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94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626552 | |
005 | 20110121135323 | |
007 | ta | |
008 | 110121s2010 ggka b 000c kor | |
020 | ▼a 9788959960958 ▼g 93810 | |
035 | ▼a (KERIS)BIB000012267612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700.95193 ▼2 22 |
085 | ▼a 700.9539 ▼2 DDCK | |
090 | ▼a 700.9539 ▼b 2010 | |
245 | 2 0 | ▼a (北韓 文學藝術의) 장르론적 이해 / ▼d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편 |
246 | 1 1 | ▼a Understanding genres on art and literature of North Korea |
260 | ▼a 광명 : ▼b 경진, ▼c 2010 | |
300 | ▼a 263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북한문학예술 ; ▼v 1 |
504 | ▼a 참고문헌: p. 257-261 | |
586 | ▼a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
710 | ▼a 단국대학교. ▼b 한국문화기술연구소, ▼e 편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9539 2010 | 등록번호 1116075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9539 2010 | 등록번호 1116075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북한문학예술 시리즈 1권. 문학, 영화, 연극, 음악, 미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북한 문학예술의 장르 체계를 검토한 글들을 묶은 것으로, 저자들은 북한 문학예술의 전반적인 분류 원칙과 체계에 대한 검토에서 시작해 각 분야에서 그러한 원칙이 어떤 방식으로 관철, 변용되었는지를 두루 관찰한다.
북한 문학예술 각 분야의 대표작을 소개하여 북한 문학예술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는다. 관련 학부와 대학원 학생들, 북한 문학예술에 관심있는 일반 독자들을 위한 북한 문학예술 입문서의 성격을 갖지만 장래의 문화적 소통과 통합을 준비하는 교육가, 행정가, 작가들에게도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남.북한 문학의
문화적 소통과 통합을 위한
그 첫 디딤돌!
이 책은 문학, 영화, 연극, 음악, 미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북한 문학예술의 장르 체계를 검토한 글들을 묶은 것으로, 저자들은 북한 문학예술의 전반적인 분류 원칙과 체계에 대한 검토에서 시작해 각 분야에서 그러한 원칙이 어떤 방식으로 관철, 변용되었는지를 두루 관찰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북한 문학예술의 창작 체계, 교육체계, 수용 및 배급체계의 전체 양태와 그 이면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저자들은 북한 문학예술 각 분야의 대표작을 소개하여 북한 문학예술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왔다.
이 책은 관련 학부와 대학원 학생들, 북한 문학예술에 관심있는 일반 독자들을 위한 북한 문학예술 입문서의 성격을 갖지만 장래의 문화적 소통과 통합을 준비하는 교육가, 행정가, 작가들에게도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독자들은 관심 분야를 선택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시간을 들여 책 전체를 통독할 것을 권하고 싶다. 그 과정에서 독자들은 북한 문화예술이 문학을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장르 체계 역시-그 복잡한 양상에도 불구하고- 일원화된 논리와 담론에 따라 구축되어 있음을 파악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양상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문화예술과 다른 북한의 문학예술에 접근하는 첫 번째 디딤돌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강상대(姜相大, Kang, Sang-Dae)
단국대학교 국문과 및 단국대 대학원 국문과 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졸업(문학박사)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주요 논저에 「문학의 표정과 화법」(한불문화사, 1990), 「우리 소설의 일탈과 지향」(청동거울, 2000), 「문학과 비평의 사유」(단국대학교 출판부, 2006) 등이 있다.
김정수(金貞洙, Kim, Jeong-Soo)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연극전공 박사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서양 배우들의 역사」(살림출판사, 2003),「북한연극계에서 제기된 청산(淸算)대상 연기(演技)에 관한 연구」(2010),「북한 연극의 창작방법론 연구」(2010) 등이 있다.
오창은(吳昶銀, Oh, Chang-Eun)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비평의 모험」(실천문학사, 2005), 「문학비평의 이해와 활용」(공저, 도서출판 경진, 2009) 등이 있다.
전영선(全永善, Jeon, Young-Sun)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건국대학교 HK연구교수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와 문예이론」(2002), 「고전소설의 역사적 전개와 남북한의 춘향전」(2003), 「북한을 움직이는 문학예술인들」(2004), 「북한의 대중문화」(2007) 등이 있다.
배인교(裵仁敎, Bae, Ihn-gyo)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학과 음악학전공 박사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
주요 논저에「조선후기 지방 관속 음악인 연구」(2008),「1950~1960년대 북한 전통 음악인들의 활동 양상 검토」(2009) 등이 있다.
홍지석(洪志碩. Hong, Ji-Suk)
미술학과 미술비평전공 박사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연구교수
주요 논저에「기호학사에서 시각기호의 차별성과 자율성」(2008),「李如星의 조선 미술사론」(2010),「북한미술의 기원 : 카프미술과 항일혁명미술, 그리고 조선화」(2010) 등이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머리말 : 북한 문화예술의 장르 원리와 체계 분석 4 1부 : 북한 문학예술의 형식 남북한 문화예술의 경계 넘기 [강상대] 13 북한 문학예술의 유형 분류 [김정수} 24 2부 : 북한의 문학과 영화 주체의 시대, 북한문학의 양식 [오창은] 217 북한영화의 유형과 학문 분류체계 [전영선] 239 3부 : 북한의 음악 연극 미술 선동과 계몽의 음악 유형 [배인교] 321 북한의 연극예술 나누기 [김정수] 355 북한미술의 종류와 형태 [홍지석] 229 참고문헌 257 지은이 소개 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