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세계화와 지방정부
1. 세계화와 지방정부 = 14
2. 세계화담론의 기원 = 24
3. 지방정부의 국제협력 = 32
4. 국제교류에서 지방외교로 = 36
02 지방외교의 이론과 사례
1. 지방외교의 실제 = 44
1) 지방외교의 실제 = 44
2) 지방외교의 아시아현상 = 56
3) 동북아 지방외교의 현황 = 62
(1) 한-일 지자체외교 = 68
(2) 한-중 지방외교 = 77
(3) 한-러 지방국제교류 = 83
4) 지방국제화 지원기구 = 87
(1) 한국 전국시도지사협의회 국제화지원실 = 87
(2) 일본 자치체국제화협회 = 93
5) 소결 = 96
2. 국제협력 평가와 의식조사 = 99
1) 지방간 국제교류의 전개 = 99
2) 국제화수준 평가분석을 위한 모형탐색 = 104
3) 국제화수준 평가결과 Ⅰ: 광역자치단체 = 109
4) 국제화수준 평가결과 Ⅱ: 기초자치단체 = 115
5) 국제교류 의식조사 = 130
03 광역단체의 국제통상협력
1. 광역단체의 국제통상협력 = 138
1) 광역단체의 세계화기반 = 138
2) 광역단체 대표사례 = 150
(1) 서울시청의 세계화전략 = 150
(2) 인천광역시의 글로벌 시티 지향 = 156
(3) 글로벌 시티 부산 = 162
(4) 강원도의 글로벌 플랜 = 167
(5) 광주광역시 국제화비전 = 171
(6) 제주특별자치도의 국제기구 활동 = 174
(7) 대구시장의 UCLG ASPAC 회장당선 = 179
(8) 울산광역시의 국제화추진 = 184
2. 기초단체 우수사례 = 190
1) 수원시의 캄보디아마을 건설 = 190
(1) 수원시의 국제교류현황 = 190
(2) 캄보디아 수원마을 조성사업 = 193
2) 여수시 엑스포유치와 국제교류 = 193
3) 글로벌 파주시의 국제교류 활성화 = 196
(1) 터키 에스키셰히르시(Eskiserhir) = 197
(2) 칠레 랑카과시(Rancagua) = 198
(3) 스페인 쿠엥카시(Cuenca) = 198
(4) 남아공 스텔렌보쉬시(Stellenbosh) = 199
(5) 캐나다 코퀴틀람시(Coquitlam) = 199
(6) 일본 사세보시(佐世保) = 200
4) 서해안 세계도시 시흥시 = 202
(1) 미국 미네소타주 로체스터시 = 203
(2) 일본 도쿄도 하치오지시(八王子) = 203
(3) 중국도시와 통상협력 = 204
5) 강진군 청자 해외전시회 = 205
6) 축제도시 화천군의 국제교류 = 207
(1) 산천어축제 배경 = 207
(2) 산천어축제 효과 = 207
(3) 세계겨울도시 시장회의 가입 = 208
7) 고성군의 공룡축제 = 209
8) 글로벌구로 국제전자 포럼 = 211
04 지방정부의 글로벌 전략
1. 지방정부의 관광활성화 전략 = 216
1) 세계각국의 관광전략과 지방정부 = 216
2) 한국관광 현황과 지역관광의 가능성 = 221
3) 지방관광 활성화의 장애요인 = 226
4) 지방관광 활성화 우수사례 = 230
(1) 부산-후쿠오카 관광교류: 모범사례 = 230
(2) 경기, 강원, 충남, 대구ㆍ경북의 성공사례 = 232
(3) 전남도, 광주광역시: 성장사례 = 234
5) 지방관광 활성화를 위한 향후 과제 = 236
2. 지역국제화와 인재육성 = 239
1) 세계화와 광주ㆍ전남지역 = 239
2) 서남권개발과 통상협력 = 241
3) 국제화인재의 육성방안 = 245
(1) 통상공무원 교육 = 247
(2) 중국과 일본전문가 육성 = 250
(3) 지역네트워크의 구축 = 254
4) 소결 = 256
3. 일본의 외자유치전략과 지방사례 = 257
1) 일본지방정부의 통상외교 = 257
(1) 지방국제화와 통상외교 = 257
(2) 지역경제와 외자유치 = 261
2) 일본의 외자유치와 지방정부 = 265
(1) 외자유치의 국제비교 = 265
(2) 고이즈미(小泉)정부와 외자유치 = 271
3) 외자유치 사례: 광역과 기초단체 = 274
(1) 광역자치단체 = 275
(2) 정령도시와 기초단체 = 279
4) 일본지방정부 외자유치의 시사점 = 282
5) 요약과 결론 = 285
05 지방국제기구와 해양네트워크
1. 지방국제기구의 비교연구 : 유럽형 vs 동아시아형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288
1) 지방외교와 국제기구 = 288
2) 지방국제기구의 기능과 조직 = 291
3) 유럽형 지방국제기구 = 297
(1) 유럽평의회 = 300
(2) 세계대도시권협회(METROPOLIS) = 300
(3) 유럽지자체협의회(CEMR) = 301
(4) 불어권지방정부연합(CPLRE) = 302
(5) 발트해연안 지방정부연합(BSSSC) = 302
4) 동아시아형 지방국제기구 = 303
(1)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NEAR) = 305
(2) 아시아대도시 네트워크21 = 306
(3) 시티넷(Citynet) = 307
(4) 환동해권 지방정부지사ㆍ성장회의(CARTELL) = 307
(5) 환동해권 거점도시회의 = 308
5) 정리와 요약 = 308
2. 동북아공동체와 지방간 국제교류 = 311
1) 동북아담론의 재검토 = 311
2) 지방간 국제교류와 동북아공동체 = 316
3) 대안의 모색 = 322
3. 국제협력과 해양네트워크 = 323
1) 지방외교와 해양네트워크 = 323
2) 국제교류에서 국제네트워크로 = 326
(1) 양자교류에서 다자간 네트워크로 = 326
(2) 국제네트워크의 개념 = 327
(3) 해양네트워크의 함의 = 328
3) 해양네트워크의 상호비교 = 331
(1) 환황해권 네트워크 = 331
(2) 환동해권 네트워크 = 333
(3) 한일해협권 네트워크 = 335
4) 해양네트워크의 진단 = 336
(1) 현상과 분석 = 336
(2) 대안의 탐색 = 338
5) 결론과 시사점 = 340
4. 환동해권 국제교류와 활성화방안 = 341
1) 환동해권과 지방외교 = 341
2) 환동해권 국제협력의 함의와 한계 = 343
3) 분석모델과 방법론 = 347
4) 韓ㆍ日 지방국제정책의 상이요인 = 350
(1) 네트워크모델 = 350
(2) 국제화조직 = 355
(3) 정책방향 = 359
5) 소결 = 362
06 다문화정책과 지방정부
1. 내향적 국제화와 지방정부의 역할 = 366
1) 국제화개념의 중층성 = 366
(1) 국제화의 한국적 이해 = 366
(2) 국제화의 한일비교 = 368
2) 외국인주민과 지방정부 = 370
(1) 내향적 국제화의 의미 = 370
(2) 외국인증가와 한국지방정부 = 373
3) 내향적 국제화의 현황 = 376
(1) 서울특별시 서울외국인 종합지원센터 = 377
(2) 대전광역시 국제교류센터 = 378
(3) 안산시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 379
(4) 성동구 외국인근로자센터 = 380
(5) 성북구 외국인대책 = 380
4) 시책안의 탐색 = 381
5) 요약과 결론 = 383
2. 한국지방정부의 다문화정책 현황과 과제 = 385
1) 한국의 다문화현상과 대응 = 385
2)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 390
3) 지자체의 다문화시책과 유형 = 394
(1) 광역단체 지원기구 = 394
(2) 기초단체 지원기구 = 396
4) 다문화정책과 지자체의 역할모색 = 399
(1) 중앙-지방거버넌스의 구축 = 399
(2) 지자체중심 시책과 조례제정 = 400
(3) 다문화도시회의 네크워크 = 401
5) 향후 과제 = 402
3. 다문화정책의 추진체계 = 403
1) 중앙정부의 정책추진체계 = 403
2) 지방정부의 사업과 예산 = 404
07 다문화정책의 국제비교
1. 외국인노동자와 다문화정책 = 410
1) 다문화현상과 외국인노동자 = 410
(1) 외국인노동자의 국제비교 = 410
(2) 외국인노동자와 한국 = 414
2) 외국인노동자의 사회통합 필요성 = 418
(1) 사회통합의 전제와 필요성 = 418
3) 외국인노동자의 사회통합 방안 = 421
(1) 고용허가제와 외국사례 = 421
(2) 사회통합 방안의 탐색 = 424
(3) 미등록노동자의 사회통합 = 427
4) 요약과 소결 = 430
2. 전환기에 선 한국의 이민정책과 사회통합 = 431
1) 전환기 한국의 이민정책 = 431
2) 대상별 사회통합정책 = 436
(1) 결혼이민자 = 436
(2) 다문화자녀 = 437
(3) 다문화가족 = 438
3) 대안의 모색 = 440
4) 향후과제와 전망 = 441
3. 일본의 다문화 거버넌스와 한국에의 시사점 = 443
1) 다문화현상의 국제비교 = 443
2) 외국인증가와 일본의 다문화현상 = 445
3) 다문화현상과 일본의 공공정책 = 452
4) 일본의 다문화 거버넌스와 사례 = 455
(1) 중앙정부의 거버넌스 모색 = 455
(2)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구축 = 457
(3) 외국인집주도시회의 = 459
5) 요약과 시사점 =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