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 7
Ⅰ. 소설이란 무엇인가? = 13
Ⅱ. 소설의 장르적 특징은 무엇인가? = 16
1. 사실과 허구 = 16
2. 소설의 중개성 = 28
Ⅲ. 누가 서술하는가? = 35
전형적 서술상황과 서술자 = 35
1. 일인칭 서술자 = 39
2. 관찰자적 일인칭 서술자 = 47
3. 반영자적 서술자 = 52
4. 중립적 삼인칭 서술자 = 58
5. 전지적 서술자 = 61
6. 시점의 변화와 서술의 역동성 그 효과 = 66
7. 서술자의 탈인성화 = 71
Ⅳ. 어떻게 말하는가? = 79
서술자 보고와 등장인물 서술체 = 79
1. 서술자 보고 = 79
2. 등장인물 서술체 = 83
2.1 직접화법, 간접화법 = 83
2.2 체험화법 = 84
2.3 내적 독백, 의식의 흐름 기법 = 87
Ⅴ. 시간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 92
시간구조 = 92
1. 서술시간과 서술된 시간 = 92
2. 동시적 서술, 확장적 서술, 축약적 서술 = 95
3. 회상과 예시 = 98
Ⅵ. 텍스트는 어떻게 중층적으로 구성되는가? = 104
텍스트의 중층구조와 의미의 생성 = 104
1. 스토리와 플롯, 생성적 중층구조 = 107
1.1 심층의 의미작용과 통사작용 = 112
1.2 표층의 의미작용과 통사작용 = 119
1.3 담론층의 의미작용과 통사작용 = 124
1.4 심화질문 = 129
Ⅶ. 누가 어떻게 행동하는가? = 132
등장인물 = 132
1. 등장인물과 등장인물의 구도 = 132
2. 등장인물의 사회축과 인성축 = 143
Ⅷ. 어떻게 서사화되는가? = 148
1. 기본 서술프로그램 = 148
2. 계열축과 결합축 = 151
2.1 단락의 분절 = 156
2.2 계열축 = 162
2.3 결합축 = 168
2.4 계열축과 결합축의 종합 = 177
Ⅸ. 주제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 181
주제의 생성 = 181
Ⅹ. 작품의 시대적 역사성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185
역사적 담론분석 = 185
1. 지시체계 = 198
2. 주체의 위치 = 204
3. 교차담론 = 211
4. 전략 = 215
5. 종합 = 220
XI. 종합도표 = 226
주석 = 228
참고문헌 = 233
찾아보기 =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