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녹색금융에 대한 개요
1. 녹색성장과 금융의 역할 = 3
2. 녹색금융의 개념과 범위 = 4
3. 녹색금융의 부상 배경 = 7
3-1.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 = 11
1) 포스트 교토체제 = 11
2) 주요국의 녹색성장 정책 추진현황 = 14
3-2.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 = 18
4.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 = 21
4-1. 정부의 녹색성장정책 = 22
4-2.「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제정 취지와 금융권 영향 = 25
4-3. 녹색성장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 = 30
4-4. 녹색금융의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 34
제2장 소매금융과 녹색금융
1. 소매형 녹색금융상품 개발의 필요성 = 43
2. 국내 상품 출시 동향과 특징 = 44
2-1. 수신상품 = 44
2-2. 대출상품 = 56
2-3. 투자신탁상품 = 58
2-4. 카드상품 = 65
3. 해외 상품출시 동향과 특징 = 72
3-1. 소매형 녹색수신상품 = 72
3-2. 소매형 녹색대출상품 = 75
3-3. 투자신탁상품 = 80
3-4. 신탁상품 = 82
3-5. 신용카드 = 83
3-6. 기타 상품 = 83
4. 향후 소매형 녹색금융상품의 개발 방향과 과제 = 84
제3장 기업여신과 녹색금융
1. 녹색성장과 기업금융 여건 변화 = 91
1-1. 녹색성장 추진에 따른 기업금융의 새로운 사업기회 = 93
1) 녹색기술 및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수요와 관련된 사업기회 = 93
2) 에너지 고효율 시설의 도입 등 친환경대책 수립에 따른 자금수요 증가 = 95
3) 탄소배출권 관련사업에서 파생되는 사업기회 = 97
4) CSR 목적의 녹색금융상품 니즈 증대에 따른 사업기회 = 99
5) 해외진출, M&A, 기업공개 등으로 파생하는 사업기회 = 99
1-2. 환경규제 강화 등에 따른 환경리스크 = 100
2. 기업여신 녹색상품 출시 동향과 향후 과제 = 103
2-1. 국내은행의 기업여신 녹색상품 출시 동향과 특성 = 104
2-2. 해외은행의 기업여신 녹색상품 = 108
2-3. 기업여신 녹색상품 개발방향과 과제 = 114
3. 환경리스크 관리방안 = 116
3-1. 은행의 환경리스크 요인 = 117
3-2. 환경리스크 관리의 필요성 = 119
3-3. 국내은행의 환경리스크 관리동향 = 120
3-4. 해외은행의 환경리스크 관리동향 = 121
1) Citi Bank = 122
2) 미쯔이스미토모은행(SMBC) = 123
3-5. 환경리스크 관리방향과 과제 = 125
제4장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녹색금융
1.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녹색금융 = 129
2. 프로젝트 파이낸스 개요 = 130
2-1.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특성 = 130
2-2. 프로젝트 파이낸스의 동향 = 131
3.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환경리스크 관리 = 132
3-1. 프로젝트 파이낸스와 환경리스크의 잠재성 = 132
3-2. 일반 프로젝트 파이낸스 사업과 환경문제 발생 사례 = 133
3-3. 녹색 프로젝트 사업과 환경문제 발생 사례 = 134
3-4. 사업입지의 특수성과 환경리스크 = 136
3-5. 사업규모의 특수성과 환경리스크 = 136
3-6. 사업기간의 특수성과 환경리스크 = 136
4. 적도원칙(The Equator Principles) = 137
4-1. 적도원칙의 목적 및 개요 = 137
4-2. 적도원칙 참여기관 = 139
4-3. 적도원칙의 주요 내용 = 139
원칙 1 : 점검 및 분류화 = 143
원칙 2 : 사회ㆍ환경적 평가 = 143
원칙 3 : 사회적ㆍ환경적 기준의 적용가능성 = 145
원칙 4 : 실행 계획 및 관리 시스템 = 145
원칙 5 : 협의 및 공개 = 146
원칙 6 : 고충처리 메커니즘 = 146
원칙 7 : 독립적인 검토 = 147
원칙 8 : 조항 = 147
원칙 9 : 독립적인 감독 및 보고 = 148
원칙 10 : EPFI 보고 = 148
4-4. 적도원칙 준수 성과보고 사례 = 149
4-5. 적도원칙 가입과 책임범위 = 151
5. 녹색 프로젝트와 파이낸스 = 152
제5장 책임투자와 녹색금융
1. 책임투자의 개념 및 동향 = 165
1-1. 책임투자의 개념 = 165
1-2. 책임투자의 역사 = 167
1-3. 책임투자의 원동력 : 공적자금 운용 및 제도화 = 168
1-4. 국내의 책임투자 동향 = 168
2. 책임투자의 원칙 및 평가기준 = 169
2-1. UN PRI(The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개요 = 169
2-2. 서명기관 = 173
2-3. 책임투자의 실행방식 및 평가기준 = 174
2-4. 투자자의 경영관여 활동 = 177
3. 책임투자시장의 규모 추이 = 182
4. 책임투자지수(SRI 지수) = 184
5. 책임투자와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 = 191
제6장 탄소금융과 녹색금융
1. 배출권 거래제도 및 인프라 = 199
1-1. 기후변화협약과 배출권 거래 메커니즘 = 199
1-2. 탄소배출권 거래소 = 203
2. 탄소배출권 시장 동향 = 207
2-1. 탄소시장 규모 = 207
2-2. 탄소배출권 사업동향 = 209
2-3. 탄소배출권 거래량 동향 = 215
2-4. 탄소배출권 가격동향 = 218
2-5. 탄소배출권 가격예측 = 220
3. 탄소배출권 거래 및 사업투자 = 225
3-1. 탄소배출권 거래유형 = 225
3-2. 탄소펀드 = 229
3-3. 탄소배출권 사업투자 = 234
4.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한 전망 = 235
5. 자발적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 241
6. 국내의 탄소금융 추진 현황 = 248
제7장 국내 녹색금융정책의 동향
1.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선포 및 기본법 = 253
1-1. 저탄소 녹색성장의 개념 = 253
1-2. 녹색성장위원회 출범 = 256
1-3.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과 녹색금융 = 256
2. 신성장동력 사업과 녹색금융 = 260
3. 저탄소 녹색성장 5개년 계획 및 국가전략 = 261
4. 녹색금융 실행정책 = 262
4-1. 녹색투자 촉진을 위한 자금유입 원활화 방안 = 262
4-2. 녹색인증제도 = 267
4-3. 녹색경쟁력 확충을 위한 재정ㆍ금융 지원 강화방안 = 270
4-4. 녹색금융협의회를 통한 금융기관의 녹색금융정책 참여 = 273
5. 녹색금융관련 주요 관련정책 = 274
5-1.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제 = 274
5-2.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278
제8장 녹색금융의 활성화를 위한 은행의 역할
1. 녹색경영의 실천 = 285
2. 녹색경영의 필요성 = 286
3. 국내은행의 녹색경영 사례 = 288
3-1. 국민은행 = 288
3-2. 하나은행 = 289
3-3. 대구은행 = 290
4. 해외은행의 녹색경영 사례 = 291
4-1. Bank of America(BOA) = 293
4-2. HSBC = 293
4-3. 미쯔비스동경 UFJ은행 = 295
5. 국내은행의 녹색경영 추진방향과 과제 = 296
5-1. 녹색경영의 추진방향 = 296
5-2. 녹색경영의 추진과제 = 297
제9장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1.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의의 = 303
2. 녹색금융 직무와 필요역량 = 305
3.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교육체계 = 312
4. 녹색금융 교육과정 커리큘럼 = 319
4-1. 한국금융연수원의 녹색금융 교육과정 = 319
4-2. UNEP FI(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Finance Initiative)의 녹색금융 교육과정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