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범인은 바로 뇌다 : 연쇄살인자, 사이코패스, 극렬 테러리스트를 위한 뇌과학의 변론 (6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arkowitsch, Hans J., 1949- Siefer, Werner, 저 김현정, 역
서명 / 저자사항
범인은 바로 뇌다 : 연쇄살인자, 사이코패스, 극렬 테러리스트를 위한 뇌과학의 변론 / 한스 J. 마르코비치, 베르너 지퍼 지음 ; 김현정 옮김
발행사항
파주 :   알마 :   문학동네,   2010  
형태사항
270 p. : 삽화 ; 23 cm
원표제
Tatort Gehirn : auf der Suche nach dem Ursprung des Verbrechens
ISBN
9788992525947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59-270
일반주제명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Brain -- Diseases Criminal psychology
000 01131camcc2200337 c 4500
001 000045627407
005 20110126210245
007 ta
008 110126s2010 ggka b 000c kor
020 ▼a 9788992525947 ▼g 03300
035 ▼a (KERIS)BIB000012263988
040 ▼a 241050 ▼c 241050 ▼d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616.8 ▼2 22
085 ▼a 616.8 ▼2 DDCK
090 ▼a 616.8 ▼b 2010z2
100 1 ▼a Markowitsch, Hans J., ▼d 1949- ▼0 AUTH(211009)32940
245 1 0 ▼a 범인은 바로 뇌다 : ▼b 연쇄살인자, 사이코패스, 극렬 테러리스트를 위한 뇌과학의 변론 / ▼d 한스 J. 마르코비치, ▼e 베르너 지퍼 지음 ; ▼e 김현정 옮김
246 1 9 ▼a Tatort Gehirn : ▼b auf der Suche nach dem Ursprung des Verbrechens
260 ▼a 파주 : ▼b 알마 : ▼b 문학동네, ▼c 2010
300 ▼a 270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259-270
650 0 ▼a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650 0 ▼a Brain ▼x Diseases
650 0 ▼a Criminal psychology
700 1 ▼a Siefer, Werner, ▼e▼0 AUTH(211009)101431
700 1 ▼a 김현정, ▼e▼0 AUTH(211009)70230
900 1 0 ▼a 마르코비치, 한스 J., ▼e
900 1 0 ▼a 지퍼, 베르너,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1160915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5-22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116091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212029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212029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512975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1160915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5-22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116091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212029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212029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청구기호 616.8 2010z2 등록번호 1512975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치명적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뇌과학의 진보적 제안, 그리고 이를 둘러싼 윤리적인 물음들을 던진다. 저자는 특정 부위의 뇌손상이 범죄행동으로 이어진다는 뇌과학의 주요 연구 결과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김길태와 유사하게 간질성 발작에 시달린 줄리아의 사례를 보면 줄리아는 어렸을 때 뇌막염을 앓은 후, 간질 발작이 일어날 때마다 주변 사람에게 칼을 휘둘렀다. 한번은 건물 복도에서 거울을 보다가 자신의 모습에서 극도의 공포감을 느끼고는, 옆을 지나가던 소녀의 가슴을 칼로 찌른 적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의료진이 줄리아의 오른쪽 편도체를 제거하는 수술을 한 이후, 그녀의 폭력적 행동이 완연하게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폭력 유전자는 폭력 유전자를 낳고, 학대받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가 나중에 어른이 되어 학대한다는 것이다. 뇌가 폭력적으로 굳어지기 전에 사회가 조기에 개입해야 한다는 게 이 책의 논지다. 이는 광범위한 윤리적 물음들을 동반한다.

만약 중범죄를 저지르고도 처벌받지 않는다면, 그것을 정의로운 사회라고 할 수 있을까? 일반 대중들의 범죄로부터 보호받을 권리와 범죄자의 치료받을 권리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까? 개인의 뇌 속을 들여다보는 뇌영상 거짓말탐지기는 피고인과 증인에 대한 과도한 프라이버시 침해 아닌가? 범죄 예방 프로그램은 아이들에게 미리부터 사회적 낙인을 찍는 위험성이 있지 않을까? 공공의 안전과 개인의 프라이버시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춰야 할까?

독자들은 신경과학이 가까운 미래에 우리 사회와 사법체계에 얼마나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지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뇌에 대한 과학적 호기심이 윤리적 고민으로 새롭게 전개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치명적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21세기 뇌과학의 진보적 제안,
그리고 이를 둘러싼 중대한 윤리적인 물음들!

기획의도


2010년 집에 있던 여중생을 납치해 성폭행한 뒤 살해한 김길태. 그는 최근 항소심 판결로 새삼 언론의 관심을 받았다. 1심 재판에서는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고등법원에서는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기 때문이다. 여론은 다시 들끓었다. 범죄자의 인권을 지나치게 의식한 선처가 아니냐는 것이다. 지금 이 사건은 검찰과 피고인 측 모두 상고해 대법원으로 공이 넘어간 상태다.

그런데 사실 이번 고등법원의 판결은 매우 진보적인 쟁점을 담고 있다. ‘뇌손상 환자에게 죄를 물을 수 있는가?’라는 물음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김길태는 법무부의 정신 감정에서 '측두엽 간질과 망상장애가 있다'는 진단을 받은 바 있다. 측두엽 간질을 앓고 있는 사람의 경우 환청이나 환각에 시달리고 심하면 발작 중 본인이 자각하지 못한 상태에서 행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하자면 김길태는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간질 발작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을 개연성이 있다. 물론 서울대병원에서 실시한 재감정에서는 정신 이상 결과가 번복되었지만, 고등법원 재판부는 이전 법무부의 정신 감정 결과를 무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를 처벌해야 할까, 치료해야 할까? 뇌손상으로 자유의지가 없는 사람에게 형법을 적용할 수 있는가?

<범인은 바로 뇌다>는 특정 부위의 뇌손상이 범죄행동으로 이어진다는 뇌과학의 주요 연구 결과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김길태와 유사하게 간질성 발작에 시달린 줄리아의 사례(5장)를 보자. 줄리아는 어렸을 때 뇌막염을 앓은 후, 간질 발작이 일어날 때마다 주변 사람에게 칼을 휘둘렀다. 한번은 건물 복도에서 거울을 보다가 자신의 모습에서 극도의 공포감을 느끼고는, 옆을 지나가던 소녀의 가슴을 칼로 찌른 적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의료진이 줄리아의 오른쪽 편도체를 제거하는 수술을 한 이후, 그녀의 폭력적 행동이 완연하게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이탈리아의 연쇄살인자 스테바닌의 사례도 의미심장하다. 스테바닌은 베갯속을 여성의 음모로 가득 채우는 망상을 가진 섹스 중독자로, 여성 다섯 명을 유인해 감금하고 성적으로 유린하다가 살해한 연쇄살인자이다. 그는 재판에서 자신의 정신 이상을 주장하며 감형을 호소했지만, 그의 범죄에 분노한 이탈리아 법정은 그에게 종신형을 선고했다. 그런데 훗날 그의 뇌 MRI를 찍어본 결과, 전전두엽 부분에서 커다란 종양이 발견되었다. 전전두엽은 실수를 통제하고 충동적인 행동 욕구에 제동을 걸거나 억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전두엽에 손상을 입은 사람은 감정과 욕구를 서슴없이 따르는 경우가 많으며, 위험한 행동도 거침없이 실행에 옮긴다.

이렇게 범죄와 뇌손상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일반화할 수도 있다. 조너선 핀커스가 1995년 〈신경학〉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살인이나 중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사람 가운데 3분의 2가 전두엽 비정상이다. 또 예일대학의 심리학자 도로시 르위스는 사형선고를 받고 복역 중인 수감자 15명을 연구한 결과, 그들 모두에게서 심한 두개골 손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책의 저자는 이와 같이 프란츠 갈의 골상학부터 시작해 범죄와 관련된 최신 신경과학의 성과들을 요령 있게 망라한다. 더 나아가 범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바탕해, 신경과학의 도전에 직면한 사법체계의 모순을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논리를 단순화하자면 다음과 같다. ‘형법의 적용 대상은 자유의지를 가진 개인이다. 그런데 뇌손상 환자는 여러 연구 결과를 볼 때 자유의지에서 범행을 저지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에 대해 처벌 조치보다는 치료 조치를 해야 한다.’ 또 저자는 거짓말과 진실에 관여하는 뇌 영역을 찍은 영상을 법정 증거로 채택하자고도 제안한다. 판사와 증인과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인간이기에’ 지각과 기억력이 완전하지 않으므로, 신경과학적 기술들을 사법체계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자는 것이다. 저자는 한 발 더 나아가, 우리 사회에 범죄자가 될 위험에 크게 노출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 예방 프로그램도 가동하자고 말한다. 폭력 유전자는 폭력 유전자를 낳고, 학대받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가 나중에 어른이 되어 학대한다는 것이다. 뇌가 폭력적으로 굳어지기 전에 사회가 조기에 개입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논지다.

이는 광범위한 윤리적 물음들을 동반한다. 만약 중범죄를 저지르고도 처벌받지 않는다면, 그것을 정의로운 사회라고 할 수 있을까? 일반 대중들의 범죄로부터 보호받을 권리와 범죄자의 치료받을 권리를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까? 개인의 뇌 속을 들여다보는 뇌영상 거짓말탐지기는 피고인과 증인에 대한 과도한 프라이버시 침해 아닌가? 범죄 예방 프로그램은 아이들에게 미리부터 사회적 낙인을 찍는 위험성이 있지 않을까? 공공의 안전과 개인의 프라이버시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춰야 할까? 독자들은 <범인은 바로 뇌다>를 통해, 신경과학이 가까운 미래에 우리 사회와 사법체계에 얼마나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지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뇌에 대한 과학적 호기심이 윤리적 고민으로 새롭게 전개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베르너 지퍼(지은이)

대학에서 생물학을 전공하였다. 여러 매체에서 기고가로 활동하다가, 1993년부터 시사지〈포쿠스Focus〉에서 연구 및 기술 부문을 담당하고 있다. 저서로는《나: 우리는 자기 자신을 어떻게 발견하는가Ich: Wie wir uns selbst erfinden》《우리, 그리고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 것Wir und was uns zu Menschen macht》들 이 있다.

한스 J. 마르코비치(지은이)

1970년 독일 콘스탄츠Konstanz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였고, 1977년 심리생리학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빌레펠트Bielefeld대학 신경생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인간은 왜 기억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을까Warum Menschen sich erinnern konnen》《잘못된 기억Falsche Erinnerungen》《뇌와 행동Gehirn und Verhalten》 들이 있다.

김현정(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예나 대학에서 수학했다. 현재 번역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발상》, 《복종에 반대한다》, 《혼자가 더 편한 사람들의 사랑법》, 《두려움의 열 가지 얼굴》, 《거짓말하는 사회》, 《어리석은 자에게 권력을 주지 마라》 등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장 뇌, 범죄행위를 명령하다 
뇌손상과 범죄의 연관 관계 

2장 뇌를 측정하다 
인간의 본질을 이루는 것을 뇌가 어떻게 생성하는가 
고릴라와 부시우먼, 그리고 천재 수학자의 뇌 
남자의 뇌가 여자의 뇌보다 크다? 
뇌에 새겨진 악의 흔적 
뇌가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조종한다 
레닌, 뇌 도서관의 호화 장정본 
아인슈타인의 뇌, 대중문화의 아이콘 

3장 거짓말하는 뇌와 거짓말탐지기 
진실을 말하게 하는 약 
거짓말인지 아닌지 밝혀내다: 사실적 징후 분석법 
심리 테스트로 거짓이 들통 나다 
거짓말을 찍는 기계 
뇌 전쟁의 시대 
법정에 선 뇌의 지문 
인간의 존엄성과 진실의 가치에 관하여 

4장 착각하는 뇌 
왜 덤불은 종종 곰처럼 보일까? 
사실보다 더 사실같은 거짓 기억 
거짓기억증후군의 위험한 예 
판단 오류의 심리학 

5장 폭력의 장소, 뇌 
괴물 스테바닌의 손상된 뇌 
뇌와 도덕: 소시오패스의 변명 
사이코패스의 뇌 
전두엽의 기능 이상이 범죄행위를 일으킬 수 있다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 
공격 행동과 연관된 편도체의 역할을 밝히다 
테러리스트 세포 
감정의 결여가 불러온 비극 
세로토닌 과잉 분비의 부작용 
폭력성의 진화 
왜 흉악범들은 다 남자인가? 
범법자들의 공통된 특징 
어떻게 정상인이 대량 학살자가 될 수 있는가? 
스탠리 밀그램의 실험과 파충류의 뇌 
뇌손상으로 범죄자에서 예술가로 변모한 예 

6장 나쁜 사회, 나쁜 뇌 
알코올에 중독된 신생아 
폭력은 폭력을 낳는다 
범죄 예방에도 조기교육이 필요하다 
살인자를 위한 ''뜨거운 의자'' 치료법 
환경이 범죄자를 만든다 
화학적 곤봉의 효과 
범죄 예방의 최선책은 바람직한 환경과 교육이다 

7장 신경과학이 법에게 묻다 
법에 대한 신경과학의 도전 
자유의지와 책임의 환상 
아이들을 위한 범죄 예방접종 
뇌영상을 법정 증거로 채택하다 
신경법학의 시대가 오고 있다 

참고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임상초음파학회. 편집위원회 (2022)
Wood, Alex M. (2022)
Comer, Ronald J (2023)
Liu, Jie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