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기준인증제도 선진화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연구

기준인증제도 선진화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환용, 연구
서명 / 저자사항
기준인증제도 선진화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연구 = Legal system to advancement of standard authentication system / 최환용 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법제연구원,   2010  
형태사항
193 p. : 도표 ; 25 cm
총서사항
현안분석 ;2010-08
ISBN
9788983237309
서지주기
참고문헌(p. 123)과 부록수록
000 00910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25231
005 20110111104421
007 ta
008 110110s2010 ulkd b 000c kor
020 ▼a 9788983237309 ▼g 93360
035 ▼a (KERIS)BIB000012252751
040 ▼a 211064 ▼c 211064 ▼d 211064 ▼d 211064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43.519075 ▼2 22
085 ▼a 343.53075 ▼2 DDCK
090 ▼a 343.53075 ▼b 2010z1
245 0 0 ▼a 기준인증제도 선진화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연구 = ▼x Legal system to advancement of standard authentication system / ▼d 최환용 연구
260 ▼a 서울 : ▼b 한국법제연구원, ▼c 2010
300 ▼a 193 p. : ▼b 도표 ; ▼c 25 cm
490 1 0 ▼a 현안분석 ; ▼v 2010-08
504 ▼a 참고문헌(p. 123)과 부록수록
700 1 ▼a 최환용, ▼e 연구 ▼0 AUTH(211009)40432
830 0 ▼a 현안분석 (한국법제연구원) ; ▼v 2010-08
900 1 0 ▼a Choi, Hwan-Yong, ▼e 연구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3.53075 2010z1 등록번호 1116055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요약문 = 3
Abstract = 7
제1장 서론 = 15
 제1절 연구의 목적 = 1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6
  1. 연구의 범위 = 16
  2. 연구의 방법 = 16
제2장 기준인증제도의 개념과 운용현황 = 17
 제1절 기준인증제도의 개념요소 = 17
  1. '표준'과 '기준'의 관계 = 17
  2. 인증의 개념과 필요성 = 22
 제2절 인증제도의 법적 구조 = 25
  1. 기준인증제도의 기능에 대한 경제학적 검토 = 25
  2. 기준인증제도의 구조적 특징 = 27
  3. 기준인증제도의 개별 프로세스별 법적 성격 = 27
 제3절 인증제도 관련 정책동향 = 28
  1. 국가표준정책의 동향 = 29
  2. 분야별 인증제도의 동향 = 34
 제4절 현행법령상 기준인증제도의 운영현황 = 35
  1. 국가표준 관련 법령 현황 = 35
  2. 인증제도 관련 개별법령 현황 = 40
 제5절 현행법령상 인증제도의 문제점 = 59
  1. 인증의 종류 과다 현상 = 59
  2. 복수 인증에 따른 인증절차 중복 = 60
  3. 인증제도의 종합 관리체계 미흡 = 60
  4. 시험ㆍ인증기관의 전문성 부족 = 61
 제6절 소결 = 61
제3장 주요 외국의 인증제도와 관련법령 = 63
 제1절 세계적 동향 = 63
 제2절 기준인증 관련 국제규범 = 65
  1.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65
  2. IEC 적합성평가제도 = 66
  3. 지역표준화기구 활동 = 66
  4. 자유무역과 기준인증제도에 관한 국제규범 = 69
 제3절 주요 외국의 기준인증제도 비교분석 = 76
  1. 미국 = 76
  2. 유럽연합 = 80
  3. 일본 = 94
  4. 중국 = 98
  5. 주요 선진국의 인증제도 비교 = 103
제4장 인증제도 선진화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 107
 제1절 인증제도 개선의 기본방향 = 107
  1. 인증제도 선진화정책의 기본방향 = 107
  2. 민간주도의 표준정책기능의 강화 = 110
  3. 안전관리의 선진화 추진 = 112
 제2절 법제정비방안 = 114
  1. 신제품 인증기준 예비제도의 도입 추진 = 114
  2. 절차적 법제정비방안 = 115
  3. 인증제도의 통합적 운용 필요 = 116
  4. 표시제도와의 연계 필요 = 119
제5장 결론 = 121
  1. 기준인증제도에 관한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 = 121
  2. 향후 검토과제 = 121
참고문헌 = 123
【부록】기준인증제도 조사결과 = 125

관련분야 신착자료

World Trade Organization (2023)
Plum, Jens Munk (2022)
김인현 (2023)
Proctor, Charles, (Lawye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