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
본서의 구성 = 5
성찰적 질문 = 6
제1부 안드라고지의 뿌리(The Roots of Andragogy)
제2장 학습 이론 세계에 대한 탐구 = 9
왜 학습 이론을 탐구하는가? = 9
이론이란 무엇인가? = 11
학습이란 무엇인가? = 13
요약 = 19
성찰적 질문 = 20
제3장 학습 이론 = 21
이론 제창자와 해석자 = 21
이론의 유형 = 24
요약 = 37
성찰적 질문 = 38
제4장 성인학습 이론: 안드라고지 = 39
두 가지 연구의 흐름 = 40
사회 과학의 기여 = 49
성인교육의 기여 = 59
안드라고지의 뿌리: 하나의 통합적 개념 = 64
성인학습에서의 안드라고지 이론 = 67
처음에는 페다고지가 있었다 = 67
요약 = 77
성찰적 질문 = 79
제5장 교수 이론 = 81
학습 이론에 기반한 교수 원리 = 81
동물과 아동 학습 이론에 기초한 교수 개념 = 83
성인학습 이론에서 유래된 교수 개념 = 92
교수 이론으로부터 파생된 교수 개념 = 100
관점의 전환/비판적 성찰 = 114
변화 이론 = 116
요약 = 121
성찰적 질문 = 122
제6장 학습을 위한 안드라고지적 과정 모델 = 125
학습자 준비시키기 = 127
학습에 도움이 되는 분위기 조성하기 = 128
공동 기획을 위한 메커니즘 만들기 = 133
학습 요구 진단: 모델 수립하기 = 134
불일치 측정하기 = 135
프로그램 목표 수립하기 = 136
학습 경험의 유형 설계하기 = 141
프로그램 운영하기(학습 활동 시행하기) = 142
프로그램 평가하기 = 142
계약 학습 - 모두 통합하는 방법 = 145
인적자원개발(HRD)의 의미 변화 = 146
성찰적 질문 = 148
제2부 성인학습의 발전(Advancements in Adult Learning)
제7장 안드라고지의 실천 = 151
안드라고지 가정(assumptions)의 역사 = 151
개별적-교류적 틀 = 153
안드라고지의 역동적 관점 = 156
통합된 시스템인가, 유연한 가정인가? = 157
안드라고지 실천 모델 = 160
안드라고지 실천 틀의 적용 = 169
요약 = 176
성찰적 질문 = 177
제8장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성인학습 = 179
HRD의 목적 = 179
HRD와 수행 향상 = 182
HRD와 성인학습 = 184
개인 스스로의 학습 통제라는 전제 = 187
성인학습의 기획 과정 단계 = 188
결론 = 196
성찰적 질문 = 197
제9장 안드라고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 = 199
학습자의 알고자 하는 욕구 = 199
자기 주도 학습 = 202
학습자의 선행 경험 = 206
학습 준비도 = 211
학습과 문제 해결의 지향성 = 214
학습 동기 = 216
요약 = 218
성찰적 질문 = 220
제10장 안드라고지를 넘어서 = 221
성인학습자의 개인별 차이 = 222
학습 방법 배우기 = 234
성인학습에 대한 발달적 관점 = 239
요약 = 247
성찰적 질문 = 249
제11장 안드라고지의 미래 = 251
안드라고지의 개념과 철학 = 251
안드라고지에 관한 연구 = 254
안드라고지의 실천 = 256
요약 = 260
성찰적 질문 = 260
제3부 성인학습에서의 실천(Practice in Adult Learning)
제12장 전체-부분-전체 학습모델 = 263
모델 개요 = 264
WPW 학습모델의 첫 번째 전체 = 265
WPW 학습모델의 두 번째 전체 = 268
WPW 학습모델의 부분들 = 271
결론 = 271
성찰적 질문 = 274
제13장 교사에서 학습 촉진자로 변화하기 = 275
그렇게 열심히 공부한 적은 없다 = 277
연구 단위와 연구 팀 = 278
성찰적 질문 = 279
제14장 성취를 위해 사람들의 에너지를 발산시키기 = 281
성찰적 질문 = 289
제15장 학습계약 활용 지침 = 291
왜 학습계약을 활용하는가? = 291
어떻게 학습계약을 개발할 것인가? = 292
성찰적 질문 = 297
제16장 핵심 역량 진단 및 기획 지침 = 299
성인교육자/훈련 교수자의 역할 역량 자아 진단 척도 = 299
성찰적 질문 = 308
제17장 개인형 성인학습 양식 목록 = 309
해석 지침 = 317
현대적 학습: 안드라고지적 모델 = 319
교사/훈련 전문가에게 학습모델이 갖는 의미 = 320
성찰적 질문 = 320
제18장 훈련 진행상의 문제와 해법 = 321
연구 목적 = 322
문헌 고찰 = 322
연구 방법 = 324
훈련 교수 초보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 325
전문가 선정 = 326
전문가 설문조사 = 327
자료 분석 = 327
요약 = 333
성찰적 질문 = 334
제19장 새로운 역할과 환경에서의 직원 업무 효과성 개발 모델 = 335
새로운 직원 학습 분류법 = 336
새로운 직원 개발 시스템 = 344
교육 기관의 과제 = 345
성찰적 질문 = 347
참고문헌 = 349
찾아보기 =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