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LEET 논술 : 핵심 배경지식

LEET 논술 : 핵심 배경지식 (1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황남기 김종수, 저
서명 / 저자사항
LEET 논술 : 핵심 배경지식 / 황남기, 김종수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법률저널,   2010  
형태사항
책 ; 26 cm
ISBN
9788963360676 (v.1) 9788963360683 (v.2)
일반주기
'LEET'는 'Legal Education Eligibility Test'의 약어임  
000 00756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26934
005 20110124200323
007 ta
008 110124s2010 ulk 000c kor
020 ▼a 9788963360676 (v.1) ▼g 94360
020 ▼a 9788963360683 (v.2) ▼g 94360
035 ▼a (KERIS)BIB000012053948
040 ▼a 211029 ▼c 211029 ▼d 211029 ▼d 211009
082 0 4 ▼a 340.076 ▼a 808.04957 ▼2 22
085 ▼a 340.076 ▼2 DDCK
090 ▼a 340.076 ▼b 2010
100 1 ▼a 황남기
245 1 0 ▼a LEET 논술 : ▼b 핵심 배경지식 / ▼d 황남기, ▼e 김종수 지음
260 ▼a 서울 : ▼b 법률저널, ▼c 2010
300 ▼a 책 ; ▼c 26 cm
500 ▼a 'LEET'는 'Legal Education Eligibility Test'의 약어임
700 1 ▼a 김종수,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76 2010 1 등록번호 1116084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76 2010 1 등록번호 1116084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76 2010 2 등록번호 1116084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0.076 2010 2 등록번호 1116084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황남기(지은이)

저자소개 현 | 해커스 경찰학원 헌법 강의 해커스 공무원학원 헌법/행정법 강의 황스파고시학원 헌법/행정법 강의 윌비스 헌법/행정법 대표교수 전 | 외교부 사무관 제27회 외무고등고시 수석합격 2012년 공무원 승진시험 출제위원 동국대 법대 겸임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권


Chapter 01 국가 
제1장 국가론의 역사 
1. 플라톤의 국가론 
2. 홉스의 국가론 
3. 로크의 사회계약론 
4. 루소의 국가론 
5. 동양사상과 국가 
제2장 국가의 기능 
1. 절대국가론 
2. 소극국가(야경국가) 
3. 그 밖의 국가 
4. 동양사상과 국가의 기능 
제3장 통치자는 누구를 위해 권력을 행사해야 하나? 
1. 플라톤의 국가론 
2. 맹자 
3. 한비자 
4. 로크 
5. 벤담 
제4장 고대 중국 인성론 
1. 공자 
2. 고자 
3. 맹자 
4. 순자 
5. 한비자 
Chapter 02 민주주의 
제1장 대의제 민주주의와 직접 민주주의 
1. 개념 
2. 대의제 민주주의의 도입 배경과 역사 
3.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 
5. 직접민주주의 도입 정당화 논리와 한계 
6. 참여 민주주의 
제2장 수호자주의 
1. 수호자주의 
2. 수호자주의의 역사 
3. 수호자주의의 논거 
4. 수호자주의의 비판 
제3장 선거제도 
1. 선거의 개념과 기능 
2. 추첨제와 선거제 
제4장 정보화 사회에서의 민주주의 
1. 정보화 사회의 특징 
2. 정보화 사회에서의 민주주의에 관한 대표적인 논의 
3. 대의제 민주주의의 문제점과 전자 민주주의 
4. 전자 민주주의의 긍정적 측면 
5. 전자 민주주의의 부정적 측면 
6. 전자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과제 
Chapter 03 법치주의 
제1장 법치주의의 개략 
1. 법치주의의 역사 
2. 권력분립론 
제2장 실정법과 자연법의 대립 
제3장 정의와 법적 안정성 
제4장 법과 도덕 
1. 개념상 차이 
2. 법과 도덕 간의 관계 
3. 도덕과 법의 범위 
4. 도덕의 법적 강행화 학설 
5. 울펜덴 보고서와 데블린-하트논쟁 
6. 비범죄화 이론 
제5장 법과 도덕 간의 쟁점 
1. 존속상해치사죄 
2. 간통죄 
Chapter 04 경제 
제1장 경제와 시장 메커니즘 
1. 자원의 효율적 배분 
2. 시장의 안정성 
3. 정부의 시장개입 이유 
4. 신자유주의 
5. 소득불균형 
6. 경제적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긴장관계 
제2장 경제사상 : 자유주의 
1. 자유주의의 정치원리 
2. 자유주의의 경제원리 
제3장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1. 개념 
2. 자본주의의 특징과 한계 
3. 사회주의의 특징과 한계 
제4장 신자유주의 
1. 신자유주의의 논의 배경 
2. 신자유주의 : 시장에 대한 믿음 
3. 최소한의 국가, 그러나 강한 국가 
제5장 제3의 길 
1. 개념 
2. 대처 정부와 신자유주의 
3. 기든스의 ''제3의 길'' 
4 블레어의 제3의 길 
5 비판과 전망 
제6장 시장과 정부 
1. 시장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2. 시장과 정부의 관계-대표적인 학자의 견해 
3. 시장 실패 
4. 정부의 역할 
제7장 성장과 분배 
1. 성장중심주의 
2. 분배중심주의 
3. 성장과 분배의 관계 
4. 성장과 분배의 조화 
제8장 세계화 
1. 세계화(globalization) 
2. 세계화 논쟁 
3. 세계화와 노동문제 
4. FTA 
5. 현행 헌법의 경제적 기초 
Chapter 05 불평등과 소수자권리 
제1장 불평등과 효율성, 형평성 
1. 불평등과 효율성, 형평성의 관계 
2. 불평등은 정당한가? 
3. 불평등의 정당화 요건 
4. 불평등의 문제와 해소방안 
5. 중ㆍ고교 평준화 
제2장 소수자권리보호 
1. 소수자의 정의 
2. 소수자 차별의 원인 
3. 소수자 차별의 문제와 해소 필요성 
5. 소수자 차별 해소 방안 





2권


Chapter 06 근대화와 민족주의 
ㆍ근대화 
제1장 근대화란 무엇인가? 
1. 근대화의 사상적 배경 
2. 근대화의 측면 
제2장 19세기 조선은 왜 근대화에 시패했는가? 
1. 과학적 합리주의 
2. 사유재산권, 권력분립, 법치주의 
3. 자본 시장의 형성 
4. 교통과 통신 체계 
제3장 탈근대화 
1. 근대화의 명암 
2. 탈근대화의 개념 
ㆍ민족주의 
제1장 민족이란 무엇인가? 
1. 민족에 대한 의문점 
2. 민족의 개념 
3. 민족에 대한 관점 
제2장 민족과 민족주의 
1. 미족주의 
2. 민족주의의 역사 
3. 현대의 민족주의 
제3장 민족주의의 가능성 
1. 세계화와 민족주의 
2. 민족주의의 가능성 
Chapter 07 문화와 예술 
제1장 대중문화 ㆍ대중예술 
1. 대중문화의 의의 
2. 대중문화의 긍정적 평가 
3. 대중문화의 부정적 평가 
4. 대중문화 비판론에 대한 반론 
5. 올바른 대중문화를 위해 
제2장 소비문화 
1. 자본주의와 문화의 상품화 
2. 소비문화와 계급 
3. 명품 소비 
제3장 자문화중심주의와 문화상대주의 
1. 문화를 이해하는 태도 
제4장 오리엔탈리즘 
1. 개념 
2. 오리엔탈리즘의 형성배경 
3. 오리엔탈리즘의 내면화 
4. 일본-조선, 대한민국-동남아시아 
5. 옥시덴탈리즘 
Chapter 08 역사와 언어 
ㆍ역사 
제1장 역사발전 
1. 자연과 발전 
2. 역사와 발전 
3. 식민지 근대화론 
제2장 역사관 
1. 사실과 해석 
2. 역사는 보편적인가 
3. 역사는 일정한 법칙에 따라 발전하는가 
ㆍ언어 
제1장 언어란 무엇인가? 
1. 언어의 개념 2. 인간과 언어의 관계 
3. 언어의 기능 
제2장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1. 개념 
2.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의 특징 
제3장 영어공용화 
1. 영어공용화 
2. 영어공용화 찬성 근거 
3. 영어공용화 반대 근거 
Chapter 09 과학철학 
제1장 자연관 
1. 고대인들의 자연관 
2. 근대인의 자연관 
3. 현대인의 자연관 
제2장 과학적 방법론 
1. 과학적 방법에 대한 관점 변천사 
2. 과학적 방법론 
3. 관찰은 객관적인가? 
4 과학의 발전에 대한 두 가지 관점 
5. 상대주의와 합리주의 
제3장 과학과 지식사회학 
1. 지식사회학이란 무엇인가? 
2. 과학의 인식적 측면과 비인식적 측면에 대한 구분 
3.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기술결정론, 사회구성론 
4. 과학기술의 가치중립성과 사회적 책임 
제4장 과학과 윤리 
1. 과학으로부터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 
2. 과학이 발생시키는 윤리적 문제 해결에 있어 과학이 수행할 역할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