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도출 및 산업화 방안 연구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도출 및 산업화 방안 연구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규옥, 저 강연수, 저 김영호, 저 임민희, 저 서훈식, 저
Title Statement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도출 및 산업화 방안 연구 = The promotion of robot service and its industrialization strategy on transportation / 김규옥 외 4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고양 :   한국교통연구원,   2010  
Physical Medium
xxxiii, 148 p. : 삽화 ; 25 cm
Series Statement
연구총서 ;2010-05
ISBN
9788955033762
General Note
저자: 김규옥, 강연수, 김영호, 임민희, 서훈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45-146
000 01123namcc2200337 c 4500
001 000045632729
005 20110302152702
007 ta
008 110302s2010 ggka b 000c kor
020 ▼a 9788955033762 ▼g 93530
040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38.47629893 ▼2 22
085 ▼a 338.47629893 ▼2 DDCK
090 ▼a 338.47629893 ▼b 2010
245 0 0 ▼a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도출 및 산업화 방안 연구 = ▼x The promotion of robot service and its industrialization strategy on transportation / ▼d 김규옥 외 4인
246 3 1 ▼a Promotion of robot service and its industrialization strategy on transportation
260 ▼a 고양 : ▼b 한국교통연구원, ▼c 2010
300 ▼a xxxiii, 148 p. : ▼b 삽화 ; ▼c 25 cm
490 1 0 ▼a 연구총서 ; ▼v 2010-05
500 ▼a 저자: 김규옥, 강연수, 김영호, 임민희, 서훈식
504 ▼a 참고문헌: p. 145-146
700 1 ▼a 김규옥, ▼e
700 1 ▼a 강연수, ▼e
700 1 ▼a 김영호, ▼e
700 1 ▼a 임민희, ▼e
700 1 ▼a 서훈식, ▼e
830 0 ▼a 연구총서 (한국교통연구원) ; ▼v 2010-05
900 1 0 ▼a Kim, Kyuok,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8.47629893 2010 Accession No. 12120625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서문


목차


요약 11


제1장 서론 3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2


2. 연구의 목적 3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3


1. 연구의 범위 33


2. 연구의 방법 33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35


1. 선행연구 검토 35


2. 본 연구의 차별성 36


제2장 로봇의 정의 및 핵심기술 37


제1절 로봇의 개념 37


1. 로봇의 정의 37


2. 국제 기준에 따른 로봇의 분류 38


제2절 로봇의 핵심기술 41


1. 시각 기술 42


2. 촉각영상 기술 45


3. 인지 기반 행위생성 기술 45


4. 문제해결 기술 46


5. 자기학습 및 성장 기술 46


제3절 로봇기술의 분류 47


제3장 로봇산업 환경 분석 48


제1절 로봇산업 환경 조사 및 분석 48


1. 로봇산업의 개요 48


2. 로봇산업의 환경변화 전망 53


제2절 로봇산업 현황 및 분석 54


1. 전 세계 로봇시장 현황 및 전망 54


2. 국내 로봇시장 현황 및 전망 60


제3절 정책 분석 67


1. 국외 로봇정책 67


2. 국내 로봇 정책 82


제4절 기술 수준 84


1. 로봇산업의 국내 기술 수준 84


2. 주요국 로봇기술 개발동향과 시사점 86


제4장 국내외 로봇활용 현황 및 산업 응용 사례 분석을 통한 교통분야 대응 90


제1절 교통부문 로봇활용 사례 분석 90


1. 일본 90


2. 미국 94


3. 유럽 97


4. 한국 102


제2절 로봇산업의 변화 분석 103


1. 로봇산업의 정책적 변화 103


2. 로봇산업의 경제적 변화 105


3. 로봇산업의 사회적 변화 106


4. 로봇산업의 기술적 변화 107


제3절 교통과 로봇의 산업 응용방향 도출 109


1. 로봇기술 전망 109


2. 교통산업의 변화 109


3. 교통분야의 로봇기술 응용 112


제5장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발굴 116


제1절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도출 116


1. 로봇서비스의 필요성 116


2. 교통분야 로봇서비스의 도출 117


제2절 교통 세부 분야별 로봇서비스 도출 및 분석 123


1.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선별을 위한 평가항목 123


2. 교통 세부 분야별 로봇서비스 분석 123


제6장 교통부문 로봇산업화 전략 구상 147


제1절 산업화 전략 147


1. 로봇산업 분석 147


2. 교통분야와 로봇분야의 산업융합방안 151


3. 교통부문 로봇산업화 전략 154


제2절 법규 및 제도적 지원방안 156


1. 로봇관련 특별법 현황 156


2. 법규 및 제도적 지원 방안 157


제3절 로봇서비스 활용 전망 및 로봇기술 분석 158


1. 로봇서비스 활용 전망 158


2. 서비스 구현을 위한 로봇기술 분석 161


제4절 교통부문의 로봇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164


1. 시장 규모의 정확한 예측과 기술의 확보 164


2. 신시장에 대한 도전과 지속적인 신제품의 개발 165


3. 품질과 가격경쟁력 확보 166


4. 산학연관 연계를 통한 협력체계 구축 166


5. 원천기술의 확보 167


6. 핵심부품의 해외 의존도 감소 필요 167


7. 기술의 집중화 168


8. 조기 시장 창출 및 산업화 기반 조성 필요 168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70


제1절 결론 170


제2절 정책 제언 173


1. 교통-로봇 기술개발 공동체 구성 173


2. 교통부문 로봇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 제도 마련 173


3. 교통분야 로봇서비스의 산업화를 위한 효율적 지원정책 설정 174


4. 교통분야 로봇서비스의 산업화를 위한 고급인재 양성 및 기술개발 기반확보 174


참고문헌 175


Abstract 177


판권기 179


[표 2-1] 로봇의 정의 37


[표 2-2] 전통적 로봇과 지능형 로봇의 비교 38


[표 2-3] 국제로봇연맹의 서비스 로봇 분류 40


[표 2-4] 로봇분야 기술 범위 47


[표 3-1] 로봇산업의 메가트렌드 52


[표 3-2] 로봇산업의 거시환경변화 분석 53


[표 3-3] 세계 로봇시장 규모 54


[표 3-4] 국가별 다목적 제조업용 로봇의 연간 출하량 56


[표 3-5] 주요국 산업 제조용 로봇시장 규모 57


[표 3-6] 2007년 세계 제조용 로봇시장 현황 57


[표 3-7] 서비스 로봇시장 전망 58


[표 3-8] 기관별 세계시장 전망 59


[표 3-9] 로봇분야별 국내시장(생산 기준) 규모 60


[표 3-10] 로봇산업 연구개발 현황 62


[표 3-11] 부문별 인력 현황 63


[표 3-12] 로봇산업 생산 현황 64


[표 3-13] 로봇산업 출하 현황 64


[표 3-14] 로봇산업 내수 및 수출용 출하 현황 65


[표 3-15] 미국 내 프로젝트 68


[표 3-16] 주요기관의 지원 내용 69


[표 3-17] 미국의 로봇분야 R&D 프로그램 70


[표 3-18] 일본 서비스 보급 촉진 72


[표 3-19] NEDO의 로봇 프로젝트 75


[표 3-20] 일본의 최근 로봇관련 정책 현황 76


[표 3-21] EUROP의 전략연구계획(SRA) 78


[표 3-22] EU의 로봇분야 R&D 프로그램 79


[표 3-23] 해외 주요국의 정책ㆍ기술ㆍ산업 동향 주요 특징 비교 81


[표 3-24] 정부의 로봇 R&D 자금지원 추이 82


[표 3-25] 지식경제부의 신성장 동력 단기-중기-장기 계획 83


[표 3-26] 제조업용 로봇의 국내 기술 수준 85


[표 3-27]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국내 기술 수준 85


[표 3-28]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국내 기술 수준 86


[표 3-29] 요소기술 경쟁력 비교 87


[표 3-30] 제품별 경쟁력 비교 88


[표 5-1] 교통분야 로봇서비스 목록 120


[표 5-2] 과제 선별을 위한 평가항목 123


[표 5-3] 다중센서 무인감시 로봇서비스 제안 124


[표 5-4] 교차로 최적운행 보조 로봇서비스 제안 125


[표 5-5] 교통량조사 로봇서비스 제안 126


[표 5-6] 인간형 교통수신호 로봇서비스 제안 126


[표 5-7] 도로 감시 및 추적용 블랙박스 탑재 로봇서비스 제안 127


[표 5-8] 철도 공항 통합감시 로봇서비스 제안 128


[표 5-9] 교통시설물 감시 로봇서비스 제안 129


[표 5-10] 다목적 자기부상식 이동 로봇서비스 제안 130


[표 5-11] 주차장 제설 로봇서비스 제안 130


[표 5-12] 교통시설 유지관리지원 로봇서비스 제안 131


[표 5-13] 노면표시 고속검사 로봇서비스 제안 132


[표 5-14] 도로작업용 부착형 로봇서비스 제안 133


[표 5-15] 터널청소 로봇서비스 제안 134


[표 5-16] 번호인식기능이 탑재된 자율주행 주차단속 로봇시스템 개발 제안 135


[표 5-17] 원격조종 교통경찰 도우미 로봇서비스 제안 136


[표 5-18] 횡단보도 상황인지 및 차량 보행자 간 양방향 정보제공 로봇서비스 제안 137


[표 5-19] 도로 사각지대 위험방지 로봇서비스 제안 138


[표 5-20] 교통경찰용 1인 이동플랫폼 로봇서비스 제안 139


[표 5-21] 음주측정 로봇서비스 제안 140


[표 5-22] 도로위험표지 프레임 이동 로봇서비스 제안 141


[표 5-23] 도로공사구간 안전관리 로봇서비스 제안 142


[표 5-24] 자율이동 컨테이너 및 탑승형 물류 로봇서비스 제안 143


[표 5-25] 장애인 교통정보안내 및 정보체계 구축지원 로봇서비스 제안 144


[표 5-26] 위치 및 시내버스노선 교통정보 안내 로봇서비스 제안 145


[표 5-27] 주차관리 로봇서비스 제안 146


[표 6-1] 해양건설교통 로봇 생산 현황 151


[표 6-2] 교통분야와 로봇분야의 산업융합방안 153


[표 6-3] 교통부문 로봇산업의 주체별 역할 155


[그림 1-1] 연구의 수행절차 34


[그림 2-1] 로봇을 위한 통합 지능 모델 42


[그림 3-1] 로봇산업의 분류 48


[그림 3-2] 지능형 로봇산업의 범위 49


[그림 3-3] 산업자원 통합기술 로드맵 기술체계도 50


[그림 3-4] 로봇의 연구개발 방향 51


[그림 3-5] 로봇분야의 메가트렌드 52


[그림 3-6] 세계 로봇시장 전망 55


[그림 3-7] 로봇산업의 역사와 미래전망 56


[그림 3-8] 일본 부처별 로봇관련 프로젝트 71


[그림 3-9] 일본 서비스 보급 촉진 로드맵 72


[그림 3-10] 일본의 로봇정책 73


[그림 3-11] 일본 총무성의 네트워크 로봇의 조기실현 방안 74


[그림 3-12] 일본 경제산업성의 로봇정책 마스터플랜 75


[그림 3-13] 중국 로봇산업 연구과정 80


[그림 4-1] 운송작업 수행 자율이동 로봇 로보포터(일본) 91


[그림 4-2]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이동 로봇 RODEM(일본) 92


[그림 4-3] 혼다 보행보조 로봇(일본) 93


[그림 4-4] 도요타 탑승형 보행 로봇 I-foot(일본) 94


[그림 4-5] 자동주차 시스템 장착 차량 Junior(미국) 95


[그림 4-6] 무인이동 로봇 TORC kits(미국) 95


[그림 4-7] 무인 헬리콥터(미국) 96


[그림 4-8] 세그웨이 PT(미국) 97


[그림 4-9] 인지 자동 로봇 자동차(독일) 98


[그림 4-10] 무인항공 로봇 유로호크(독일) 99


[그림 4-11] 무인로봇 주차장(독일) 100


[그림 4-12] 무인로봇 자동차(이탈리아) 101


[그림 4-13] 자동주유 로봇(네덜란드) 102


[그림 4-14] 도로 위험수신호 로봇(한국) 103


[그림 4-15] 무인주차장(한국) 103


[그림 4-16] 각국의 대표 로봇들 104


[그림 4-17] 로봇산업의 경제적 변화 105


[그림 4-18] 실버 도우미 로봇 106


[그림 4-19] ITㆍBTㆍNT 기술융합 로봇들 108


[그림 4-20] 지능화 및 감성화 로봇들 108


[그림 4-21] 차량용 및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시스템 110


[그림 4-22] 환경미화 로봇 DustBot 114


[그림 5-1] 교통운영 로봇서비스 사례 118


[그림 5-2] 시설관리 로봇서비스 사례 118


[그림 5-3] 교통안전지원 로봇서비스 사례 119


[그림 5-4] 자율주행 로봇서비스 사례 119


[그림 5-5] 교통생활지원 로봇서비스 사례 120


[그림 5-6] 교통분야 로봇서비스(안) 122


[그림 6-1] 앞 차량 간 거리유지 시스템 165


[그림 6-2] 로봇기술의 핵심부품인 모터ㆍ감속기 16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角川アスキー總合硏究所 (2023)
한국맥도날드 (2023)
SK 네트웍스 (2023)
국립민속박물관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