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4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28913 | |
005 | 20110208180611 | |
007 | ta | |
008 | 110208s2011 ggk 001c kor | |
020 | ▼a 9788926818077 ▼g 93360 | |
035 | ▼a (KERIS)BIB000012279725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47.51905 ▼2 22 |
085 | ▼a 347.5305 ▼2 DDCK | |
090 | ▼a 347.5305 ▼b 2011 | |
100 | 1 | ▼a 김기진 ▼0 AUTH(211009)8556 |
245 | 1 0 | ▼a 민사소송법 / ▼d 김기진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1 | |
300 | ▼a 661 p. ; ▼c 26 cm | |
440 | 0 0 | ▼a 리걸플러스 ; ▼v 07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7.5305 2011 | 등록번호 1116105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7.5305 2011 | 등록번호 1116105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리걸 플러스' 시리즈 7번째 책. 민사소송은 민사사건에 관한 소송이다. 민법·상법 등 사법에 의해 규율되는 대등한 주체 사이의 신분상 또는 경제상 생활관계, 즉 사법상 법률관계에 관한 사건(해고무효확인, 채권채무관계, 부동산매매관계, 주총결의 무효확인·취소)을 해결하는 절차로 민사소송법의 규율을 받는다.
민사소송은 민사사건에 관한 소송이다. 민법·상법 등 사법에 의해 규율되는 대등한 주체 사이의 신분상 또는 경제상 생활관계, 즉 사법상 법률관계에 관한 사건(해고무효확인, 채권채무관계, 부동산매매관계, 주총결의 무효확인·취소)을 해결하는 절차로 민사소송법의 규율을 받는다.
국가와 개인 간의 분쟁이라도 국가가 대등한 주체일 때는 민사소송의 대상이다. 공무원의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이 그것이다.
법 중에서도 누구나 어렵다고 느끼는 것이 바로 이 민사소송법이라 할 수 있다. 어떻게 하면 민사소송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바탕으로 출간하였다. 어렵게 느끼는 가장 큰 원인이 절차법이면서도 그 법체계가 실제의 소송과정과는 많이 달라서 실감이 나지 않는다는 데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 책은 서술 자체를 소송의 시작부터 종결에 이르기까지의 순서에 맞춰서 소송의 이 단계에서는 이런 일들이 문제가 되는 것을 실감하도록 하였다. 또한 판례를 원용할 때에도 요지만으로는 왜 이런 결론이 나오는지를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필요에 따라 본문 또는 주에서 판결이유의 주요내용을 많이 인용하여 이해를 돕도록 했다. 또한 일정한 쟁점에 관하여 여러 입장의 차이가 있어도 실제로는 논의를 위한 논의일 뿐 실익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소개를 생략하거나 간단히 소개하고, 판례의 입장이 무엇인지에 주로 신경을 썼다. 다툼의 궁극적인 해결은 결국 법원이 하는 것이고, 또 이론이 아닌 절차의 문제는 실제 소송에서 어떻게 운용되는가가 중요하므로 그런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제1장 민사소송 개관 = 17 제1절 개념과 구별 = 19 Ⅰ. 소송 = 19 Ⅱ. 민사소송 = 19 Ⅲ. 형사소송 = 20 Ⅳ. 행정소송 = 20 Ⅴ. 가사소송 = 21 Ⅵ. 헌법소송 = 21 Ⅶ. 비송사건 = 22 제2절 소송에 갈음하는 분쟁해결제도 = 23 Ⅰ. 개념 = 23 Ⅱ. 화해 = 24 Ⅲ. 조정 = 24 Ⅳ. 중재 = 25 제3절 민사소송의 목적과 이상 = 26 Ⅰ. 목적 = 26 Ⅱ. 이상 = 26 제4절 민사소송절차 = 28 Ⅰ. 판결절차 = 28 Ⅱ. 강제집행절차 = 28 Ⅲ. 가압류ㆍ가처분 절차 = 29 Ⅳ. 증거보전절차 = 29 Ⅵ. 특별소송절차 = 30 제5절 민사소송 절차의 진행 = 35 Ⅰ. 소장의 작성과 제출 = 35 Ⅱ. 소송의 진행 = 38 Ⅲ. 소송의 종료와 불복 = 41 Ⅵ. 강제집행 = 42 제2장 법원 = 45 제1절 재판권 = 47 Ⅰ. 개념 = 47 Ⅱ. 대인적 범위 및 한계 = 47 Ⅲ. 대물적 범위와 한계 = 48 Ⅳ. 장소적 범위와 한계 = 50 Ⅴ. 재판권의 소송법상 의의 = 51 제2절 법원의 종류와 구성 = 51 Ⅰ. 법원의 종류 = 51 Ⅱ. 심급제도 = 54 Ⅲ. 재판기관 = 55 Ⅳ. 법관의 제척, 기피, 회피 = 56 제3절 법원의 관할 = 60 Ⅰ. 개념 = 60 Ⅱ. 직무관할 = 61 Ⅲ. 사물관할 = 61 Ⅵ. 토지관할 = 63 Ⅴ. 관할권의 조사 = 74 Ⅵ. 소송의 이송 = 75 제3장 당사자 = 81 제1절 총설 = 83 Ⅰ. 개념 = 83 Ⅱ. 당사자대립주의 = 83 제2절 당사자확정 = 84 Ⅰ. 개념과 필요성 = 84 Ⅱ. 확정기준 및 시기 = 85 Ⅲ. 당사자표시의 정정과 임의적 당사자변경 = 86 Ⅳ. 성명모용소송 = 87 Ⅴ.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한 소송 = 88 Ⅵ. 법인격부인과 당사자확정 = 92 제3절 당사자능력 = 93 Ⅰ. 개념 = 93 Ⅱ. 당사자능력자 = 94 Ⅲ. 소송법상 효과 = 97 제4절 당사자적격 = 98 Ⅰ. 개념 = 98 Ⅱ. 당사자적격자 = 99 Ⅲ. 제3자의 소송담당 = 101 Ⅳ. 소송법상 효과 = 103 제5절 소송능력 = 104 Ⅰ. 개념 = 104 Ⅱ. 소송능력자와 무능력자 = 105 Ⅲ. 소송법상 효과 = 106 제6절 변론능력 = 108 Ⅰ. 개념 = 108 Ⅱ. 변론능력자와 무능력자 = 109 Ⅲ. 소송법상 효과 = 110 제7절 소송상의 대리인 = 111 Ⅰ. 개념과 종류 = 111 Ⅱ. 법정대리인 = 112 Ⅲ. 임의대리인 = 115 제4장 소송 = 121 제1절 소의 개념과 구별 = 123 제2절 소의 종류 = 123 Ⅰ. 청구의 내용에 따른 분류 = 123 Ⅱ. 소제기의 형태ㆍ시기에 따른 분류 = 128 제3절 소송물(청구) = 128 Ⅰ. 개념 = 128 Ⅱ. 소송물론 = 129 제4절 소송요건 = 131 Ⅰ. 개념 = 131 Ⅱ. 종류 = 131 Ⅲ. 조사 = 132 제5절 소의 이익 = 134 Ⅰ. 개념 = 134 Ⅱ. 각종의 소에 공통된 것 = 135 Ⅲ. 이행의 소의 이익 = 137 Ⅳ. 확인의 소의 이익 = 140 Ⅴ. 형성의 소의 이익 = 147 Ⅵ. 소의 이익의 소송상 취급 = 149 제5장 소송의 제기 = 151 제1절 소장의 작성, 제출 = 153 제2절 소제기에 대한 법원의 조치 = 157 Ⅰ. 재판장의 소장심사 = 157 Ⅱ. 송달 = 160 제3절 소송제기의 효과 = 168 Ⅰ. 소송係屬(구별: 繼續) = 168 Ⅱ. 중복제소금지 = 169 Ⅲ. 실체법상 효과 = 172 제6장 소송절차의 진행과 정지 = 177 제1절 기일과 기간 = 179 Ⅰ. 기일 = 179 Ⅱ. 기간 = 182 제2절 소송절차의 정지 = 185 Ⅰ. 개념 = 185 Ⅱ. 소송절차의 중단 = 185 Ⅲ. 소송절차의 중지 = 190 Ⅳ. 소송절차 정지의 효과 = 191 제7장 소송심리의 원칙 = 193 제1절 공개심리주의 = 195 Ⅰ. 개념 = 195 Ⅱ. 내용 = 196 Ⅲ. 위반 = 197 제2절 쌍방심리주의 = 197 Ⅰ. 개념 = 197 Ⅱ. 내용 = 198 Ⅲ. 위반 = 199 제3절 구술심리주의 = 199 Ⅰ. 개념 = 199 Ⅱ. 내용 = 199 Ⅲ. 구술주의의 형식화 = 200 Ⅳ. 위반 = 201 제4절 직접심리주의 = 201 Ⅰ. 개념 = 201 Ⅱ. 내용 = 201 Ⅲ. 위반 = 202 제5절 적시제출주의 = 202 Ⅰ. 개념 = 202 Ⅱ. 내용 = 203 Ⅲ. 적시제출주의의 적용 범위 = 207 제6절 집중심리주의 = 207 Ⅰ. 개념 = 207 Ⅱ. 문제점 = 207 Ⅲ. 현행법의 태도 = 208 제7절 처분권주의 = 209 Ⅰ. 개념 = 209 Ⅱ. 내용 = 210 Ⅲ. 처분권주의 위반 효과 = 213 제8절 변론주의 = 214 Ⅰ. 개념 = 214 Ⅱ. 근거와 기능 = 214 Ⅲ. 내용 = 215 Ⅳ. 적용범위 = 220 Ⅴ. 변론주의의 수정, 보완 = 220 Ⅵ. 석명권 = 221 Ⅶ. 변론주의의 배제 = 229 제9절 직권진행주의 = 233 Ⅰ. 개념 = 233 Ⅱ. 소송지휘권 = 233 Ⅲ. 당사자 지위 = 235 제8장 변론 = 239 제1절 총설 = 241 Ⅰ. 개념 = 241 Ⅱ. 변론의 필요성 = 241 Ⅲ. 변론의 종류 = 241 제2절 변론의 내용 = 242 Ⅰ. 본안의 신청 = 243 Ⅱ. 공격방어방법 = 244 제3절 당사자의 소송행위 및 관련된 문제 = 250 Ⅰ. 소송행위의 개념 = 250 Ⅱ. 종류 = 251 Ⅲ. 소송행위의 요건과 방식 = 253 Ⅳ. 소송상 합의(계약) = 254 Ⅴ. 소송행위의 철회와 흠을 이유로 한 취소 = 259 Ⅵ. 소송행위의 흠 = 260 Ⅶ. 형성권의 소송상 행사 = 264 제4절 변론의 준비 = 266 Ⅰ. 준비서면 = 266 Ⅱ. 변론준비절차 = 270 제5절 변론의 실시 = 274 Ⅰ. 변론의 시작 = 274 Ⅱ. 진행 = 275 Ⅲ. 변론의 제한ㆍ분리ㆍ병합 = 275 Ⅳ. 변론의 종결과 재개 = 277 Ⅴ. 변론조서 = 278 Ⅵ. 당사자의 변론기일 결석 = 281 제9장 증거 = 287 제1절 증거총설 = 289 Ⅰ. 증거의 소송법상 의의 = 289 Ⅱ. 증거능력과 증거력 = 290 Ⅲ. 증거의 종류 = 292 Ⅳ. 증명과 소명 = 293 제2절 증거와 관련된 당사자의 권리 = 295 Ⅰ. 증거제출권의 보장 = 295 Ⅱ. 증거조사절차에 참여 = 296 Ⅲ. 증거에 대한 당사자평등원칙의 실현 = 296 제3절 증명의 대상 = 298 Ⅰ. 사실 = 299 Ⅱ. 경험법칙 = 302 Ⅲ. 법규 = 303 Ⅳ. 재판상 자백 = 304 Ⅴ. 현저한 사실 = 311 제4절 증명책임 = 313 Ⅰ. 총설 = 313 Ⅱ. 증명책임의 분배 = 314 Ⅲ. 증명책임의 전환 = 317 Ⅳ. 증명책임의 완화 = 318 Ⅴ. 특수소송과 증명책임 = 324 Ⅵ. 주장책임 = 327 제5절 증거조사 = 329 Ⅰ. 증거조사의 절차 = 329 Ⅱ. 증인신문 = 337 Ⅲ. 감정 = 344 Ⅳ. 서증 = 348 Ⅴ. 검증 = 359 Ⅵ. 당사자신문 = 361 Ⅶ. 새로운 종류의 증거들에 대한 증거조사 = 363 Ⅷ. 조사의 촉탁 = 365 Ⅸ. 증거보전절차 = 365 제6절 증거의 평가 - 자유심증주의 = 368 Ⅰ. 개념 = 368 Ⅱ. 내용 = 368 Ⅲ. 사실인정에 대한 불복 = 376 제10장 소송절차의 종료 = 377 제1절 소송절차의 종료원인 = 379 제2절 소의 취하 = 382 Ⅰ. 개념 = 382 Ⅱ. 요건 = 383 Ⅲ. 소취하 방식, 절차 = 386 Ⅳ. 효과 = 387 Ⅴ. 소취하의 간주 등 = 390 제3절 청구의 포기ㆍ인낙 = 392 Ⅰ. 개념, 성질 = 392 Ⅱ. 요건 = 394 Ⅲ. 방식, 절차 = 396 Ⅳ. 효과 = 397 제4절 재판상 화해 = 398 Ⅰ. 개념, 성질 = 398 Ⅱ. 요건 = 400 Ⅲ. 방식, 절차 = 403 Ⅳ. 효과 = 404 Ⅴ. 화해권고결정 = 406 Ⅵ. 제소전화해 = 407 Ⅶ. 재판상 화해와 같은 효력이 있는 조정 = 408 제5절 재판 = 409 Ⅰ. 개념 = 409 Ⅱ. 재판의 종류 = 410 Ⅲ. 판결의 종류 = 411 Ⅳ. 판결의 성립 = 417 제6절 판결의 효력 = 420 Ⅰ. 구속력 = 420 Ⅱ. 확정력 = 423 Ⅲ. 기판력 = 424 Ⅳ. 집행력 = 446 Ⅴ. 형성력 = 447 Ⅵ. 판결의 기타 효력 = 449 Ⅶ. 판결의 흠 = 451 제7절 종국판결의 부수적 재판 = 456 Ⅰ. 재산상 청구에 대한 가집행선고 = 456 Ⅱ. 소송비용의 부담에 관한 재판 = 459 제11장 병합소송 = 461 제1절 복수청구소송 = 463 Ⅰ. 소의 객관적 병합(청구병합) = 463 Ⅱ. 청구의 변경 = 471 Ⅲ. 반소 = 480 Ⅳ. 중간확인의 소 = 484 제2절 다수당사자소송 = 486 Ⅰ. 공동소송 = 487 Ⅱ. 선정당사자 = 503 Ⅲ. 집단소송 = 507 Ⅵ. 소송참가 = 519 Ⅴ. 당사자 변경 = 540 제12장 재판에 대한 불복절차 = 553 제1절 상소 총설 = 555 Ⅰ. 상소의 개념과 종류 = 555 Ⅱ. 상소의 목적과 상소심의 성격 = 555 Ⅲ. 불복신청방법이 선택 = 556 Ⅳ. 상소요건 = 556 Ⅴ. 상소효과 = 562 Ⅵ. 상소제한 = 565 제2절 항소 = 566 Ⅰ. 개념, 구조 = 566 Ⅱ. 항소의 제기와 취하, 부대항소 = 566 Ⅲ. 항소심의 심리 = 572 Ⅳ. 항소심의 종국재판 = 575 제3절 상고 = 579 Ⅰ. 개념 = 579 Ⅱ. 상고이유 = 580 Ⅲ. 상고심의 개시 = 585 Ⅳ. 상고심의 심리 = 589 Ⅴ. 상고심의 종국재판 = 590 제4절 항고 = 595 Ⅰ. 개념, 구별, 목적 = 595 Ⅱ. 종류 = 596 Ⅲ. 항고의 요건 = 597 Ⅳ. 항고의 제기 = 599 Ⅴ. 항고심의 심판 = 601 Ⅵ. 재항고 = 602 Ⅶ. 특별항고 = 603 제5절 재심 = 605 Ⅰ. 개념, 취지, 성질 = 605 Ⅱ. 재심의 소송물 = 605 Ⅲ. 재심요건 = 606 Ⅳ. 재심사유 = 609 Ⅴ. 재심소송절차 = 617 Ⅵ. 준재심 = 620 제13장 특수한 구제절차 = 623 제1절 소액사건심판절차 = 625 Ⅰ. 총설 = 625 Ⅱ. 이행권고제도 = 625 Ⅲ. 소액사건심판절차의 특칙 = 627 제2절 독촉절차 = 629 Ⅰ. 개념 = 629 Ⅱ. 관할법원 = 630 Ⅲ. 지급명령신청과 재판 = 630 Ⅳ. 소송으로의 이행 = 631 Ⅴ. 지급명령의 효력 = 632 제3절 공시최고절차 = 632 Ⅰ. 개념 = 632 Ⅱ. 절차 = 633 Ⅲ. 제권판결 = 634 제4절 배상명령 = 637 Ⅰ. 개념 = 637 Ⅱ. 요건 = 637 Ⅲ. 절차 = 638 Ⅳ. 배상명령의 효력과 강제집행 = 639 제14장 소송비용과 소송구조 = 641 제1절 소송비용 = 643 Ⅰ. 개념 = 643 Ⅱ. 소송비용의 범위 = 643 Ⅲ. 부담원칙 = 645 Ⅳ. 각 심급의 소송비용의 재판 = 647 Ⅴ. 소송비용액의 확정 = 648 Ⅵ. 소송비용의 담보 = 649 Ⅶ. 다른 절차에서의 준용 = 651 제2절 소송구조 = 651 Ⅰ. 개념과 취지 = 651 Ⅱ. 소송구조의 요건 = 652 Ⅲ. 구조의 절차 = 653 Ⅳ. 구조의 효과 = 654 Ⅴ. 구조의 취소 = 655 Ⅵ. 특별법상의 소송구조 = 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