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11
중일전쟁시기 조선총독부 발표 폐품수집 통계의 허구성 / 김인호
Ⅰ. 머리말 = 19
Ⅱ. 폐품회수 정책의 개요 = 23
Ⅲ. 전국 단위 회수 실적의 허구성 = 29
1. 1938년 실적이 정말 1,000만 원 이상이었나? = 29
2. 신문사별 통계 숫자 차이 :『동아일보』의 기재 오류 = 32
3. 총독부 발표의 두 가지 모순 = 33
4.〈기타〉항목의 실체는 무엇인가? = 34
5. 실제 회수량 추정 = 38
6. 왜 조작했을까? = 41
Ⅳ. 도 단위 회수실적의 과장 = 44
1. 경기도 : 6개월 만에 1년치 전국회수고의 절반? = 44
2. 평남 : 평남만 조선전체의 29% 수거 = 46
3. 강원도 : 경찰부장의 통계와 신문보도가 다른 1938년 실적 = 47
4. 황해도 : 실적, 갑자기 4배로 뛰다 = 50
5. 충청 : 거품이 많은 충남, 거품이 적은 충북 = 51
6. 거품의 규모 추정 = 52
Ⅴ. 부ㆍ군 단위 회수 규모의 실체 = 53
Ⅵ. 맺음말 = 56
일본군'위안부'의 진실규명과 해결을 위한 국제법적 연구 / 장복희
Ⅰ.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배경과 현황 = 63
1. 위안부제도의 역사 = 63
2. 일본의 태도 = 64
3. 한국의 입장 = 67
4. 미해결 상황 = 68
Ⅱ. 일본군'위안부' 제도의 실체 = 71
1. 구조적인 성폭력 = 71
2. 강제노동 = 73
Ⅲ. 관련 국제법규 = 74
1. 일본이 가입한 관련 국제조약 = 74
2. 1907년 헤이그협약 : 전쟁범죄 위반 = 76
3. 인도에 반하는 범죄 = 79
4. 1946년 극동국제군사재판소 도쿄헌장 = 81
5. 1949년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네바협약 = 81
6. 1993년 구유고 국제형사재판소, 1994년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 및 1998년 국제형사재판소 규정 = 82
7. 전쟁범죄로서의 강제불임ㆍ강제낙태 = 82
8. 성노예 위안부 법정 = 84
Ⅳ. 군위안부에 대한 일본 사법부의 대응 = 85
Ⅴ. 진실과 화해위원회의 설치와 여성의 역할 - 남아프리카공화국 사례를 중심으로 = 87
Ⅵ. 해결방안 = 91
1. 입법적 해결 : 관련 특별법 제정 = 91
2. 사법적 해결 = 93
3. 진실규명위원회 설치 = 95
4. 한일 간의 법적ㆍ외교적 노력 = 95
Ⅶ. 맺음말 = 96
1. 군위안부제도의 실체와 일련의 결의 = 96
2. 일본 정부의 책임 = 97
3. 국제법에 근거한 성인지적ㆍ여성 참여적 해결 = 98
전후 해외 귀환자에 대한 한일 양국의 지원법 비교연구 - 입법의 역사적 배경과 성격을 중심으로 / 이연식
Ⅰ. 머리말 = 107
Ⅱ. 한일 양국의 분리와 본토귀환 = 109
1. 귀환의 역사적 성격 = 109
2. 양국의 귀환자 규모 = 115
3. 구 거류지의 귀환환경 = 120
Ⅲ. 귀환자에 대한 양국의 인식과 구호 논의 = 130
1. 귀환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 130
2. 귀환자 정착원호에 관한 논의 = 136
3. 정착을 위한 귀환자의 자구활동 = 141
Ⅳ. 한일 양국의 지원법 비교 = 145
1. 법제의 입법배경 = 145
2. 법제의 주요 내용 = 154
3. 법제의 특징과 문제점 = 160
Ⅴ. 맺음말 = 167
고바야시 요시노리의 보수우익 담론과 만화 전략 / 강기철
Ⅰ. 머리말 = 179
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 179
2. 선행연구 = 185
3. 분석방법 = 187
Ⅱ.고바야시의 보수우익 담론 = 188
1. 과거 전쟁의 신화 분석 = 189
2. '전후 민주주의 부정'의 신화 분석 = 194
3. '공'과 '개'의 신화 분석 = 197
Ⅲ. 고바야시의 만화 전략 = 201
Ⅳ. 맺음말 - 전망과 과제 = 213
일본의 언론에 나타난 한국과 일본의 관계 - 아사히신문, 요미우리신문, 산케이신문의 사설 내용분석(1965∼2007)을 중심으로 / 조규철 ; 김춘식 ; 강태웅 ; 오일환
Ⅰ. 문제의 제기와 연구목적 = 219
Ⅱ. 연구문제 = 222
Ⅲ. 연구방법 = 224
1. 분석대상과 자료의 수집 = 224
2. 분석유목 = 226
3. 코딩절차와 자료의 분석 = 227
Ⅳ. 분석 결과 = 228
1. 개관 = 228
2. 논조 = 233
3. 기사의 주제 = 238
Ⅴ. 결론 = 268
한일 간 역사갈등의 구조와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근대국가 성립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석완
Ⅰ. 머리말 = 277
Ⅱ. 1950∼1960년대의 연구(일본) = 280
Ⅲ. 1970∼1980년대의 연구(일본) = 288
Ⅳ. 1990∼2000년대의 연구(일본) = 293
Ⅴ. 1950∼2000년대의 연구(한국) = 300
Ⅵ. 갈등의 구조와 해소방안의 모색 = 304
Ⅶ. 맺음말 = 312
미국 내 한인들의 동북아시아 역사 갈등 대응 / 류승렬
Ⅰ. 머리말 = 323
Ⅱ. 미국 하원의 일본군'위안부' 결의안 통과 = 324
Ⅲ. '요코 이야기' 교재 퇴출 = 331
Ⅳ. 독도 지명 표기 변경 저지 = 342
Ⅴ. 역사 현안 대응의 특징 = 350
Ⅵ. 맺음말 = 356
찾아보기 =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