A의 과정 22


[표 3] 델파이 조사의 일반적 절차 25


[표 4] 뉴스 소통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소 37


[표 5] 뉴스와 정보 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디어/플랫폼 49


[표 6] 뉴스와 정보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설문 문항) 132


[표 7] 문항별 영향력과 불확실성 평균 및 표준편차 133


그림 1. 설문 구조 30


그림 2. 조사 절차 32


그림 3. 지난 10년간 뉴스와 정보 소통의 변화 36


그림 4. 뉴스 소통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소 (5점 척도 평균) 37


그림 5. 미래의 뉴스와 정보 소통 38


그림 6. 영역별 뉴스의 미래 변화 (5점 척도 평균) 39


그림 7. 연성뉴스와 경성뉴스의 변화 (5점 척도 평균) 40


그림 8. 뉴스와 정보의 질적 측면의 미래 변화 44


그림 9. 뉴스와 정보의 신뢰성 45


그림 10. 뉴스와 정보 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디어/플랫폼: 시기별 변화 50


그림 11. 종이신문이 사라진다 51


그림 12. 신문 주류 디지털 판 52


그림 13. 하나의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주도 53


그림 14. 태블릿 PC가 뉴스 전파의 주류 54


그림 15. E-Book/E-Paper 리더기가 인쇄미디어의 일반화된 기기로 54


그림 16. 스마트 TV가 뉴스 이용 주도 55


그림 17. 라디오가 뉴스미디어 역할을 못해 56


그림 18. 모바일 기기가 고정된 기기 추월 56


그림 19. 영상 뉴스의 3D 보편화 57


그림 20. 4D 뉴스 접근 가능 58


그림 21. 뉴스 이용 기기 59


그림 22. 신문 사업자 중요성 상실 63


그림 23. 지상파방송 사업자 중요성 상실 63


그림 24. 공영방송 중요성 상실 64


그림 25. 종합편성채널/보도전문채널 사업자 중요성 상실 65


그림 26. 인터넷 포털 뉴스서비스 중요성 상실 66


그림 27. 독립형 인터넷 언론의 중요성 상실 66


그림 28. 복합 미디어 기업이 뉴스미디어 시장 주도 67


그림 29. 외국 미디어기업의 한국 뉴스미디어 시장 진출 68


그림 30. 뉴스 조직 사이의 적극적인 협력과 제휴 69


그림 31. 전형적 편집국이 통합뉴스룸 71


그림 32. 미래 뉴스미디어 시장 과점 혹은 분점 72


그림 33. 뉴스 공급 주체별 비중 73


그림 34. 뉴스 생산조직, 중개업자, 플랫폼의 주도권 변화 75


그림 35. 직업적 언론인이 정보 분석 및 관리자로 전환 76


그림 36. 기자의 현장 취재 실종 78


그림 37. 기자 평가 소속 뉴스미디어 조직이 아니라 개인 역량 78


그림 38. 뉴스미디어 조직 아젠다 세팅 기능 상실 79


그림 39. 전문직 언론인이 담당하는 뉴스 비율 50% 이하 81


그림 40. 소셜미디어 생산 뉴스 비중 30% 이상 82


그림 41. 직접 정보원으로부터 정보 취득 비율 50% 이상 83


그림 42. 수용자 참여 뉴스의 일반화 84


그림 43. 멀티미디어 뉴스 콘텐츠가 기본 포맷 85


그림 44. 대부분 속보 및 단신 뉴스만 이용 87


그림 45. 종합적 뉴스에 대한 수요 실종 88


그림 46. 고급 정보의 르네상스 89


그림 47. 편집된 상태가 아니라 개별 뉴스들이 분리된 상태로 이용 91


그림 48. 뉴스 생산자와 분리된 이용 92


그림 49. 이동하는 지리적 장소에 맞춘 뉴스 상시 이용 94


그림 50. 뉴스 이용자 50% 이상이 뉴스를 SNS로 전파 95


그림 51. 전체 미디어 이용에 지출하는 비용 96


그림 52. 뉴스 이용에 지출하는 비용 97


그림 53. 일반 뉴스의 무료화 100


그림 54. 고급 뉴스 콘텐츠의 유료화 101


그림 55. 상업미디어에서 심층ㆍ분석ㆍ탐사 보도 실종 102


그림 56. 대부분의 심층ㆍ분석ㆍ탐사 보도 비영리적 저널리즘 조직에서 생산 103


그림 57. 고품질 저널리즘의 재정적 기반 104


그림 58. 저널리즘의 기능 유지 105


그림 59. 개인 맞춤형 광고가 일반 수용자 대상 광고를 추월 107


그림 60. 모바일 광고 비율 109


그림 61. 미디어 콘텐츠 연계 광고 비율의 변화 111


그림 62. 저널리즘 기능의 수행 정도 및 중요도 114


그림 63. 저널리즘 기능의 수행 정도 및 중요도: 20년 후의 시점 115


그림 64. 뉴스미디어 역기능의 정도와 중요도 116


그림 65. 뉴스미디어 역기능의 정도와 중요도: 20년 후의 시점 117


그림 66. 뉴스와 정보의 독립성/종속성 118


그림 67. 뉴스미디어의 이념적 양극화 120


그림 68. 언론 권력의 분산 121


그림 69. 미래 뉴스미디어 이용과 생산 체제의 변화 128


그림 70. 영향력과 불확실성에 따른 요인의 분포(표준화) 134


그림 71. 요인의 분포 135

관련분야 신착자료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