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소비에트 시대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음악 활동

소비에트 시대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음악 활동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보희
서명 / 저자사항
소비에트 시대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음악 활동 / 김보희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09  
형태사항
502 p. : 삽도, 악보 ; 25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096
ISBN
9788946050969
일반주기
부록: 1. 정추가 녹음한 민요목록(1958~1967년), 2. 리소냐의 노래책, 3.《리닌기치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85-294
000 00782n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33154
005 20110323165858
007 ta
008 090225s2009 ggkag 000c kor
020 ▼a 9788946050969 ▼g 93670 : ▼c \39,000
035 ▼a (KERIS)BIB000011581745
040 ▼a 242002 ▼d 242002 ▼d 211009
082 0 4 ▼a 781.62957047 ▼2 22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09z4
100 1 ▼a 김보희
245 0 0 ▼a 소비에트 시대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음악 활동 / ▼d 김보희 지음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09
300 ▼a 502 p. : ▼b 삽도, 악보 ; ▼c 25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096
500 ▼a 부록: 1. 정추가 녹음한 민요목록(1958~1967년), 2. 리소냐의 노래책, 3.《리닌기치
504 ▼a 참고문헌: p. 285-294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780.953 2009z4 등록번호 192050907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해외 한민족 음악 연구의 첫걸음
소인예술단의 공연 레퍼토리와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인 음악을 고찰한다


소인예술단의 노래, 춤, 연극 등이 일반 대중에게 어떻게 전파되었는지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공연했던 레퍼토리와 구체적인 공연 사례 등 소인예술단의 음악 활동을 분석해야 한다. 이 책은 소인예술단에서 공연한 창작가요와 전래민요를 중심으로 소비에트 시대의 고려인 음악을 분석해 고려인 음악의 시대적 성격과 특징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소인예술단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사회주의 체제에서 대중문화를 확산시킨 문화적 매개체로서 고려인 소인예술단이 수행한 사회문화적 기능을 살폈다. 이로써 민족 문화의 전수자로서 소인예술단이 크게 기여했음을 확인했다. 또한 고려인들의 노래를 기록한 노래책의 레퍼토리를 분석해 장르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각 음악을 시대적으로 고찰했으며, 고려인 창작가요 작곡가와 그들의 작품을 음악적으로 연구·분석해 그 속에 담긴 한민족 음악의 전승과 변천, 고려인 음악의 정체성 등을 연구했다.

기획의도 및 출간의의

서양 음악을 전공한 저자가 음악인류학자로의 길로 접어들면서 주목한 부분이 바로 소인예술단이다. 소인예술단이란 고려인 사이에 자발적으로 조직되어 활동한 문화예술집단으로, 고려인 음악 예술 활동의 중심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콜호스의 경제활동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일반 인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주의적 이념과 정부 정책을 홍보하는 기능을 하면서 소속 생산 집단의 생산력 향상을 도모했다. 저자는 해외에 살고 있는 한민족 민족문화 전승의 구체적 사례로 국내에 거의 알려진 바 없는 소인예술단을 주목했으며, 소인예술단의 공연 레퍼토리와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민족의 민족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하나의 기본 자료로 삼고자 했다.
이렇듯 고려인 음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세계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는 한민족 음악을 연구하기 위한 작은 첫걸음이며 이러한 연구가 구소련권뿐만 아니라 중국, 북한 등 세계로 확산되어 한민족 음악의 보전과 전승을 위한 토대가 되기를 바란다.

내용 소개

소인예술단이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과 음악 활동을 살펴보기 위해 우즈베키스탄의 대표 콜호스인 극성 콜호스와 폴리타토젤 콜호스의 소인예술단을 대상으로 소인예술단 활동에 실제로 참여했던 고려인들과 소인예술단을 지도했던 작곡가·연주가들의 음악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이 책을 장별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는 이 책의 목적과 연구 대상, 자료 조사 과정을 간략하게 담았다.
제2장에는 소인예술단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밝혔으며, 이와 함께 소인예술단에서 인민극장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인민극장의 기능을 고찰하고, 소련이라는 사회주의 국가의 문화정책에서 소인예술단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고려인 콜호스 소인예술단의 대표적 사례인 극성 콜호스의 ‘가야금’ 가무단과 폴리타토젤 콜호스의 ‘청춘’ 가무단을 중심으로 소인예술단 활동을 고찰했으며, 소인예술단을 지도했던 작곡가들과 음악 지도 및 공연을 담당한 연주가들을 소개했다.
제4장에서는 과거 소인예술단 단원으로 활동한 사람들이 체험한 음악 활동을 인터뷰를 바탕으로 재구성했다. 소인예술단원이던 리소냐 등의 증언과 타슈켄트 근교 콜호스의 소인예술단원으로 활동했던 고려인들이 소장하고 있는 노래책을 분석했다. 또한 소인예술단의 공연과 관련된 《레닌기치》의 기사와 작곡가 정추가 채집한 고려인 노래 레퍼토리를 분석했다.
제5장에서는 ≪레닌기치≫에 실린 전래민요와 창작가요 142곡을 중심으로 소인예술단이 공연한 음악 레퍼토리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했다. 특히 민요, 창가, 유행가, 창작가요의 생성과 발전 과정, 전승된 노래의 작곡가와 작품을 소개하고 전래민요와 창작가요와의 관계를 밝혔다.
부록으로는 정추가 녹음한 민요 목록, 리소냐의 노래책, 《레닌기치》에 실린 창작가요 목록과 각 곡의 악보, 김형수의 노래책을 실어 고려인들의 노래를 생생히 전달하고 있다.

독자 대상

한국 음악 전공자
고려인 관련 역사 전공자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보희(지은이)

작곡가, 음악인류학 박사 미국 하와이 대학 작곡학 석사·박사 과정 수료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석사 한양대학교 음악학 박사(소비에트 시대 소인예술단의 음악활동)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국제교류팀장 한양대학교 인류학과 대학원 강사 저서: <한민족 음악 연구 I: 고려인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3. 선행 연구 검토 
4. 연구 범위와 방법 
제2장 고려인 소인예술단의 역사 
1. 사회주의 체제에서의 소인예술단의 역할 
2. 소인예술단의 형성과 발전 
3. 소인예술단과 인민극장의 관련성 
4. 소인예술단과 전문예술집단의 관련성 
5. 맺음말 
제3장 콜호스(집단농장) 소인예술단의 음악 활동 
1. 극성 콜호스(김병화 콜호스) ‘가야금’ 가무단 
2. 폴리타토젤 콜호스 ‘청춘’ 가무단 
3. 콜호스 소인예술단의 작곡가와 연주가 
4. 맺음말제4장 소인예술단의 노래 레퍼토리 연구 
1. 카자흐스탄 지역 소인예술단의 노래 
2. 정추가 채록한 카자흐스탄 지역 소인예술단의 노래 
3. 우즈베키스탄 지역 콜호스 소인예술단의 노래 
4. 맺음말 
제5장 ≪레닌기치≫에 실린 창작가요의 음악적 분석 
1. 창작가요의 연대별 고찰 
2. 창작가요의 장르별 분석 
3. 대표적인 창작가요 작곡가와 작품 분석 
4. 맺음말 
제6장 결론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