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시대 향리와 지방사회

조선시대 향리와 지방사회 (2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기중
서명 / 저자사항
조선시대 향리와 지방사회 / 권기중
발행사항
서울 :   景仁文化社,   2010  
형태사항
280 p. : 가계도, 도표 ; 23 cm
총서사항
경인한국학연구총서 ;88
ISBN
9788949907482
서지주기
참고문헌(p. 261-273)과 색인수록
000 0067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23464
005 20101229101954
007 ta
008 101228s2010 ulkdj b 001c kor
020 ▼a 9788949907482 ▼g 94910
035 ▼a (KERIS)BIB000012242508
040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52.63214 ▼2 22
085 ▼a 352.63214 ▼2 DDCK
090 ▼a 352.63214 ▼b 2010
100 1 ▼a 권기중 ▼0 AUTH(211009)128821
245 1 0 ▼a 조선시대 향리와 지방사회 / ▼d 권기중
260 ▼a 서울 : ▼b 景仁文化社, ▼c 2010
300 ▼a 280 p. : ▼b 가계도, 도표 ; ▼c 23 cm
440 0 0 ▼a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v 88
504 ▼a 참고문헌(p. 261-273)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116054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212153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212153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116054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513039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116054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212153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212153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116054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3214 2010 등록번호 1513039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서론 = 1
제1장 향리의 조직구조와 향리사회 = 13
 제1절 향리의 조직구조와 사회적 위상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 15
  1. 향리의 조직구조 = 15
  2. 향리의 업무 = 25
  3. 향리의 사회적 위상 = 39
 제2절 임진왜란과 戰後의 향리사회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45
  1. 향리층의 동향 = 45
  2. 향리층 전쟁대응양상 = 50
  3. 향리사회의 재편과 전공 = 58
제2장 향리층의 경제적 기반과 사회적 연망 = 67
 제1절 향리층의 경제적 기반 = 69
  1. 향리층의 노비소유 = 69
  2. 향리층의 토지소유 = 72
 제2절 향리층의 사회적 연망 - 경상도 단성현을 중심으로 = 82
  1. 배우자의 성관과 통혼 지역 = 82
  2. 배우자가계의 신분 위상 = 90
  3. 관아를 중심으로 한 인적 연망 = 94
제3장 향리가문의 인적구성과 호구의 변동 = 101
 제1절 단성현 향리가계의 호구등재 = 103
  1. 향리가계의 인적구성 = 103
  2. 직역분포의 변화 = 113
  3. 호수ㆍ구수 변화의 의미 = 119
 제2절 제주 대정현 향리층의 호구등재 = 124
  1. 제주 동성리의 호구분포 = 124
  2. 향리층의 구성과 성관의 변화 = 131
  3. 호수ㆍ구수 변화의 의미 = 136
제4장 향리층의 존재양태 = 145
 제1절 가리층의 형성과 신분구성 = 147
  1. 가리층의 형성 = 147
  2. 17∼18세기 초반의 가리층 = 152
  3. 18∼19세기 초반의 가리층 = 163
 제2절 상주목 향리층의 분포와 향역의 계승 = 171
  1. 향역의 분포 = 171
  2. 향역의 계승 = 178
 제3절 단성현 향리층의 분화와 향역의 계승 = 182
  1. 향역의 배정과 계승 = 182
  2. 향리층의 분화 = 193
결론 = 199
 보론 Ⅰ : 조선후기 관노비의 존재양태 = 219
  1. 머리말 = 219
  2. 관노비의 호구출입 = 221
  3. 관노비의 호편제 = 226
  4. 관노비의 입역과 향리 = 232
  5. 맺음말 = 238
 보론 Ⅱ : 향리에 대한 기억과 편견, 그리고 역사교육 = 241
  1. 머리말 = 241
  2. 향리는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가 = 243
  3. 또 다른 기억속의 향리 = 249
  4.『국사』교과서의 서술과 향리 = 256
  5. 맺음말 = 259
참고문헌 = 263
찾아보기 = 27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