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신체계측 / 홍재웅
Ⅰ. 서론 = 1
1. 필요성 = 1
2. 연구 및 개발 방법 = 2
Ⅱ. 측정 방법과 표준화 = 3
1. 신장측정 = 3
가. 목적 = 3
나. 측정기구 = 4
1) 선키 = 4
2) 누운키 = 4
다. 측정 방법 = 4
1) 선키 = 4
2) 누운키 = 5
2. 체중측정 = 5
가. 목적 = 5
나. 측정기구 = 5
다. 측정 방법 = 6
3. 각종 둘레측정 = 7
가. 목적 = 7
나. 측정기구 = 7
다. 측정 방법 = 7
1) 머리둘레 = 8
2) 가슴둘레 = 8
3) 팔둘레 = 9
4) 허리둘레 = 9
5) 엉덩이둘레 = 10
6) 종아리둘레 = 10
4. 피지두께 측정 = 11
가. 목적 = 11
나. 측정기구 = 11
다. 측정 방법 = 11
1) 견갑골하부 피지두께 = 12
2) 장골상부 피지투께 = 13
3) 삼두근 피지두께 = 13
4) 이두근 피지투께 = 14
5) 복부 피지투께 = 14
6) 종아리 내측 피지투께 = 14
Ⅲ.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고찰 = 15
1. 측정의 정확성과 신뢰성 = 15
가. 측정의 정확성 = 15
나. 측정의 신뢰도 = 16
1) 신장측정의 신뢰도 = 17
2) 체중측정의 신뢰도 = 17
3) 둘레측정의 신뢰도 = 17
4) 피지투께측정의 신뢰도 = 18
2. 측정부위의 측면 = 19
Ⅳ. 결론 = 20
제2장 신체 활동략 / 김두희 ; 박완섭
Ⅰ. 서론 = 25
1. 신체 활동 및 신체적합도의 내용과 항목 = 25
가. 신체 활동의 정의, 내용 = 25
나. 신체적합도의 정의, 내용 = 26
다. 신체 활동 및 신체적합도 측정의 필요성 = 27
Ⅱ. 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 28
1. 신체 활동 및 신체적합도 측정의 현황 = 28
2. 측정의 표준화 방안 = 33
가.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정 방안 = 34
3. 측정도구의 개발 = 35
가. 신체 활동을 측정하는 설문지(별첨 1, 2) = 35
나. 체력측정을 위한 도구(별첨 3) = 37
4. 고찰 = 41
Ⅲ. 결론 = 41
별첨 1. 신체 활동측정 설문지 1 = 43
별첨 2. 신체 활동측정 설문지 2 = 45
별첨 3. 체력측정을 위한 도구 = 46
별첨 4. 운동부하시험으로부터 산소 섭취량(VO₂)의 계산 방법 = 49
별첨 5. 기타 옥내에서의 신체적합도 측정 방법 = 52
제3장 혈압 / 서 일
Ⅰ. 서론 = 60
Ⅱ. 연구 및 개발 방법 = 61
Ⅲ. 결과 = 62
1. 혈압측정 = 62
2. 혈압측정 방법 = 63
가. 혈압의 직접 측정법 = 63
나. 혈압의 간접 측정법 = 63
3. 청진기에 의한 간접 혈압측정의 절차 = 65
가. 환자 = 65
나. 측정자 = 65
다. 간접 혈압측저의 방법 = 66
4. 간접 혈압측정 장비 = 67
가. 혈압계 = 67
1) 공기주머니와 혈압대 = 67
2) 압력계 = 70
3) 공기주입기구 및 배출밸브 = 72
나. 청진기 = 74
5. 혈압측정시의 문제점 = 74
가. Korotkoff sound가 0 점까지 들리는 경우 = 74
나. 청진간극 = 74
다. 팔 위치의 효과 = 74
라. 심장 부정맥 = 75
마. 대퇴, 하퇴, 전완의 혈압 = 75
바. 쇽 = 76
사. 비만 = 77
아. 위고혈압 = 77
6. 소아, 영유아 및 신생아의 혈압측정 = 77
가. 소아의 혈압측정 = 77
나. 영유아 및 신생아의 혈압측정 = 80
7. 역화조사시 사용되는 방법 = 82
8. 가정에서의 자가혈압측정 = 83
Ⅳ. 고찰 = 85
1. 신생아기의 비침습적 간접 혈압측정에 관한 내용 = 85
2. 이완기혈압의 진단기준에 관한 내용 = 87
3. 혈압측정을 위한 국제적 체계의 단위 사용 = 89
제4장 스트레스 / 장세진
Ⅰ. 서론 = 92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92
가. 스트레스의 개념 = 92
나. 스트레스의 효과 = 94
다. 스트레스의 측정 내용 = 94
2. 건강측정도구의 방법론적 문제점 = 95
가. 측정도구의 필요성 = 95
나. 건강측정의 특성 = 97
다. 건강측정의 이론적 기초 = 98
라. 척도의 측정 방법 = 99
마. 주관적 판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의 = 100
바. 기타 = 101
3. 스트레스축정도구의 타당성 평가 = 101
가. 현재까지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어 왔던 측정 방법의 타당성 평가 = 101
나. 외국에서 개발된 스트레스측정도구의 평가 = 103
1) Langner의 22개 항목척도 = 103
2) 일반 건강측정표 = 104
3) 정신건강도구 = 106
4) 일반 건강측정도구 = 107
다. 외국에서 개발된 측정도구의 가능성 = 109
4. 스트레스측정도구의 필요성 = 110
가. 측정의 표준화 방안 = 110
나. 측정도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110
Ⅱ. 각론 = 111
1. 스트레스측정도구의 개발 = 111
가.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PWI) = 112
1) PWI의 요인분석 = 117
2) 척도의 측정 방법과 기준점 = 119
3) PWI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 119
4) PWI의 한계 및 사용상의 유의점 = 122
나. 최근 스트레스연구에서의 PWI의 평가 = 123
다. 단축형 PWI(PWI-SF) = 128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128
2) 요인분석 = 128
3) PWI-SF의 구성 = 130
4) 척도의 측정 방법과 기준점 = 130
5) PWI-SF의 평가 = 131
6) PWI-SF의 한계 및 사용상의 유의점 = 132
Ⅲ. 결론 = 132
제5장 피로 / 장세진
Ⅰ. 서론 = 144
1. 연구배경 : 피로연구의 필요성 = 144
2. 피로연구의 역사 = 149
3. 피로의 정의 = 150
4. 피로의 차원 = 151
5. 피로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점 = 152
6. 산업보건 영역에서의 피로연구 = 153
7. 우리 나라 피로연구 동향 및 문제점 = 154
8. 지금까지 개발되어진 피로측정도구의 평가 = 156
Ⅱ. 각론 = 160
1. 측정도구의 소개 = 160
2. 측정도구의 개발 = 161
가.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161
나. 요인분석 = 162
3. 다차원 피로척도(MFS)의 유용성 평가 = 163
가. 신뢰도 = 163
나. 타당도 = 164
다. MFS의 수정 및 고려해야 할 점 = 167
1) 문항수 = 167
2) 점수산정 방법 및 기준점 = 168
라. 다차원 피로측정도구(MFS)의 확정 및 활용 = 169
4.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 169
Ⅲ. 결론 = 170
제6장 음주 / 김준연
Ⅰ. 서론 = 182
Ⅱ. 연구 및 결과 = 184
1. 알코올의 약리작용 = 184
2. 알코올의 도수 = 186
3. 음주량과 음주자의 구분 = 187
4. 알코올리즘 = 190
5. 알코올 농도 = 193
가. 혈중 알코올 농도 = 193
나. 호기 중 알코올 농도 = 193
다. 요중 알코올 농도 = 193
라. 혈청삼투압을 이용한 알코올 농도 = 193
마. 기타(혈당과 Υ-GT) = 194
Ⅲ. 결론 = 194
제7장 흡연 / 김준연 ; 김동일
Ⅰ. 서론 = 197
Ⅱ. 용어의 정의와 연구결과 = 199
1. 흡연자의 분류와 정의 = 199
2. 흡연시 발생되는 물질과 그 약리작용 = 200
가. 니코틴 = 200
나. 타르 = 201
다. 일산화탄소(CO) = 202
3. 흡연에 의한 건강피해 = 203
4. 니코틴 의존도 = 204
5. 간접흡연 = 205
가. 건강피해 = 205
나. 간접 흡연측정 = 206
6.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의 신뢰도 = 207
Ⅲ. 결론 = 208
제8장 식이와 영양소 섭취 / 안윤옥 ; 김정선
Ⅰ. 서론 = 221
1. 식이요인과 질병과의 관련서에 대한 역학적 연구 형태 = 222
2. 식이섭취 내용의 측정 = 223
Ⅱ. 식이섭취 내용에 관한 자료수집 방법의 종류 = 224
1. 회상법 및 식이일지법 = 224
2. 식이력 = 225
3. 식품섭취빈도 조사법 = 226
Ⅲ. 반정량 식이섭취빈도 조사지 개발 방법 = 227
1. 개발 과정 = 228
가. 연구 목적에 관련하여 최종 작성하고자 하는 조사표 내용의 결정 = 228
나. 24시간회상법 조사에 의한 기초자료 수집 = 228
다. 조사에서 나타난 음식 또는 식품 종류 및 이름, 그리고 섭취빈도 = 230
1) 식품 종류 및 이름 = 230
2) 섭취빈도 = 231
라. 식이섭취 조사표에 포함하는 식품 도는 음식 선정 기준 및 그 목록 = 231
1) 당분류 및 곡류 = 232
2) 야채, 채소 및 나물무침류 = 233
3) 국, 찌개 및 육류 = 233
4) 생선류, 어패류 및 해조류 = 235
5) 콩 또는 난류 = 235
6) 과일, 후식 및 간식류 = 235
마. 식이섭취빈도 조사표상의 섭취빈도 구분 = 237
바. 1회 섭취량에 대한 단위 = 237
Ⅳ. 개발된 식이섭취빈도 조사표의활용범위와 원칙 = 239
제9장 직업 / 문옥륜
Ⅰ. 서론 = 244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244
2. 연구의 목적 = 245
가. 궁극적 목적 = 245
나. 구체적 목적 = 245
3. 연구 방법 = 246
가. 직업분류의 표준화 = 246
나. 조사 방법(설문지)의 표준화 = 246
Ⅱ. 조사 내용과 항목 = 246
1. 직업의 정의 = 246
가. 직업의 정의 = 246
나. 사회 경제적, 보건의학적 측면에서 직업이 가지는 의미와 활용도 = 247
1) 사회 경제적 지표로서 직업분류가 이용되는 이유 = 247
2) 산업보건, 의학의 측면에서 직업분류의 의미 = 249
2. 직업조사의 범주 = 249
가. 목적별 범주 = 249
나. 측정수준별 범주 = 250
3. 우리 나라의 직업분류 및 산업분류 = 250
가. 한국표준산업분류 = 250
1) 제5차 개정 주요 내용 = 251
2) 한국표준직업분류 개요 = 253
나. 한국표준산업분류 = 260
1) 제8차 개정 주요 내용 = 261
4. 외국의 표준직업분류 및 산업분류 = 271
가. ILO/ISCO 분류 방법 = 271
나. 영국 = 271
다. 미국 = 271
라. 일본 = 272
Ⅲ. 직업분류 측정의 표준화를 위한 지표개발 = 273
1. 우리 나라 연구논문에서 사용된 직업력 및 직업분류 실태파악 = 273
가. 연구논문에서 사용된 직업분류체계의 검토 = 273
나. 연구 목적에 따른 조사 항목의 타당성 검토 = 273
다. 연구논문에서 사용된 직업분류체계의 문제점 = 275
2. 우리 나라 표준산업/직업분류의 적용방식 및 표기 방법에 대한 연구 = 276
3. 우리 나라에서 직업을 사용해서 파악한 사회경제지표 = 277
Ⅳ. 직업력의 표준화 = 278
1. 직업력 표준화의 원칙 = 278
2. 표준설문 항목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의 선정 = 278
Ⅴ. 요약 = 279
제10장 소득 / 문옥륜
Ⅰ. 서론 = 286
Ⅱ. 소득의 정의 = 287
Ⅲ. 소득조사의 범주 = 289
1. 목적별 범주 = 289
가. 일반적인 통계조사 목적 = 289
나. 의학적 자료수집을 위한 목적 = 289
2. 측정수준별 범주 = 290
가. 소득단위에 따른 분류 = 290
나. 소득기간에 따른 분류 = 291
다. 직업에 따른 소득측정의 분류 = 291
라. 지역에 따른 차이(물가에 따른 변동) = 292
3. 접근 및 계측 방법별 범주 = 293
가. 소득수준에 의한 생활수준의 측정 = 294
나. 소비수준에 의한 생활수준의 측정 = 294
다. 기타 생활수준의 측정 = 294
Ⅳ. 소득통계조사 = 295
1. 외국 = 296
가. 국제노동기구의 소득조사 권고안 = 296
나. 식량농업기구의 소득조사 권고안 = 296
다. UN 통계청 조사안 = 298
2. 한국 = 298
가. 도시가계조사 = 298
나. 가구소비 실태조사 = 300
다. 농가 경제조사 자료 = 301
라. 어가경제조사 자료 = 303
마. 임금통계자료 = 304
바. 사회통계 가구소득조사 자료 = 305
사. 특별 고용통계조사 자료 = 305
아. 우리 나라 의료보험에서의 소득조사 = 305
Ⅴ. 소득조사 내용과 항목의 평가 = 307
1. 표준화 대상소득 = 307
2. 표준화되어야 할 방법 = 307
가.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 = 307
1) 설문지 개발 = 307
2) 면접조사 = 307
나. 가계부식조사 = 308
3. 우리 나라 소득통계조사의 평가 = 308
Ⅵ. 소득조사의 표준화 = 309
1. 접근 방법 = 309
2. 조사 내용과 항목의 표준화 = 309
가. 표준화 소득 항목 = 309
1) 근로소득 = 309
2) 사업소득 = 310
3) 재산소득 = 310
4) 이전소득 = 310
나. 조사범주의 표준화 = 311
1) 소득조사 단위의 표준화 = 311
2) 소득기간의 표준화 = 311
3) 직업에 따른 표준화분류 = 311
4) 계측 방법의 표준화 = 311
5) 기타 = 311
다. 소득계◆UFFFD◆별 분포의 측정 = 312
Ⅶ. 소득조사를 위한 설문지(안) : 표준설문 문항 개발 = 312
1. 제 1안 = 313
2. 제 2안과 제 3안 = 319
3. 제 4안과 제 5안 = 321
4.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324
가. 타당도 검증 = 325
나. 신뢰도 검증 = 325
Ⅷ. 결론 = 326
제11장 교육 / 문옥륜
Ⅰ. 서론 = 329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329
2. 연구 목적 = 330
3. 연구 방법 = 331
Ⅱ. 조사 내용의 범위 = 332
1. 교육의 정의 = 332
2. 교육의 단계별 분류 = 332
3. 현행 우리 나라 교육학제 = 334
4. 우리 나라 국민의 교육수준 변화 = 337
5. 교육수준의 측정 방법 = 338
6. 회국의 학제 = 339
Ⅲ. 교육수준 측정의 지표 개발 = 340
1. 표준화를 요하는 교육 항목 = 340
2. 우리 나라 전국 조사에서 나타난 교육수준 = 341
3. 지표 개발 = 343
가. 제 1안 : 학제에 따른 모향 = 343
나. 제 2안 : 교육기간과 학제의 연계모형 = 344
다. 제 3안 : 정규 교육과정 중심 모형 = 345
Ⅳ. 적용가능성 검토 = 345
1. 조사표본 = 346
2. 타당도 조사 = 347
3. 신뢰도와 정확도 조사 = 348
Ⅴ. 결론 = 349
제12장 건강설문조사 / 최진수
Ⅰ. 서론 = 352
1. 건강설문조사의 역사 및 표준화의 필요성 = 352
가. 건강설문조사의 역사 = 352
나. 건강설문조사 표준화의 필요성 = 353
2. 설문조사 방법 = 354
가. 설문조사 방법의 선택기준 = 354
나. 설문조사법 = 355
1) 면접법 = 355
2) 우편설문 = 358
3) 전화설문 = 360
3. 설문조사의 과정 = 361
가. 기획·준비단계 = 361
1) 조사 목적, 연구 방법 설정과 명시 = 361
2) 예비조사의 실시 = 361
3) 조사 설계의 확정 = 362
4) 기획과 재원 확보 = 362
나. 현지작업을 위한 기초작업 단계 = 363
1) 탐색조사의 실시 = 363
2) 표본설계와 표본추출 = 363
3) 표본추출 = 363
4) 설문지의 초안 작성 = 363
5) 자료수집도구의 사전검사 = 363
6) 설문지나 조사표의 검토·수정·인쇄 = 363
7) 설문지침서 작성 = 364
8) 설문조사자의 모집과 훈련 및 예행연습 = 364
다. 현지작업 = 365
1) 설문지 배포·회수 = 365
2) 설문조사 실시 = 365
3) 감독과 통제 = 365
4) 자료의 확인·검토 = 365
라. 자료처리와 보고 = 365
1) 자료의 처리 : 편집, 부호화, 기타 자료의 조직화 = 365
2) 자료의 분석 = 366
3) 결과의 해석 = 366
4) 보고서 작성·인쇄·배포 = 366
4. 설문지 작성 및 설계 = 366
가. 설문지 작의 중요성 = 366
나. 설문지 설계 절차 = 366
다.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 = 369
라. 신뢰도 = 370
1) 검사-재검사 방법 = 370
2) 평행형검사 방법 = 371
3) 내적 일관성 검사 방법 = 371
마. 타당도 = 375
1) 내용타당도 = 375
2) 구성타당도 = 376
3) 준거타당도 = 376
Ⅱ. 건강설문조사의 내용 = 377
1. 설문조사를 이용한 지역사회 건강 상태 측정 = 377
가. 건강 상태 측정의 개념 = 377
나. 건강설문조사를 통해 즉정가능한 건강지표 = 379
1) 상병 관련 측정지표 = 379
2) 활동제한 관련지표 = 381
3) 의료이용 관련지표 = 382
2. 건강설문조사시 포함할 설문항목의 보기 = 382
가. 의료이용 측정항목 = 382
1) 입원이용 조사항목 = 382
2) 외래이용 조사항목 = 383
나. 건강 상태 측정항목 = 383
1) 상병 상태 측정항목 = 383
2) 활동제한 ◆UFFFD◆정항목 = 393
3) 자가건강인지도 ◆UFFFD◆정 = 384
3. 국내외 현황 = 384
가. 외국에서 개발된 방법들 = 384
1)미국 = 384
2)일본 = 385
3)영국 = 386
나. 현재 우리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들 = 386
Ⅲ. 결론 = 387
찾아보기 = 415
INDEX =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