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행정학총론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개념
제1절 행정개념의 성립 = 4
제2절 행정개념에 관한 제 견해 = 5
Ⅰ. 독일 행정법학에서의 행정개념 = 5
Ⅱ. 미국 행정학에서의 행정개념 = 7
제3절 행정개념의 정립 = 9
Ⅰ. 행정개념 정립의 곤란성 = 9
Ⅱ. 행정개념의 정의 = 9
제2장 행정과 경영 및 정치와의 관계
제1절 공공행정과 사기업경영 = 10
Ⅰ. 공공행정과 사기업경영의 의의 = 10
Ⅱ. 공공행정과 사기업경영의 연관성 = 10
Ⅲ. 공공행정과 사기업경영간의 차이점과 유사점 = 11
제2절 정치와 행정 = 13
Ⅰ. 서설 = 13
Ⅱ. 정치ㆍ행정 이원론 = 13
Ⅲ. 정치ㆍ행정 일원론 = 15
Ⅳ. 새 이원론과 새 일원론 = 16
제3장 행정이념
제1절 행정이념의 의의 = 18
제2절 행정이념의 내용 = 18
Ⅰ. 합법성 = 18
Ⅱ. 능률성 = 19
Ⅲ. 민주성 = 20
Ⅳ. 효과성 = 21
Ⅴ. 사회적 형평성과 정의이론 = 22
제3절 행정이념 상호간의 관계 = 25
제4장 현대행정의 특질
제1절 행정국가의 등장 = 27
Ⅰ. 행정국가의 의의 = 27
Ⅱ. 행정국가의 등장 이유 = 27
제2절 현대행정의 특질 = 30
Ⅰ. 행정기능의 확대ㆍ강화문제 = 30
Ⅱ. 행정기구ㆍ공무원 수 및 재정규모의 팽창문제 = 31
Ⅲ. 중앙집권화의 문제 = 33
제5장 공익
제1절 공익의 의의 = 34
제2절 공익이론 = 34
Ⅰ. Leys와 Perry의 공익이론 = 35
Ⅱ. Schubert의 공익이론 = 36
제3절 정책결정과 공익관 = 37
Ⅰ. 공익관의 사적 배경 = 37
Ⅱ. 개인주의적 공익관 = 38
Ⅲ. 집단주의적 공익관 = 38
제4절 공익과 사익의 관계 = 39
제6장 합리성
제1절 합리성의 의의 = 40
제2절 합리성의 유형 = 41
Ⅰ. Weber의 유형 = 41
Ⅱ. Mannheim의 유형 = 42
Ⅲ. Simon의 유형 = 42
Ⅳ. Diesing의 유형 = 44
제3절 합리성의 제약요인 = 45
Ⅰ. 제약요인의 분류 = 45
Ⅱ. 제한된 합리성 = 47
제7장 행정의 능률화
제1절 행정의 능률화와 민주화 = 48
Ⅰ. 의의 = 48
Ⅱ. 행정의 능률화의 내용 = 49
Ⅲ. 행정의 민주화의 내용 = 50
제2절 행정의 생산성 = 51
Ⅰ. 생산성의 의의 = 51
Ⅱ. 생산성의 측정기준 = 52
Ⅲ. 생산성의 저해요인과 생산성 향상방안 = 54
제3절 행정의 중복성 = 55
Ⅰ. 중복성의 의의 = 55
Ⅱ. 중복성의 특성 = 56
Ⅲ. 중복성의 효용 = 57
Ⅳ. 중복성의 평가 = 60
제8장 행정학의 발달과정
제1절 개설 = 62
제2절 행정학의 발달요인 = 63
Ⅰ. 행정기능의 확대ㆍ강화 = 63
Ⅱ. 행정개혁운동 = 64
Ⅲ. 과학적 관리운동 = 65
제3절 행정학의 이론적 틀의 변천과정 = 65
Ⅰ. 행정학의 이론적 틀의 의의 = 65
Ⅱ. 정치ㆍ행정 이원론〔기술적 행정학〕 = 66
Ⅲ. 행정원리론 = 67
Ⅳ. 정치과학으로서의 행정학: 정치ㆍ행정 일원론〔기능적 행정학〕 = 68
Ⅴ. 행정과학으로서의 행정학: 새 이원론〔형태론〕 = 70
Ⅵ. 행정의 발전적 시각: 새 일원론〔발전론〕 = 72
Ⅶ. 평가 = 73
제4절 신행정론 = 74
Ⅰ. 신행정론의 의의 = 74
Ⅱ. 신행정론의 내용 = 75
Ⅲ. 후기관료제와 신행정론 = 77
Ⅳ. 신행정론의 한계 = 79
제9장 행정학의 접근방법
제1절 개설 = 80
제2절 기술적 접근방법 = 82
제3절 기능적 접근방법 = 83
제4절 생태적 접근방법 = 85
Ⅰ. J.M. Gaus의 생태적 접근 = 85
Ⅱ. F.W. Riggs의 생태적 접근 = 86
제5절 행태적 접근방법 = 89
Ⅰ. 논리적 실증주의의 과학방법론 = 91
Ⅱ. 행정과학에 있어서의 사회심리학적 방법 = 92
제6절 체제적 접근방법 = 94
제7절 최근의 동향 = 98
Ⅰ. 비판행정학 = 98
Ⅱ. 현상학적 행정학 = 99
제2편 행정책임과 행정개혁론
제1장 행정책임과 통제
제1절 행정책임 = 104
Ⅰ. 행정책임의 의의 = 104
Ⅱ. 행정책임의 기준 = 106
Ⅲ. 외재적 책임의 보장 방법 = 106
Ⅵ. 내재적 책임의 보장 방법 = 108
제2절 행정통제 = 110
Ⅰ. 행정통제의 의의 = 110
Ⅱ. 행정통제의 방법 = 110
Ⅲ. 내부통제의 원칙과 과정 = 112
Ⅳ. 행정통제의 문제점 = 114
제3절 Ombudsman제도 = 114
Ⅰ. Ombudsman제도의 의의와 목적 = 114
Ⅱ. Ombudsman의 구성과 권한 = 115
Ⅲ.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Ombudsman제도 도입문제 = 117
제4절 정보공개제도 = 118
Ⅰ. 정보공개의 의의 = 118
Ⅱ. 정보공개제도 = 119
제5절 행정평가 = 121
Ⅰ. 행정평가의 의의 = 121
Ⅱ. 행정평가의 기준 = 122
Ⅲ. 행정평가의 과정 = 123
Ⅳ. 행정평가에 대한 정치적 영향 = 124
Ⅴ. 행정평가의 문제점 = 125
제2장 행정개혁
제1절 행정개혁 = 126
Ⅰ. 행정개혁의 의의와 동기〔기관형성〕 = 126
Ⅱ. 행정개혁의 접근방법 = 129
Ⅲ. 행정개혁의 과정 = 130
Ⅳ. 행정기구의 개혁 = 131
Ⅴ. 행정개혁과 저항 = 138
제2절 감축관리 = 139
Ⅰ. 감축관리의 의의 = 139
Ⅱ. 감축관리의 방법 = 140
제3절 우리나라 행정개혁의 당면 과제 = 142
제2부 행정학각론
제3편 행정조직론
제1장 행정조직의 이론
제1절 조직의 본질 = 148
Ⅰ. 조직의 개념 = 148
Ⅱ. 조직의 유형 = 149
제2절 조직이론의 변천 = 153
Ⅰ. 고전적 조직이론 = 153
Ⅱ. 신고전적 조직이론 = 160
Ⅲ. 현대적 조직이론 = 164
제3절 조직의 원리 = 170
Ⅰ. 계층제의 원리 = 170
Ⅱ. 통솔범위의 원리 = 171
Ⅲ. 명령통일의 원리 = 173
Ⅳ. 분업〔전문화〕의 원리 = 174
Ⅴ. 조정의 원리 = 175
제4절 부처(部處)편성의 원리 = 177
Ⅰ. 부처편성의 의의 = 177
Ⅱ. 부처편성의 기준 = 177
Ⅲ. 부처편성의 기준에 대한 비판 = 179
제5절 조직과 개인 = 179
Ⅰ. 조직과 개인의 의의 = 179
Ⅱ. 조직에 대한 관여와 개인의 변이성 = 180
Ⅲ. 조직에 있어서의 인간관과 관리전략 = 181
Ⅳ. 조직 속의 개인의 성격유형 = 184
제6절 조직과 환경 = 186
Ⅰ. 조직환경의 의의 = 186
Ⅱ. 조직환경의 유형 = 187
Ⅲ. 조직간의 상호관계 = 188
Ⅳ. 조직과 환경의 관계 = 190
제7절 조직의 상황적응이론 = 191
Ⅰ. 상황적응이론의 의의 = 191
Ⅱ. 상황적응이론의 특징 = 192
Ⅲ. 상황적응이론에 관한 제 연구 = 193
Ⅳ. 상황적응이론의 한계와 과제 = 194
제2장 행정조직의 규범
제1절 조직의 목표 = 196
Ⅰ. 조직목표의 의의 = 196
Ⅱ. 조직목표의 기능 = 196
Ⅲ. 목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97
Ⅳ. 목표의 유형 = 197
Ⅴ. 목표의 수 = 199
Ⅵ. 목표의 변동 = 200
제2절 조직의 효과성 = 201
Ⅰ. 조직효과성의 의의 = 201
Ⅱ. 조직효과성의 접근모형 = 202
Ⅲ. 조직효과성의 평가기준 = 204
제3절 조직쇄신 = 205
Ⅰ. 조직쇄신의 의의 = 205
Ⅱ. 구조ㆍ제도면의 쇄신 = 206
Ⅲ. 기술면의 쇄신 = 207
Ⅳ. 행태면의 쇄신 = 209
제4절 조직발전 = 210
Ⅰ. 조직발전의 의의 = 210
Ⅱ. 조직발전의 일반적 특질 = 211
Ⅲ. 조직발전의 기능과정 = 211
Ⅳ. 조직발전의 기법 = 212
Ⅴ. 조직발전의 문제점 = 215
제3장 행정조직의 구조
제1절 관료제 = 216
Ⅰ. 관료제의 의의 = 216
Ⅱ. 관료제의 특징 = 217
Ⅲ. Weber이론에 대한 수정이론 = 219
Ⅳ. 관료제의 역기능 = 222
Ⅴ. 관료제의 병리현상과 쇄신 = 224
Ⅵ. 관료제와 민주주의 = 225
제2절 계선기관과 참모기관 = 230
Ⅰ. 계선과 참모의 의의 = 230
Ⅱ. 계선기관의 특징 = 230
Ⅲ. 참모기관의 특징 = 231
Ⅳ. 계선기관과 참모기관과의 관계 = 232
제3절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 = 233
Ⅰ.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의의 = 233
Ⅱ.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차이점 = 233
Ⅲ. 공식적 조직과 비공식적 조직의 관계 = 234
Ⅳ. 비공식적 조직의 기능과 통제 = 235
제4절 소집단 = 235
Ⅰ. 소집단의 의의 = 235
Ⅱ. 소집단과 유사집단의 차이점 = 236
Ⅲ. 소집단 연구의 전개과정 = 237
Ⅳ. 소집단의 유형 = 239
Ⅴ. 소집단의 기능 = 240
제5절 프로젝트 조직과 매트릭스 조직 = 241
Ⅰ. 프로젝트 조직(project organization) = 242
Ⅱ. 매트릭스 조직(matrix organization) = 242
제6절 위원회 = 244
Ⅰ. 위원회 = 244
Ⅱ. 행정위원회 = 245
Ⅲ. 독립규제위원회 = 248
제7절 집권화와 분권화 = 250
Ⅰ. 행정상의 집권화와 분권화 = 250
Ⅱ.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장단점 = 253
Ⅲ.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 254
Ⅳ. 중앙정부의 통제 = 256
Ⅴ. 중앙집권의 한계 = 259
제8절 일선기관 = 260
Ⅰ. 일선기관의 의의 = 260
Ⅱ. 지방자치의 유형과 일선기관 = 260
Ⅲ. 일선기관의 관할구역 = 262
제9절 공사 = 263
Ⅰ. 공사의 의의 = 263
Ⅱ. 공사의 특징 = 263
Ⅲ. 공사의 통제 = 264
Ⅳ. 공사의 자주성 = 264
Ⅴ. 공사의 내부조직 = 265
Ⅵ. 우리 나라의 공사제도 = 265
제10절 광역행정 = 266
Ⅰ. 광역행정의 의의와 필요성 = 266
Ⅱ. 신중앙집권화와 광역제 = 267
Ⅲ. 광역행정의 방식〔분류〕 = 269
Ⅳ. 광역행정의 문제점 = 270
제11절 지방행정 = 270
Ⅰ. 지방행정의 의의 = 270
Ⅱ. 지방행정의 형태 = 271
Ⅲ. 우리 나라의 지방행정 = 272
Ⅳ. 지방행정의 개선방향 = 274
제4장 행정조직의 관리
제1절 의사결정 = 276
Ⅰ. 의사결정의 의의 = 276
Ⅱ. 의사결정의 유형 = 277
Ⅲ. 의사결정의 접근방법 = 278
제2절 기획 = 283
Ⅰ. 기획의 본질 = 283
Ⅱ. 기획의 유형 = 285
Ⅲ. 기획의 과정 = 288
Ⅳ. 기획기구 = 290
Ⅴ. 기획의 원칙과 제약성〔한계〕 = 292
Ⅵ. 기획과 예산 = 294
제3절 최고관리층 = 298
Ⅰ. 최고관리층의 의의 = 298
Ⅱ. 최고관리층의 기능 = 298
Ⅲ. 최고관리층의 자질 = 300
제4절 중간관리층 = 300
Ⅰ. 중간관리층의 의의 = 300
Ⅱ. 중간관리층의 기능 = 301
Ⅲ. 중간관리층의 자질 = 302
제5절 목표관리〔MBO〕 = 302
Ⅰ. MBO의 의의 = 302
Ⅱ. MBO의 발달배경 = 303
Ⅲ. MBO의 공공조직에의 도입 = 303
Ⅳ. MBO의 효용 = 304
Ⅴ. MBO의 문제점 = 305
제6절 사무관리 = 307
Ⅰ. 사무관리의 의의 = 307
Ⅱ. 사무관리의 원칙 = 308
Ⅲ. 사무의 기계화와 관리정보체제 = 309
Ⅳ. 품의제 = 311
제7절 권위 = 313
Ⅰ. 권위의 의의 = 313
Ⅱ. 권위의 기능 = 313
Ⅲ. 권위의 유형 = 314
Ⅳ. 권위의 수용 = 315
제8절 갈등 = 316
Ⅰ. 갈등의 의의 = 316
Ⅱ. 갈등의 기능 = 317
Ⅲ. 조직갈등의 유형 = 318
Ⅳ. 조직갈등의 관리〔해결방법〕 = 320
제9절 동기부여 = 322
Ⅰ. 동기부여의 의의 = 322
Ⅱ. 동기부여에 관한 제 이론 = 323
제10절 리더십 = 332
Ⅰ. 리더십의 의의 = 332
Ⅱ. 리더십에 관한 이론 = 332
Ⅲ. 리더십의 유형 = 340
Ⅳ. 리더십의 기술 = 344
제11절 의사전달 = 345
Ⅰ. 의사전달의 의의 = 345
Ⅱ. 의사전달의 유형 = 346
Ⅲ. 의사전달의 지도원리 = 347
Ⅳ. 의사전달의 저해요인 = 348
제12절 공공관계〔행정 PR〕 = 350
Ⅰ. 행정 PR의 의의 = 350
Ⅱ. 행정 PR의 필요성 = 351
Ⅲ. 행정 PR과 의사전달ㆍ선전의 공통점과 차이점 = 352
Ⅳ. 행정 PR의 기능 = 352
Ⅴ. 행정 PR의 과정과 대상 = 353
Ⅵ. 행정 PR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354
제13절 관리과학 = 355
Ⅰ. 관리과학의 의의 = 355
Ⅱ. 관리과학의 발달 = 356
Ⅲ. 관리과학의 기법 = 358
제14절 행정관리의 인간화 = 361
Ⅰ. 행정관리의 인간화를 위한 지표 = 361
Ⅱ. 행정관리의 인간화를 위한 전제조건 = 361
Ⅲ. 행정관리의 인간화 방안 = 362
제4편 인사행정론
제1장 인사행정의 이론
제1절 인사행정의 본질 = 366
Ⅰ. 인사행정의 의의 = 366
Ⅱ. 인사행정의 기초개념 = 366
제2절 인사행정관의 변천 = 368
Ⅰ. 엽관제의 의의 = 368
Ⅱ. 실적제의 의의 = 370
Ⅲ. 실적제의 내용 = 370
제3절 직업공무원제 = 372
Ⅰ. 직업공무원제의 의의 = 372
Ⅱ. 직업공무원제의 필요성 = 373
Ⅲ. 직업공무원제와 실적제의 차이 = 373
Ⅳ. 직업공무원제의 확립요건 = 374
Ⅴ. 우리 나라 직업공무원제의 개선방향 = 375
제4절 적극적 인사행정 = 376
Ⅰ. 적극적 인사행정의 의의 = 376
Ⅱ. 적극적 인사행정의 대두 이유 = 376
Ⅲ. 적극적 인사행정을 위한 제 방안 = 377
제2장 인사행정의 규범
제1절 공무원의 윤리 = 380
Ⅰ. 행정윤리의 의의 = 380
Ⅱ. 행정윤리의 유형 = 381
Ⅲ. 공무원의 행동규범 = 381
Ⅳ. 행정윤리의 확립을 저해하는 요인 = 384
Ⅴ. 행정윤리의 확립방안 = 384
제2절 공무원의 충성 = 385
Ⅰ. 충성의 의의 = 385
Ⅱ. 충성조사 = 386
Ⅲ. 충성과 인권 = 387
제3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388
Ⅰ.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 의의 = 388
Ⅱ. 공무원의 기본권과 정치적 중립 = 388
Ⅲ.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보장을 위한 요건 = 389
Ⅳ. 주요 각국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390
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 문제점 = 391
제4절 행정부패 = 393
Ⅰ. 행정부패의 의의 = 393
Ⅱ. 행정부패의 유형 = 393
Ⅲ. 행정부패의 발생원인 = 394
Ⅳ. 행정부패의 기능 = 394
Ⅴ. 행정부패의 방지책 = 395
제3장 인사행정의 구조
제1절 공무원제도의 개관 = 397
제2절 중앙인사행정기관 = 399
Ⅰ. 중앙인사행정기관 설치의 의의 = 399
Ⅱ. 중앙인사행정기관 설치의 경과와 내용 = 400
Ⅲ.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조직상의 특징 = 404
Ⅳ. 중앙인사행정기관의 기능 = 407
제4장 인사행정의 관리
제1절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 409
Ⅰ.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구분의 의의 = 409
Ⅱ. 경력직 = 409
Ⅲ. 특수경력직 = 410
제2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 411
Ⅰ. 직위분류제의 의의 = 411
Ⅱ. 직위분류제의 발달 = 412
Ⅲ. 직위분류제의 장단점 = 412
Ⅳ. 직위분류제의 구조와 수립절차 = 414
Ⅴ.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조화(전문행정가와 일반행정가의 관계) = 417
Ⅵ. 우리 나라 직위분류제의 현황과 문제점 = 418
제3절 모집 = 420
Ⅰ. 모집의 의의 = 420
Ⅱ. 적극적 모집방법 = 420
Ⅲ. 응모자의 자격제한 문제 = 421
제4절 시험 = 423
Ⅰ. 시험의 의의 = 423
Ⅱ. 시험의 종류 = 423
Ⅲ. 시험의 효용성 = 424
Ⅳ. 우리 나라의 시험제도 = 425
제5절 보수 = 426
Ⅰ. 보수의 의의 = 426
Ⅱ. 보수의 체계 = 427
Ⅲ. 보수결정의 요인 = 428
Ⅳ. 보수결정의 원칙 = 429
Ⅴ. 보수표의 작성 = 430
Ⅵ. 우리 나라 공무원 보수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 431
제6절 교육훈련 = 433
Ⅰ. 교육훈련의 의의 = 433
Ⅱ. 교육훈련의 종류 = 433
Ⅲ. 성공적 교육훈련의 조건 = 435
Ⅳ. 교육훈련의 제 방법 = 436
Ⅴ. 우리 나라 교육훈련의 개선방향 = 439
제7절 근무성적평정 = 440
Ⅰ. 근무성적평정의 의의 = 440
Ⅱ. 근무성적평정의 목표 = 441
Ⅲ. 근무성적평정의 방법 = 442
Ⅳ. 우리 나라 근무성적평정의 문제점 = 444
제8절 승진 = 444
Ⅰ. 승진의 의의 = 444
Ⅱ. 승진의 기준 = 445
Ⅲ. 승진의 유형 = 446
Ⅳ. 전직(轉職)ㆍ전보(轉補)와 배치전환 = 447
Ⅴ. 우리 나라 공무원 승진제도 = 447
제9절 공무원의 신분보장 = 448
Ⅰ. 신분보장의 의의 = 448
Ⅱ. 조건부임용제도〔시보임용제도〕 = 449
Ⅲ. 직위해제와 대기명령제 = 450
Ⅳ. 징계제도 = 450
Ⅴ. 정년제도 = 451
Ⅵ. 퇴직수당 = 452
제10절 공무원의 사기 = 453
Ⅰ. 사기의 의의 = 453
Ⅱ. 사기의 기본적 요인 = 453
Ⅲ. 사기와 생산성 = 454
Ⅳ. 사기의 측정방법 = 454
Ⅴ. 사기의 앙양을 위한 제 방법 = 455
제11절 공무원의 고충처리 = 457
Ⅰ. 고충처리의 의의 = 457
Ⅱ. 고충의 원인과 처리 = 458
Ⅲ. 고충처리기관 = 459
제12절 제안제도 = 461
Ⅰ. 제안제도의 의의 = 461
Ⅱ. 제안제도의 특징 = 461
Ⅲ. 제안제도의 내용 = 462
Ⅳ. 제안제도의 효과 = 463
제13절 공무원단체 = 464
Ⅰ. 공무원단체의 의의 = 464
Ⅱ. 주요 각국의 공무원단체의 활동내용 = 464
Ⅲ. 우리 나라의 공무원단체 = 470
제14절 공무원의 사회보장 = 470
Ⅰ. 공무원의 연금 = 470
Ⅱ. 공무원의 복리후생 = 472
제5편 재무행정론
제1장 재무행정의 이론
제1절 재무행정의 본질 = 476
Ⅰ. 재무행정의 의의 = 476
Ⅱ. 재무행정의 범위 = 476
제2절 예산의 의의와 원칙 = 478
Ⅰ. 예산의 의의 = 478
Ⅱ. 전통적 예산원칙 = 478
Ⅲ. 현대적 예산원칙 = 480
제3절 예산의 기능 = 481
Ⅰ. 예산기능의 의의 = 481
Ⅱ. 통제지향의 예산기능 = 482
Ⅲ. 관리지향의 예산기능 = 482
Ⅳ. 계획지향의 예산기능 = 483
Ⅴ. 예산의 정치적 기능 = 484
제4절 예산결정이론 = 485
Ⅰ. 예산결정이론의 의의 = 485
Ⅱ. 규범적 예산과정론: 포괄주의(comprehensive approach) = 486
Ⅲ. 실증적 예산과정론: 점증주의(incremental approach) = 487
제2장 재무행정의 구조
제1절 예산행정기관 = 490
Ⅰ. 중앙예산기관 = 490
Ⅱ. 각 부처 예산기관 = 493
제2절 예산의 종류 = 494
Ⅰ. 일반회계예산과 특별회계예산 = 494
Ⅱ. 수정예산과 추가경정예산 = 496
Ⅲ. 준예산ㆍ잠정예산 및 가예산〔예산불성립시의 예산집행〕 = 497
Ⅳ. 품목별 예산ㆍ성과주의예산ㆍ계획예산ㆍ영기준예산 = 498
제3절 예산의 분류 = 498
Ⅰ. 예산분류의 목적 = 498
Ⅱ. 조직체별 분류 = 499
Ⅲ. 기능별 분류 = 500
Ⅳ. 품목별 분류 = 501
Ⅴ. 경제성질별 분류 = 502
Ⅵ. 통합예산 = 504
제4절 자본예산과 균형예산 = 505
Ⅰ. 자본예산 = 505
Ⅱ. 균형예산 = 508
제5절 예산과정의 4단계 = 509
Ⅰ. 회계연도 = 509
Ⅱ. 예산과정의 4단계 = 509
제6절 예산의 편성 = 512
Ⅰ. 예산편성의 의의 = 512
Ⅱ. 미ㆍ영 양국의 예산편성의 특색 = 512
Ⅲ. 우리 나라의 예산편성 = 513
Ⅳ. 예산전략 = 516
제7절 예산의 심의 = 518
Ⅰ. 예산심의의 의의 = 518
Ⅱ. 주요 각국의 예산심의의 비교 = 518
Ⅲ. 우리 나라의 예산심의 = 521
제8절 예산의 집행 = 523
Ⅰ. 예산집행의 의의 = 523
Ⅱ. 미ㆍ영 양국의 예산집행의 특색 = 524
Ⅲ. 우리 나라의 예산집행 = 525
제9절 회계검사 = 529
Ⅰ. 회계검사의 의의 = 529
Ⅱ. 회계검사기관 = 530
Ⅲ. 회계검사의 종류 = 533
Ⅳ. 회계검사와 직무감찰 = 533
제10절 결산 = 535
Ⅰ. 결산의 의의 = 535
Ⅱ. 영국의 결산제도 = 536
Ⅲ. 우리 나라의 결산제도 = 536
제3장 재무행정의 관리
제1절 성과주의예산 = 538
Ⅰ. 성과주의예산의 의의 = 538
Ⅱ. 성과주의예산의 운영상의 구비조건 = 539
Ⅲ.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달 = 540
Ⅳ. 성과주의예산의 장단점 = 541
Ⅴ. 성과주의예산제도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 = 542
Ⅵ. 우리 나라의 성과주의예산제도 = 543
제2절 계획예산〔PPBS〕 = 544
Ⅰ. PPBS의 의의 = 544
Ⅱ. PPBS의 기본원리 = 545
Ⅲ. PPBS의 프로그램체계 = 546
Ⅳ. PPBS의 효용 = 547
Ⅴ. PPBS의 문제점 = 548
제3절 목표관리〔MBO〕 = 550
Ⅰ. MBO의 의의 = 550
Ⅱ. MBO와 PPBS의 차이점 = 551
제4절 영기준예산〔ZBB〕 = 552
Ⅰ. ZBB의 의의 = 552
Ⅱ. ZBB의 구성요소 = 553
Ⅲ. ZBB의 효용 = 554
Ⅳ. ZBB의 문제점 = 554
Ⅴ. 우리 나라에서의 ZBB의 도입 = 555
제5절 공기업과 예산 = 556
Ⅰ. 공기업의 의의 = 556
Ⅱ. 공기업의 형태 = 556
Ⅲ. 공기업의 예산 = 559
Ⅳ. 우리 나라 공기업의 과제 = 560
제6절 구매행정 = 561
Ⅰ. 구매행정의 의의 = 561
Ⅱ. 집중구매제도의 장단점 = 562
Ⅲ. 중앙구매기관 = 564
제6편 정책론
제1장 정책의 본질
제1절 정책의 개념 = 568
제2절 정책의 유형 = 569
Ⅰ. Almond와 Powell의 구분 = 569
Ⅱ. Lowi의 구분 = 570
Ⅲ. Ripley와 Franklin의 구분 = 571
Ⅳ. Anderson의 구분 = 572
제2장 정책과정
제1절 정책의제의 채택 = 573
Ⅰ. 개설 = 573
Ⅱ. Cobb-Elder의 이론 = 574
Ⅲ. R. Eyestone의 이론 = 576
Ⅳ. J. Anderson의 이론 = 577
Ⅴ. 무의사결정이론(non-decision making theory) = 578
제2절 정책결정 = 579
Ⅰ. 정책결정의 의의 = 579
Ⅱ. 정책결정의 제 단계 = 580
Ⅲ. 합리적 정책결정의 제약요인 = 582
제3절 정책집행 = 585
Ⅰ. 정책집행의 의의 = 585
Ⅱ. 정책집행의 유형과 기준 = 587
Ⅲ. 정책집행의 전략 = 589
Ⅳ. 정책집행의 제약요인 = 590
Ⅴ. 정책집행의 결정변수 = 592
제4절 정책평가 = 595
Ⅰ. 정책평가의 의의 = 595
Ⅱ. 정책평가의 유형 = 595
Ⅲ. 정책평가의 기준 = 596
Ⅳ. 정책평가의 단계 = 599
Ⅴ. 정책평가의 방법 = 601
Ⅵ. 사회지표 = 604
제3장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제1절 의의 = 610
제2절 내용 = 610
Ⅰ. 합리모형(rational model) = 610
Ⅱ. 만족모형(satisficing model) = 612
Ⅲ. 점증모형(incremental, muddling through model) = 612
Ⅳ. 혼합모형(mixed-scanning model) = 613
Ⅴ. 최적모형(optimal model) = 614
Ⅵ. 제도모형(institutional model) = 616
Ⅶ. 과정모형(process model) = 617
Ⅷ. 집단모형(group model) = 617
Ⅸ. 엘리트모형(elite model) = 619
Ⅹ. 게임이론모형 = 620
◆U216A◆. 체제모형(systems model) = 621
◆U216B◆. 연합모형(coalition model) = 622
XIII. 집합모형(garbage can model) = 623
XIV. 공공선택모형(public choice model) = 624
XV. Allison의 통합모형 = 625
제4장 정책분석
제1절 정책분석의 의의 = 629
Ⅰ. 개념 = 629
Ⅱ. 구분개념 = 630
제2절 정책분석의 과정 = 632
Ⅰ. 정책분석의 구성요소 = 632
Ⅱ. 정책분석의 단계 = 633
제3절 정책분석기법 = 636
Ⅰ. 체제분석 = 636
Ⅱ. 비용-편익분석 = 639
Ⅲ. 선형계획법 = 652
Ⅳ. 게임이론 = 658
Ⅴ. 대기행렬이론 = 661
Ⅵ. 시뮬레이션 = 664
Ⅶ. 의사결정분석 = 667
제7편 행정환경론
제1장 행정의 환경
제1절 행정과 환경 = 674
Ⅰ. 행정환경의 의의 = 674
Ⅱ. 행정체제의 투입요소 = 675
제2절 행정환경의 유형 = 676
Ⅰ. 사회적 환경 = 676
Ⅱ. 경제적 환경 = 678
Ⅲ. 정치적 환경 = 679
제2장 시민의 행정수요
제1절 사회적 요구와 행정수요 = 681
제2절 행정수요와 국가목표의 설정 = 682
제3절 시민의 요구와 지지의 균형 = 685
제3장 시민의 행정통제와 행정참여
제1절 행정과 시민의 관계 = 687
제2절 시민의 행정통제 유형 = 688
Ⅰ. 시민의 행정통제 = 688
Ⅱ. 지방자치와 주민통제 = 688
Ⅲ. 기타의 행정통제 유형(Ombudsman제도) = 689
제3절 시민의 행정참여 = 691
Ⅰ. 시민의 행정참여의 의의 = 691
Ⅱ. 행정에 대한 시민참여의 형태 = 692
Ⅲ. 행정상의 의사결정에 대한 시민참여제도 = 693
Ⅳ. 시민의 행정참여 방법 = 694
Ⅴ. 시민의 바람직한 행정참여 방향 = 695
제4장 행정문화
제1절 문화의 의의 = 696
제2절 정치문화와 행정문화의 의의 = 698
제3절 우리 나라 관료문화의 특색 = 701
Ⅰ. 가족주의적 관료문화 = 701
Ⅱ. 권위주의적 관료문화 = 702
Ⅲ. 의식주의적 관료문화 = 703
Ⅳ. 운명주의적 관료문화 = 703
제4절 우리 나라 관료제와 관료문화 = 704
Ⅰ. 이조시대의 관료문화 = 704
Ⅱ. 일제시대의 관료문화 = 705
Ⅲ. 해방 이후의 관료문화 = 706
제8편 발전론
제1장 행정과 발전
제1절 발전행정 = 710
Ⅰ. 발전행정의 의의 = 710
Ⅱ. 발전행정의 접근방법 = 711
Ⅲ. 발전행정의 지표 = 713
Ⅳ. 행정발전의 제고방안 = 715
제2절 국가발전과 행정의 역할 = 717
Ⅰ. 국가발전을 위한 목표설정 = 717
Ⅱ.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의 역할 = 718
Ⅲ. 정부관료제에 기대되는 역할 = 719
제2장 발전을 위한 행정체제의 비교
제1절 비교행정의 의의 = 720
제2절 비교행정의 접근방법 = 721
Ⅰ. F.W. Riggs의 분류 = 721
Ⅱ. F. Heady의 분류 = 721
제3절 선진국과 발전도상국의 행정 = 722
Ⅰ. 행정체제의 모형 = 722
Ⅱ. 선진국 행정의 특징 = 723
Ⅲ. 발전도상국 행정의 특징 = 724
제3장 국가발전과 행정의 과제
제1절 정치ㆍ행정체제의 유형과 문제점 = 728
Ⅰ. 정치ㆍ행정체제의 유형 = 728
Ⅱ. 발전도상국 관료제의 문제점 = 730
제2절 발전도상국의 과제와 발전행정가 = 731
Ⅰ. 발전도상국의 과제 = 731
Ⅱ. 발전행정가 = 733
제4장 한국행정의 과제
제1절 한국행정의 철학적 조명 = 735
제2절 한국행정의 신뢰성 제고방안 = 737
Ⅰ. 행정의 신뢰성의 개념 = 737
Ⅱ. 행정에 대한 불신요인 = 738
Ⅲ. 행정의 신뢰성의 제고방안 = 739
참고문헌 = 741
서양인명색인 = 765
사항색인 = 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