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정거래형법 : 시장의 공정성과 공정한 형법

공정거래형법 : 시장의 공정성과 공정한 형법 (3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돈
서명 / 저자사항
공정거래형법 : 시장의 공정성과 공정한 형법 / 이상돈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10   (2011)  
형태사항
xix, 264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법학총서
ISBN
9788918085029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803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28921
005 20111124155807
007 ta
008 110208s2010 ggka 001c kor
020 ▼a 9788918085029 ▼g 93360
035 ▼a (KERIS)BIB000012254081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345.519/0268 ▼a 343.519072 ▼2 22
085 ▼a 345.530268 ▼2 DDCK
090 ▼a 345.530268 ▼b 2010z1
100 1 ▼a 이상돈 ▼0 AUTH(211009)90507
245 1 0 ▼a 공정거래형법 : ▼b 시장의 공정성과 공정한 형법 / ▼d 이상돈
246 1 1 ▼a Fair trade and criminal law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10 ▼g (2011)
300 ▼a xix, 264 p. : ▼b 삽화 ; ▼c 23 cm
490 1 0 ▼a 법학총서
500 ▼a 색인수록
830 0 ▼a 법학총서 (法文社)
900 1 0 ▼a Yi, Sangdon,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116104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116104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1164913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9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513036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116104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116104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1164913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9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5.530268 2010z1 등록번호 1513036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정거래형법의 전반을 개관하고 조망, 미래를 전망하고, 카르텔죄와 시장지배지위남용죄, 독점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동의명령제도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책은 4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은 공정거래형법의 전반을 개관하고 조망하며, 미래를 전망한다. 그런 전망에서 볼 때 가장 중요한 공정거래형법인 카르텔죄와 시장지배지위남용죄를 제2장과 제3장에서 각각 신도 있게 다룬다. 기업결합이나 경제력 집중은 형법의 영역으로부터 많이 떨어져 있다. 개별적 불공정거래행위는 형사불법의 구조를 탄탄하게 갖고는 있으나 전통적인 형법에 의해서도 통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편적 법익을 보호하는 공정거래형법의 전형은 아니다. 그래서 이 세 분야는 이 책에서 다루지 않았다. 물론 이 분야들에 대한 나의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서 다루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 좀 더 시간을 두고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 제4장은 독점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동의명령제도를 다루고 있다. 이 제도는 공정거래(형)법의 패러다임을 부분적으로 경성법에서 현성법으로 전환시키는 중간법의 기제이다. 아직 실무화되기는 커녕 법제화되지도 못했지만, 결국은 도입될 것이다. 그리고 독점규제를 권위적 규제방식을 유연하고 소통적인 규제방식으로 진화시키는 데에 일조를 할 것이다. 이 책은 내가 그간 개간해온 전문형법의 영역들, 즉 증권형법, 조세형법, 부실감사법, 의료형법 등과 함께 나란히 할 수 있을 것 같다. 전문형법은 단지 형법이 아니다. 다른 법분과 그리고 다른 학문과도 학제적 ? 통섭적 교류를 해야만 한다. 그렇기에 이 책에서도 나는 때로는 경쟁 법학자들과, 때로는 경제학자나 철학자들의 생각과 맞서지 않을 수 없었다. 지식과 경험의 부족을 느낀다. 그 부족함에 대해 나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 특히 경제 법학자들이 애정과 호기심이 어린 이해와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상돈(지은이)

서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법학과 졸업(법학석사)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대학원 졸업(Dr.jur.)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정교수(現) 한국법철학회 회장(역임)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국선변호위원회 위원(역임) 대법원 법원행정처 소송규칙 자문특별위원회 위원(역임) 검찰제도개혁위원회 위원(역임) 법무부 인권옹호자문단 위원장(역임)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원장(역임) ≪저서목록≫ ■ 형사법 분야 1.<Wortlautgrenze, Intersubjektivitat und Kontexteinbettung>, Frankfurter Kriminalwissenschaftliche Studien, Bd.35, Ffm., 1992 2. <형법의 근대성과 대화이론>, 홍문사, 1994 3.<형사소송법 사안풀이와 법치국가>, 태진사, 1995 4. <형사소송법>(2인 공저), 홍문사, 1996 5. <사례연습 형사소송법>, 법문사, 2001 6. <형사소송원론>, 법문사, 1998 7. <형법정책>(2인 편역), 세창출판사, 1998 8. <형사소송법연습>, 법문사, 1999 9. <형법학>, 법문사, 1999 10. <정치와 형법>(2인 공역), 세창출판사, 2005 11.<신형사소송법>(4인 공저), 홍문사, 2011 12. <형법강의>, 법문사, 2010 13. <예술형법>, 박영사, 2014 14. <형법강론>, 박영사, 2015 ■ 의료법 분야 15. <의료형법>, 법문사, 1998 16. <의료체계와 법>, 고대출판부, 2000 17.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2002 18.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세창출판사, 2009 19. <의료법강의>(2인 공저), 법문사, 2009 20.<의약품공급계약과 사적 자치>, 세창출판사, 2014 21. <원내조제분업의 법리>, 세창출판사, 2015 ■ 경영법 분야 22. <윤리경영과 형법>, 신영사, 2005 23. <부실감사판례연구>, 법문사, 2006 24. <부실감사법>, 법문사, 2007 25. <기업윤리와 법>(3인 공저), 법문사, 2008 26. <조세형법론>, 법문사, 2009 27. <공정거래형법>, 법문사, 2010 28. <증권형법>, 법문사, 2011 29. <경영과 형법>, 법문사, 2011 30. <경영판단원칙과 형법>, 박영사, 2015 31. <기업경영형법>, 박영사, 2022 ■ 기초법 분야 32. <법이론>, 박영사, 1996 33. <법학입문>, 박영사, 1997 34. <법률해석의 한계>(5인 공저), 법문사, 2000 35. <법사회학>(2인 공저), 박영사, 2000 36. <대화이론과 법>(편역), 법문사, 2002 37. <법철학>, 법문사, 2003 38. <생명공학과 법>, 아카넷, 2003 39. <욕망은 행복을 낯설게 한다>, 연극과 인간, 2003 40. <헌법재판과 형법정책>, 고려대출판부, 2005 41. <새로 쓴 법이론>, 세창출판사, 2005 42. <법학입문>, 박영사, 1997 43.<법문학>(2인 공저), 신영사, 2005 44.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45. <문헌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법>(4인 공저), 세창출판사, 2006 46. <공익소송론>, 세창출판사, 2006 47. <시민운동론>, 세창출판사, 2007 48. <기초법학>, 법문사, 2008 49. <법미학>, 법문사, 2008 50. <법정신분석학입문>(2인 공저), 법문사, 2010 51. <법의 춤>, 법문사, 2012 52. <미술비평과 법>, 법문사, 2013 53.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54. <법의 예술>, 법문사, 2020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공정거래형법의 조망과 전망
 Ⅰ. 공정거래형법의 현황 = 3
  1. 공정성 - 시장의 경제성과 도덕성의 수렴점 = 3
  2. 공정거래형법의 현실 = 5
  3. 공정거래형법의 개혁과제 = 11
 Ⅱ. 불공정거래행위의 불법구조 = 12
  1. 불법의 기능주의적 유형화 = 12
  2. 불법의 존재론적 구조화 = 17
  3. 기능주의와 존재론적 접근의 변증 = 25
 Ⅲ. 불공정거래의 제재수단 분석 = 27
  1. 제재수단의 유형화 = 27
  2. 제재수단의 법이론적 배열 = 34
 Ⅳ. 형법정책의 방향 = 38
  1. 형법체계초월적 전망 = 39
  2. 형법이론적 전망 = 42
제2장 카르텔과 형법
 Ⅰ. 카르텔에 대한 규제현황 = 55
  1. 카르텔의 범죄화 = 55
  2. 카르텔에 대한 강한 통제 = 58
  3. 강한 통제의 원인과 과제 = 59
 Ⅱ. 카르텔불법의 유형화 구조 = 62
  1. 보호법익 = 62
  2. 담합과 카르텔의 차이 = 68
  3. 카르텔의 고유한 불법유형 = 74
  4. 카르텔의 불법구성요건의 구조 = 76
 Ⅲ. 카르텔의 합의 = 80
  1. 카르텔범죄의 필요조건으로서 합의 = 81
  2. 합의 개념의 의미론 = 82
  3. 합의 개념의 절차법적 지평 = 91
 Ⅳ. 공동부당행위: 카르텔의 실행행위 = 101
  1. 공동성 = 102
  2. 부당성 = 105
  3. 유형성 = 113
 Ⅴ. 경쟁제한성: 카르텔의 결과 = 118
  1. 경쟁제한효과의 불확실성 = 118
  2. 경쟁제한의 적성 = 121
  3. 경쟁제한성의 추정과 그 한계 = 130
 Ⅵ. 카르텔 제제의 이론과 정책 = 135
  1. 소비자후생의 실제 감소에 대한 고려 = 136
  2. 카르텔 불법의 강도와 제재의 비례성 = 150
  3. 리니언시제도와 인적 처벌조각사유 = 156
  4. 카르텔 불법과 경제체계의 통합기제 = 163
제3장 시장지배적 지위남용과 형법
 Ⅰ. 시장지배지위남용죄의 현황 = 171
  1. 시장지배지위남용죄의 구성요건 = 171
  2. 시장지배지위남용죄의 집행결손 = 173
  3. 근본관점의 차이 = 177
 Ⅱ. 시장지배지위남용의 불법유형 = 179
  1. 보호법익 = 180
  2. 불법의 불명확성 = 191
 Ⅲ. 시장지배지위남용 성립요건 = 197
  1. 시장지배성 = 199
  2. 부당성 = 205
  3. 유형성 = 213
  4. 의도성 = 219
 Ⅳ. 시장지배지위남용에 대한 제재 = 224
  1. 합리적인 제재법의 구축 = 225
  2. 합리적인 형사처벌을 위한 절차법적 기제 = 229
제4장 동의명령제와 형법
 Ⅰ. 동의명령의 의의 = 233
  1. 동의명령의 의미 = 233
  2. 기대와 우려 = 238
 Ⅱ. 동의명령제의 기능조건 = 239
  1. 승패의 불확실성 = 239
  2. 제재절차의 거래비용 감소 = 241
  3. 경쟁법적 제재의 역기능 회피가능성 = 243
 Ⅲ. 동의명령제와 형사사법적 정의의 침윤 = 244
  1. 형벌권 침해 여부 = 244
  2. 법무부나 검찰의 개입 형태 = 248
  3. 동의명령 기준의 절차적 구성 = 253
 Ⅳ. 카르텔(부당한 공동행위) 제외의 형법이론적 타당성 = 255
  1. 정치적 배제 = 255
  2. 형법이론적 부정합 = 256
사항색인 = 25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