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45namcc2200205 c 4500 | |
001 | 000045623388 | |
005 | 20211007164400 | |
007 | ta | |
008 | 101228s2010 ulka 000c kor | |
020 | ▼a 9788957691175 ▼g 03900 | |
040 | ▼d 211009 ▼a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331.137 ▼2 22 |
085 | ▼a 331.137 ▼2 DDCK | |
090 | ▼a 331.137 ▼b 2010z1 | |
100 | 1 | ▼a 강준만, ▼g 康俊晩, ▼d 1956- ▼0 AUTH(211009)5382 |
245 | 1 0 | ▼a 영혼이라도 팔아 취직하고 싶다 : ▼b 한국 실업의 역사 / ▼d 강준만 지음 |
260 | ▼a 서울 : ▼b 개마고원, ▼c 2010 | |
300 | ▼a 280 p. : ▼b 삽화 ; ▼c 21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116056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116056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2120240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212024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512954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116056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116056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2120240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212024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1.137 2010z1 | Accession No. 1512954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강준만 교수가 들여다 본 한국 실업의 역사. 저자는 해방정국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 실업의 역사, 슬픈 구직수난사를 살펴봄으로써 실업 문제의 해결이 단순히 '방법'의 문제가 아닌 '철학'과 '자세'의 문제임을, 독자에게 설파하고 있다.
저자는 기존의 좌우 이념의 틀을 벗어나야만 실업의 문제를 제대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이념을 떠나 승자독식 문화의 의식과 관행을 바꾸고, 공존공생의 자세를 견지하지 않으면 영원히 실업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전언이다. 달리 말하자면, 실업 또는 취업의 문제는 그 어떤 이념도 뛰어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운영과 작동방식의 문제에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해방 이후에서부터 지금까지 실업 문제가 그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발견하게 된다. 4·19 혁명과 5·16 쿠데타도 실업 문제가 촉발 요인 중 하나였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또한 지금도 이어지는 정규직-비정규직 문제와 청년실업을 포함하는 세대론 논쟁 등 여러 문제들에 관하여 이야기 한다. 이 책은 그간 실업 문제가 우리에게 소외돼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업국치(失業國恥) 70년사
‘구직수난사’를 들여다보고자 하는 뜻은 ?
미래가 보이지 않을 땐 과거를 보라는 말이 있다. 이 책엔 저자의 평가도, 주장도 없다. 저자는 해방정국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 실업의 역사, 슬픈 구직수난사를 살펴봄으로써 실업 문제의 해결이 단순히 '방법'의 문제가 아닌 '철학'과 '자세'의 문제임을, 독자들이 조금이나마 이해하기를 바란다.
왜 철학과 자세의 문제란 것인가? 우리나라는 한 번 떨어지면 끝장이라는 식의 승자독식, 각개약진 문화가 강고한 사회다. 이런 문화에서는 정규직-비정규직 문제나 최근의 기업형 슈퍼마켓(SSM) 논란 및 이마트 피자와 롯데마트 치킨 판매 문제 등에서 보듯, 누군가 제아무리 '기가 막힌 방법'을 강구한다 한들 이해당사자 모두를 만족시키는 해결책을 내놓기 어렵다. 즉 방법 이전에 사회 구성원 모두가 동의할 만한 '철학'과 '자세'가 개입되어야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저자는 실업 문제를 넓고 깊게 보기를 권한다. "달리 말하자면, 실업 또는 취업의 문제는 그 어떤 이념도 뛰어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인 운영과 작동방식의 문제라는 것이다." 저자는 기존의 좌우 이념의 틀을 벗어나야만 실업의 문제를 제대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이념을 떠나 승자독식 문화의 의식과 관행을 바꾸고, 공존공생의 자세를 견지하지 않으면 영원히 실업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전언이다.
4·19 혁명와 5·16 쿠데타를 촉발시킨 실업 문제
저자는 전화, 커피, 축구, 입시, 어머니 등 일상의 테마를 제재 삼아 기술하는, '한국 생활사' 저술 작업을 꾸준히 해왔다. 이런 가운데서 이번에 한국 실업의 역사를 다룬 책이 이 목록에 더해진 셈이다. 그간 실업 문제가 우리에게 소외돼 있었다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는 소중하다.
실업자가 돼보지 않은 사람은 그 비참한 심정을 잘 모른다. 이 책을 읽다보면, 해방 이후에서부터 지금까지 실업 문제가 그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발견하게 된다. 아울러 '실업'이란 요소가 역사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는 점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업자나 실업 문제가 우리에게 소외돼 있다는 사실은 역사적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예컨대, 8?15 이후 해방정국에서는 우익 청년?학생 단체가 엄청나게 많이 생겨났다. 이는 당시의 대규모 실업과 심각한 경제난 때문이었다. "청년단의 폭력 행사는 겉으론 이데올로기 투쟁의 양상을 강하게 띠었지만, 그 실상은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성격이 강했다." 또 60년대 대학생들의 양적 증가와 30%가 넘는 실업률은 4·19 혁명을 촉발시킨 한 요인이 되었다. 5·16 쿠데타 역시 주동자들의 실업 문제가 촉발 요인 중 하나였다. 월남 파병과 중동 해외취업 붐은 당시의 경제난 타개와 실업 문제의 해결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실업과 정규직-비정규직 문제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입시전쟁이 본격화되고 8학군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한다. 90년대에는 3D 업종을 기피하면서 인력난과 구직란의 공존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다가 97년 'IMF 환란'이 터지면서 대량 실업 사태가 일어나고 거리엔 노숙자들이 넘쳐났다. 취업난이 극심하다보니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벤처기업 창업 열풍이 불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부터는 ‘사오정’(45세 정년) ‘오륙도’(56세까지 일하면 도둑) ‘육이오’(62세까지 일하면 오적五賊) ‘삼팔선’(38세도 선선히 퇴직을 받아들인다)이라는 표현이 등장할 정도로 기업들의 감량?감원이 상시화됐다. 또 젊은이들 사이에선 프리free와 아르바이터arbeiter의 합성어인 프리터freeter족이 급증했다.
IMF 환란 이후 최업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비정규직은 급증했다. 저자는 앞서 실업 문제가 이념을 넘어서는 한국 사회의 운영과 작동방식의 문제라고 했는데,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정규직-비정규직 문제이기에 7~8장에서는 별도로 비정규직 논쟁과 노동조합의 문제를 다뤘다.
잘못인 줄 알았지만 영혼이라도 팔아 취직하고 싶었습니다
2005년 2월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채용비리 사건이 터졌다. 입사자가 돈을 주고 생산계약직에 채용된 것이 드러난 것이다. 검찰 조사를 받고 나온 김모 씨(29세)는 “잘못인 줄 알았지만 영혼이라도 팔아 취직하고 싶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사건은 민주노총에게도 큰 타격을 줬는데, 돈을 받은 사람이 노조 대의원이었기 때문이다.
김씨는 “입사 적격ㆍ부적격을 떠나 돈을 건넨 것에 대해 ‘일반적인 관행이며, 청년실업이 심하니 용서해달라’는 식으로 변명하고 싶지 않다. 이제라도 훌훌 털고 다시 시작하고 싶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씨의 아버지는 “아들의 잘못은 분명하지만 일하고 싶은 아이에게 일자리 하나 제대로 마련해주지 못한 내 자신과 이 사회가 원망스러울 뿐”이라며 선처를 호소했다.(『한국일보』 2005년 2월 2일자)
이 사건은 노조 비리 문제뿐 아니라 정규직-비정규직 문제와 청년실업을 포함하는 세대론 논쟁 등 여러 문제들을 중충적으로 함축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이 처절한 호소와 절규에 귀 기울여야 할 때가 아닐까. 이 책이 저자의 바람대로 이에 조금이나마 일조했으면 좋겠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준만(지은이)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강준만은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 사회에 의미 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이다. 전공인 커뮤니케이션학을 토대로 정치, 사회, 언론, 역사, 문화 등 분야와 경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저술 활동을 해왔으며, 사회를 꿰뚫어보는 안목과 통찰을 바탕으로 숱한 의제를 공론화해왔다. 2005년에 제4회 송건호언론상을 수상하고, 2011년에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한국의 저자 300인’, 2014년에 『경향신문』 ‘올해의 저자’에 선정되었다. 저널룩 『인물과사상』(전33권)이 2007년 『한국일보』 ‘우리 시대의 명저 50권’에 선정되었고, 『미국사 산책』(전17권)이 2012년 한국출판인회의 ‘백책백강(百冊百講)’ 도서에 선정되었다. 2013년에 ‘증오 상업주의’와 ‘갑과 을의 나라’, 2014년에 ‘싸가지 없는 진보’, 2015년에 ‘청년 정치론’, 2016년에 ‘정치를 종교로 만든 진보주의자’와 ‘권력 중독’, 2017년에 ‘손석희 저널리즘’와 ‘약탈 정치’, 2018년에 ‘평온의 기술’과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2019년에 ‘바벨탑 공화국’과 ‘강남 좌파’, 2020년에 ‘싸가지 없는 정치’와 ‘부동산 약탈 국가’, 2021년에 ‘부족주의’ 등 대한민국의 민낯을 비판하면서 한국 사회의 이슈를 예리한 시각으로 분석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퇴마 정치』, 『반지성주의』, 『정치적 올바름』, 『엄마도 페미야?』, 『정치 전쟁』, 『좀비 정치』, 『발칙한 이준석』, 『단독자 김종인의 명암』, 『부족국가 대한민국』, 『싸가지 없는 정치』, 『권력은 사람의 뇌를 바꾼다』, 『부동산 약탈 국가』, 『한류의 역사』, 『쇼핑은 투표보다 중요하다』, 『강남 좌파 2』, 『바벨탑 공화국』, 『오빠가 허락한 페미니즘』, 『평온의 기술』, 『약탈 정치』(공저), 『손석희 현상』, 『박근혜의 권력 중독』, 『힐러리 클린턴』, 『도널드 트럼프』, 『전쟁이 만든 나라, 미국』, 『정치를 종교로 만든 사람들』, 『지방 식민지 독립선언』,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 『싸가지 없는 진보』, 『감정 독재』, 『미국은 세계를 어떻게 훔쳤는가』, 『갑과 을의 나라』, 『증오 상업주의』,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책』(전23권), 『한국 근대사 산책』(전10권), 『미국사 산책』(전17권) 외 다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머리말 대한민국은 구직중 제1장 실업이 악화시킨 ''이념 투쟁'' 1940~50년대 제2장 실업이 만든 사회 1960~70년대 제3장 ''취업전쟁''을 위한 ''입시전쟁'' 1980년대 제4장 ''자발적 실업''과 ''명예퇴직'' 1990~97년 제5장 ''IMF 환란''의 고통 1997~99년 제6장 사오정・오륙도・육이오・삼팔선・이태백 2000~03년 제7장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운동 위기론'' 2004년 제8장 노조 비리와 비정규직 논쟁 2005년 제9장 청백전・삼일절・십오야・이구백・십장생 2005~07년 제10장 ''인턴 왕국, 알바 천국''의 ''88만원세대'' 2007~10년 맺음말 ''세대 착취''와 ''세대 전쟁''인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