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인사행정론

한국인사행정론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선정
서명 / 저자사항
한국인사행정론 =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 김선정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0  
형태사항
376 p. : 삽화 ; 23 cm
ISBN
9788926807606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714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28145
005 20110208153153
007 ta
008 100401s2010 ggka 000c kor
020 ▼a 9788926807606 ▼g 93350
035 ▼a (KERIS)BIB000012024112
040 ▼a 211029 ▼c 211029 ▼d 211029 ▼d 244002
082 0 ▼a 352.6 ▼2 22
085 ▼a 352.60953 ▼2 DDCK
090 ▼a 352.60953 ▼b 2010z1
100 1 ▼a 김선정
245 1 0 ▼a 한국인사행정론 = ▼x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 ▼d 김선정 지음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0
300 ▼a 376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0953 2010z1 등록번호 1512877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선정(지은이)

저자는 단국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서울사이버대학교 법무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정치학의 이해』(2021), 『행정조직론』(2021), 『인간관계론』(2019), 『행정학의 이해』(2014), 『지방자치행정론』(2012), 『정책 학의 이해』(2011), 『한국인사행정론』(2010) 등이 있다. 모든 학 문의 시원(始原)에서는 만나고 통한다고 했고, ‘아는 것이 좋아하는 것만 못하며,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는 말에 따라 2010년도부터 인문학적 관점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논문으로 “노자의 인문학적 통찰에서 나타난 관계성에 관한 연구 : 바른 정책결정을 중심으로”(2015), “서양철학사에서 나타난 인 문학적인 관점 전환에 관한 연구 : 이성과 감각을 중심으로” (2016), “니체의 인문학적 통찰에서 나타난 욕망의 시대에 관한 연구 : 협치를 중심으로”(2016), “인문학적 동선으로 본 바른 사 회구조화의 정책인식”(2018), “니체의 인문학적 통찰에서 나타난 인간존재근거의 사회구조화에 관한 연구 : 혁신을 중심으로”(2019)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장 인사행정이란 무엇인가? = 23
 1. 인사행정의 의의 = 25
  가. 인사행정의 개념 = 25
  나. 인사행정의 중요성 = 26
 2. 인사행정 연구 = 29
  가. 연구의 시각 = 29
  나. 연구의 대상 = 30
 3. 인사행정과 인사관리 = 32
 4. 인사행정의 기능 = 34
  가. 인적자원계획의 수립 = 34
  나. 직업구조의 형성 = 35
  다. 신구채용의 관리 = 35
  라. 내부임용의 관리 = 36
  마. 교육훈련의 관리 = 36
  바. 근무성적평정의 관리 = 36
  사. 보수와 편익의 관리 = 36
  아. 근무수행동기의 관리 = 37
  자. 공직윤리의 관리 = 37
  차. 퇴직의 관리 = 37
 5. 인사행정의 이념과 환경 = 38
  가. 이념 = 38
  나. 환경 = 42
 6. 현대인사행정의 특징 = 45
  가. 관리대상의 방대성ㆍ복잡성ㆍ전문성 = 45
  나. 전문직업성 = 45
  다. 기능의 적극성ㆍ광범성 = 46
  라. 가치갈등의 조정 = 46
  마. 환경적 연계의 강화 = 46
  바. 적응체제화의 요청 = 47
 〈참고문헌〉 = 47
2장 인사행정의 발달 = 49
 1. 인사행정발달의 의의 = 51
 2. 엽관주의 = 52
  가. 의의 = 52
  나. 발전요인 = 53
  다. 엽관제의 장점 = 55
  라. 엽관제의 단점 = 55
  마. 한국의 엽관제 = 56
 3. 실적주의 = 58
  가. 의의 = 58
  나. 발전요인 = 58
  다. 실적추의의 장점 = 59
  라. 실적주의의 단점 = 60
  마. 한국의 실적제 = 61
  바. 엽관주의와 실적주의의 조화 = 63
 4. 직업공무원제 = 64
  가. 직업공무원제의 의의 = 64
  나. 직업공무원제의 확립요건 = 67
  다. 직업공무원제의 장점 = 67
  라. 직업공무원제의 단점 = 68 
  마. 한국의 직업공무원제 = 69
 5. 대표관료제 = 71
  가. 대표관료제의 의의 = 71
  나. 대표관료제의 필요성과 한계 = 72
  다. 대표관료제의 중요성 = 73
  라. 한국의 대표관료제 = 73
 〈참고문헌〉 = 75
3장 중앙인사행정기관 = 77
 1.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의의 = 79
 2.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시각 = 80
  가. 보호주의적 시각 = 80
  나. 통합주의적 시각 = 80
  다. 관리주의적 시각 = 81
 3.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성격 = 81
  가. 독립성 = 82
  나. 합의성 = 82
  다. 집권화 = 83
 4. 중앙인사행정기관의 형태 = 84
  가. 위원회 모델 = 84
  나. 부처형 모델 = 86
  다. 절충형 모델 = 87
 5. 중앙인사행정기관의 기능 = 88
  가. 준입법적 기능 = 88
  나. 준사법적 기능 = 89
  다. 집행기능 = 89
  라. 감시기능 = 89
  마. 보좌기능 = 90
 6. 주요 외국의 중앙인사행정기관 = 90
  가. 일본 = 90
  나. 미국 = 91
 7. 한국 중앙인사행정기관의 변천 = 93
  가. 고시위원회와 총무처 인사국(1948) = 93
  나. 국무원사무국의 고시과와 인사과(1955) = 93
  다. 국무원사무처(1960) = 94
  라. 내각사무처(1961) = 94
  마. 총무처(1963) = 94
  바. 행정자치부(1998) = 95
  사. 중앙인사위원회와 행정자치부(1999) = 95
  아. 통합중앙인사행정기관(2004) = 95
  자. 행정안전부 인사실(2008) = 96
 8. 부처인사기관 = 97
  가. 부처인사기관의 의의 = 97
  나. 한국의 부처인사기관 = 98
 〈참고문헌〉 = 98
4장 공직의 종류와 분류 = 99
 1. 공직의 종류 = 101
  가.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 = 101
  나. 경력직공무원과 특수경력직공무원 = 102
 2. 공직의 분류 = 104
  가. 직위분류제 = 105
  나. 계급제 = 112
  다.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조화 = 115
 3. 폐쇄형과 개방형 = 116
  가. 폐쇄형과 개방형의 의의 = 116
  나. 폐쇄형의 장점 = 117
  다. 개방형의 장점 = 118
  라. 한국의 개방형직위제도 = 118
 〈참고문헌〉 = 119
5장 공무원의 임용 = 121
 1. 임용의 의의 = 123
 2. 임용권자 = 124
 3. 임용권의 위임 = 124
  가. 대통령의 임용권 위임 = 124
  나. 소속장관의 임용권 위임 = 125
  다. 소속기관장의 위임권의 위임 = 126
 4. 신규채용 = 126
  가. 공개경쟁채용 = 126
  나. 특별채용 = 128
  다. 시보임용 = 135
  라. 균형인사를 위한 채용제도 = 135
  마. 외국인의 공무원 채용 = 140
 5. 승진임용 = 141
  가. 일반승진 = 142
  나. 공개경쟁승진 = 144
  다. 특별승진 = 145
  라. 근속승진 = 146
 〈참고문헌〉 = 147
6장 고위공무원단제도 = 149
 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의의 = 151
 2. 고위공무원단의 구성 = 152
 3. 고위공무원단 진입 = 153
  가. 고위공무원의 임용방식 = 153
  나. 고위공무뭔의 인사심사 = 154
 4. 후보자교육과 역량평가 = 158
  가. 후보자교육 = 158
  나. 역량평가제 = 159
 5. 고위공무원단의 성과평가 = 164
  가. 직무등급제 = 164
  나. 직무성과계약제 = 168
  다. 직무성과급적 연봉제의 보수체계 = 169
 6. 고위공무원단의 신분보장 = 171
  가. 정년제도 = 171
  나. 적격심사 = 171
 7. 고위공무원단제도와 외국의 사례 = 173
 〈참고문헌〉 = 174
7장 공무원의 인사관리 = 175
 1. 인력관리계획 = 177
  가. 개념 = 177
  나. 필요성 = 177
  다. 수립기관 = 178
  라. 구성체계 = 179
  마. 수립과정 = 180
 2. 인사이동 = 181
  가. 강임제도 = 181
  나. 전보ㆍ전직제도 = 181
  다. 겸임ㆍ파견 = 182
  라. 직무대리 = 184
  마. 시간제 및 업무대행, 대체인력뱅크 = 184
  바. 인사교류 = 186 
 3. 대우공무원제와 필수실무관제 = 188
  가. 대우공무원제 = 188
  나. 필수실무관제 = 189
 4. e-사람(전자인사관리시스템) = 190
  가. 추진과정 = 190
  나. 기본특징 = 192
  다. 사용자별 서비스 기능 = 192
 5. 인사감사 = 193
  가. 인사감사 추진체계 = 193
  나. 감사의 종류와 시기 = 194
  다. 감사범위 = 194
  라. 감사절차 = 194
  마. 인사감사결과 처분기준 = 195
 〈참고문헌〉 = 196
8장 공무원의 성과관리 = 197
 1. 평정제도의 의의 = 199
 2. 근무성적평정제도 = 200
  가. 직무성과계약제 = 201
  나. 근무성적평가 = 202
  다. 전보된 경우의 평가 = 210
 3. 경력평정 = 212
  가. 의의 = 212
  나. 목적 = 213
  다. 경력평정대상 및 시기 = 213
  라. 경력평정가능기간 및 대상기간 = 213
  마. 경력평정 만점도달기간 설정 = 214
  바. 경력별 환산율 = 215
  사. 경력별 환산경력기간의 계산 = 215
  아. 월경력평정점수 계산 = 216
  자. 경력평정점수의 산출 = 218
 4. 가점평정 = 219
  가. 의의 = 219
  나. 가점 부여 = 219
  다. 직무 관련 자격증 = 220
  라. 특정직위 근무경력 = 220
  마. 특수지역 근무경력 = 220
 5. 승진후보자명부 = 222
  가. 승진후보자명부 작성일 = 222
  나. 승진후보자명부 분할 및 통합 작성 = 223
  다. 승진후보자명부 평정점수 = 223
  라. 승진후보자명부 작성 = 224
 6. 다면평가 = 226
  가. 의의 = 226
  나. 다면평가 연혁 = 226
  다. 적용대상 = 227
  라. 운영방식 = 228
  마. 평가척도 = 229
 7. 성과관리카드제 = 230
  가. 개념 = 230
  나. 적용대상 = 231
  다. 작성시기 = 231
  라. 입력대상 = 231
 〈참고문헌〉 = 235
9장 공무원은 능력발전 = 237
 1. 능력발전 = 239
  가. 능력발전의 의의 = 239
  나. 교육훈련의 중요성 = 240
  다. 교육훈련의 목적 = 241
 2. 교육훈련 운영체제 = 241
 3. 교육훈련의 구분 = 243
  가. 교육훈련의 대상자별 구분 = 244
  나. 교육훈련의 내용별 구분 = 245
 4. 교육훈련수요조사 = 247
  가. 수요조사의 의의 = 247
  나. 수요조사의 단계 = 248
  다. 수요조사의 방법 = 249
 5. 교육훈련방법 = 250
 6. 교육훈련의 승진반영(상시학습제도) = 252
  가. 상시학습제도의 의의 = 252
  나. 상시학습체제의 주요 내용 = 253
 〈참고문헌〉 = 260
10장 공무원의 보수 및 연금제도 = 261
 1. 공무원 보수 = 263
  가. 공무원 보수의 의의 = 263
  나. 공무원 보수의 중요성 = 264
 2. 보수체계 = 265
  가. 생활급 = 265
  나. 연공급(근속급) = 266
  다. 직무급 = 266
  라. 직능급 = 267
  마. 실적급(성과급) = 268
 3. 한국 공무원의 보수체계 = 269
  가. 보수용어의 정의 = 269 
  나. 보수체계의 개요 = 269
 4. 공무원 연금제도 = 280
  가. 연금제도의 의의 = 280
  나. 연금제도의 연혁 = 280
  다. 연금제도의 특징 = 281
  라. 공무원 연금관리체계 = 282
  마. 재정체계 = 286
  바. 급여체계 = 289
 〈참고문헌〉 = 289
11장 공무원의 신분 및 권익보장 = 291
 1. 공무원의 신분보장 = 293
  가. 신분보장의 의의 = 293
  나. 신분보장의 필요성 = 294
  다. 신분보장의 한계 = 295
  라. 신분보장의 현실 = 295
 2. 면직제도 = 296
  가. 당연퇴직 = 296
  나. 의원면직 = 297
  다. 직권면직 = 299
  라. 징계면직 = 299
  마. 명예퇴직 = 299
  바. 조기퇴직제도 = 300
 3. 휴직제도 = 301
 4. 직위해제제도 = 303
  가. 직위해제 사유 = 303
  나. 직위해제 효력 = 304
 5. 정년제도 = 304
 6. 소청제도 = 305
  가. 소청제도의 의의 = 305
  나. 소청제도의 내용 = 307
  다. 소청심사의 대상 = 307
 7. 고충처리제도 = 310
  가. 고충처리제도의 의의 = 310
  나. 고충처리기구 = 311
  다. 고충심사의 대상 = 311
  라. 고충심사의 청구방법 = 312
 〈참고문헌〉 = 314
12장 공무원의 복무, 징계, 단체 = 315
 1. 공직윤리 = 317
  가. 공직윤리의 개념 = 317
  나. 공직윤리의 필요성 = 318
 2. 공무원의 의무 = 319
  가. 신분상 의무 = 319
  나. 직무상 의무 = 324
 3. 공무원의 책임 = 329
  가. 행정상 책임 = 329
  나. 형사상 책임 = 340
  다. 민사상 책임 = 341
 4. 공무원 윤리의 행동규범 = 342
  가. 공무원윤리헌장 = 342
  나. 공무원신조 = 343
  다. 공무원윤리헌장실천강령 = 344
  라. 취임선서문 = 346
  마. 공무원행동강령 = 347
 5. 공무원단체 = 348
  가. 공무원단체의 개요 = 348
  나. 공무원직장협의회 = 349
  다. 공무원노동조합 = 352
 〈참고문헌〉 = 355
13장 공직 내외의 변화와 기대 = 357
 1. 공직 외부의 변화 = 359
  가. 디지털시대의 도래 = 359
  나. 세계화와 경쟁 = 360
  다. 지방화 시대 = 362
  라. 시민사회의 참여 증대 = 363
  마. 고령화 사회의 도래 = 364
 2. 공직 내부의 기대 = 366
  가. 21세기의 정부의 역할 = 366
  나.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업무수행능력 = 368
  다. 실무자에게 요구되는 업무수행능력 = 372
 3. 미래를 생각하며 = 375
 〈참고문헌〉 = 37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