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20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622545 | |
005 | 20101221195004 | |
007 | ta | |
008 | 101221s2009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2607438 ▼g 13680 : ▼c \20000 | |
035 | ▼a (KERIS)BIB000011847170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070.1/8 ▼2 22 |
085 | ▼a 070.18 ▼2 DDCK | |
090 | ▼a 070.18 ▼b 2009z2 | |
100 | 1 | ▼a Artis, Anthony Q. ▼0 AUTH(211009)42352 |
245 | 1 0 | ▼a 친절한 DV영화제작법 / ▼d 앤서니 Q. 아티스 지음 ; ▼e 김지은 옮김 |
246 | 1 9 | ▼a (The) shut up and shoot documentary guide : ▼b a Down & dirty DV production |
246 | 3 | ▼a 친절한 디브이 영화제작법 |
246 | 3 | ▼a 친절한 디지털비디오 영화제작법 |
260 | ▼a 서울 : ▼b 비즈앤비즈, ▼c 2009 | |
300 | ▼a 292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6 cm | |
440 | 0 0 | ▼a 비즈앤비즈 영화/비디오 시리즈 ; ▼v 1 |
500 | ▼a 부록수록 | |
650 | 0 | ▼a Documentary films ▼x Production and direction |
650 | 0 | ▼a Video recordings ▼x Production and direction |
700 | 1 | ▼a 김지은, ▼e 역 ▼0 AUTH(211009)42354 |
900 | 1 0 | ▼a 아티스, 앤서니 Q.,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18 2009z2 | Accession No. 1116036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DV(디지털비디오) 영상제작을 위한 친절한 안내서. 유연한 게릴라식 다큐멘터리 제작 비법을 소개하고, 주제발견, 자료조사에서부터 영화 완성 후 배급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 동선, 조명, 사운드의 기술적 특성에서부터 스태프 모집, 로케이션, 인터뷰 진행 요령을 총망라하고 있다. 영화제작자, 촬영기사, 편집자, 각 분야의 전문가가 들려주는 생생한 경험담도 수록하였다.
DV(디지털비디오) 영상제작을 위한 친절한 안내서
"내 손으로 직접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어 보자"
오직 필요한 것은 창조력과 고분분투. 유연한 게릴라식 다큐멘터리 제작 비법 소개
주제발견, 자료조사에서부터 영화가 완성 후 배급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설명
카메라, 동선, 조명, 사운드의 기술적 특성에서부터 스태프 모집, 로케이션, 인터뷰 진행 요령 총망라
영화제작자, 촬영기사, 편집자, 각 분야의 전문가가 들려주는 생생한 경험담 수록
'실재의 영화'로서 다큐멘터리는 현실에서 발견한 인물, 소재에서 출발한다. 이 책은 추상
적 형태로 머물러 있는 주제를 어떻게 다큐멘터리의 요소로 표현하여 형식으로 구성하고 또
어떤 과정을 통해 스크린 상의 결과물로 실현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즉 영화로 만
들 수 있는 소재가 있고 생각을 해 본 적은 많지만 직접 카메라를 들고 실천에 옮겨보지 못
했던 사람들을 위한 쉬운 단어로 쓰인 제작 입문서이다.
저자는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의 전통적인 영화제작 과정을 짚어가면
서 주제발견 및 자료조사에서부터 영화가 완성이 된 이후 배급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매우 세부적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각각의 절차와 단계마다 마치 일련의 사건처
럼 다큐멘터리 영화에 몸담고 있는 연출가, 프로듀서, 촬영감독, 편집기사 등 각 분야의 전
문가가 직접 들려주는 경험담을 많은 지면에 걸쳐 할애하고 있다. 젊은 영화인으로써 아직
시작 단계에 놓인 본인에게 역시 수록된 경험담은 흥미로운 읽을거리라고 느꼈다.
영화 제작은 극영화든 다큐멘터리든 모두가 이야기를 만들 어내는 과정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늘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주제를 꺼내 놓기 위해 고심하게 된다. 저자는
제작과정에 관한 기술적, 실용적인 정보와 아울러 다큐멘터리가 타인의 삶 속에서 가치를
발견하고 이야기를 경청하는 과정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매체임을 강조한다.
다큐멘터리의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식의 근저에 타인의 삶에 개입하는 과정에서 잊지
말아야 할 마음가짐과 태도, 다큐멘터리의 윤리적인 과제와 책임에 대한 그의 견해에 깊이
공감한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은 어려운 영화 이론서가 아니다. 저자는 본인이 현
장에서 직접 느꼈던 희열, 고심했던 문제점 등을 모두 있는 그대로 드러내어 말한다. 그러
한 문체와 관점은 저자에게 영화 제작 과정에서 가졌던 의문점을 직접 문의해도 될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로 '현재'에 충실하고 있으며 생생하고, 솔직하다. 한편 그 중에서 가장 강조되는
덕목은 유연성이다. 특히 저예산으로 작품을 만들어야 하는 학생이나 독립영화인은 영화 현장에서
고정된 규칙이나 원칙에 따를 수 없을 때가 허다하다. 그때마다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게
반응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형식을 창조해내야 하는 과제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작품을
만드는 데 있어 '게릴라'가 되기를 촉구한다. '게릴라'의 실험성과 독창성은 작품의 내용뿐만
아니라 제작 과정에서도 발휘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활동하는 미국의 독립영화 제작 여건과 한국의 상황에는 큰 차이가 있고 그 점을
반영하지 못한 아쉬움도 있다. 그 점을 보안한 한국의 영화 현실에 바탕을 둔 저예산 '게릴
라'를 위한 입문서도 함께 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해 보았다. 직접 영화를 촬영
하는 현장으로 뛰어들어보고 그 속에서 여러 가지 문제에 부딪히면서 배움을 얻었던 이 책
의 저자가 밝히는 생생한 경험이 처음 영화를 만드는 이들에게, 또 현재 작품을 제작하고
있는 모든 젊은 게릴라 아티스트에게 격려와 힘이 되기를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앤서니 Q. 아티스(지은이)
게릴라 영화제작자. 뉴욕대(NYU) 티시 아츠 스쿨(Tisch School of Arts)을 졸업했다. 다수의 텔레비전, 타큐멘터리, 극영화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그가 만든 <셀터>는 트리베카 영화제, IFP마켓, 시네퀘스트, 선댄스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IFP에서 신인 극영화 최고상, 테메쿨라 국제 영화제에서는 관객상, 시네퀘스트에서는 심사위원특별상을 받았다. 현재 뉴욕대 티시 아츠 스쿨에서 영화 및 TV 프로덕션 센터장으로 있다.
김지은(옮긴이)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이화여대 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미술잡지에서 기자로 활동하다가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4분33초》, 《Hello Darkness!》, 《태양이 지나가는 길》 등의 단편을 연출했으며, 현재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후반작업 중이다. 극단 《목요일 오후 한 시》와 영상창작집단 《133번지》의 멤버이며 역사와 과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의 이야기 형식과 공동창작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옮긴책으는 《아나키즘의 역사》(공역. 이룸출판사)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지은이의 글 = 13 서론 = 17 1장 프리프로덕션 = 20 영화제작 과정의 학습 = 19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왜 다큐멘터리를 만드는가? = 23 다큐멘터리 프리프로덕션 = 24 아이디어의 브레인스토밍 = 25 자료조사의 중요성 = 26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자료조사와 사실 확인 = 27 주요 인물 = 28 접근방식과 스토리텔링 = 29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콘셉트와 스토리텔링 = 30 프로덕션 계획 세우기 = 31 최신 정보: 제작비 마련하기 = 32 다큐멘터리의 예산내역서 쓰기 = 38 예산서 작성 팁 = 39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돈' 마련하기 = 41 최신 정보: 예산 절감 10가지 방법 = 42 가격 정보는 어디에서 찾는가? = 45 예산서 쓰기 - 최종 조언 = 46 사용 장비 선택하기 = 47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교환의 요령을 알고 사용하기 = 48 비디오 포맷 101 = 49 비디오 기술에 대한 짧은 수업 = 50 최신 정보: 카메라는 어떤 점을 따져보아야 하는가 = 52 카메라 선택 = 54 카메라 안내서 = 55 구입하기 vs. 대여하기 = 59 최신 정보: 학교 교육용 장비 활용하기 = 60 다큐멘터리 기자재 목록 = 61 최신 정보: 장비와 함께 이동하기 위한 5가지 팁 = 62 촬영 전에 = 63 다큐멘터리 영화 스태프 = 64 좋은 스태프와 나쁜 스태프 = 65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프로듀서와 감독의 관계 = 66 스태프 모집 = 67 스태프 미팅 = 68 스태프에게 식사 제공하기 = 69 최신 정보: 저예산으로 거칠게 찍는 영화 음식 아이디어 = 71 2장 로케이션, 로케이션, 로케이션 = 73 로케이션 촬영 = 74 로케이션 매니지먼트 = 75 섭외가 까다로운 로케이션 개요 = 76 PR 담당과 미디어 교섭 = 77 이동 차량에 대해 고려할 점들 = 78 로케이션 협의서와 보험 = 80 보험의 문제 = 81 카메라를 도둑맞지 않는 방법 = 82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장거리 촬영을 위해 항상 준비하라 = 83 최신 정보: 우범지역에서 촬영하기 = 84 최신 정보: 비밀리에 촬영하는 기술 = 86 3장 이미지 제어 및 촬영법 = 89 이미지 컨트롤의 기초 = 90 초점 = 91 노출 = 92 제브라 스트라이프와 게인 = 93 색온도 = 94 화이트 밸런스 = 95 셔터 스피드 = 96 셔터 스피드와 움직임 = 97 최신 정보: 필름 느낌 만들기 = 98 수동 기능 vs. 자동 기능 = 99 자동 기능을 사용해야 할 때 = 100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진실 포착하기 = 101 줌 제어 활용하기 = 102 프로를 위한 핸드핼드 기법의 비밀 = 103 핸드헬드 촬영 자세 = 104 삼각대 = 105 프리 롤과 엔드 롤 = 106 레코딩 프로토콜 설정하기 = 107 컬러 바 = 108 테이프 내용 분류 기록하기 = 109 최신 정보: 렌즈 닦기 = 111 4장 조명 = 113 전기와 안전 수칙 = 114 안전한 조명기기 사용법 = 115 전선의 파열을 피하는 방법 = 118 조명기기의 종류 = 119 인터뷰를 위한 조명 설치 = 122 주광(키 라이트) = 123 헤어 라이트와 역광 = 124 보조광(필 라이트) = 126 빛의 강도 조절하기 = 127 젤라틴 안내 = 128 인터뷰를 위한 조명 설치 = 130 최신 정보: 적은 광량에서 촬영하기 위한 세 가지 팁 = 131 다양한 조명 설치를 위한 팁 = 132 손쉬운 조명 설치 5단계 = 133 조명 설치 방법 - 실용적인 조명 = 135 조명 설치 방법 - 4점 조명 = 136 조명 설치 방법 - 간단한 조명 = 137 조명 설치 방법 - 창문 조명 = 138 조명 설치 방법 - 익명 유지를 위한 조명 = 139 조명 설치 방법 - 두 명의 등장인물을 위한 조명 = 140 조명 설치 방법 - 외부 밤 촬영시 조명 = 141 조명 설치 방법 - TV 모니터 조명 = 142 조명 설치 방법 - 블랙라이트 조명 = 143 5장 소리 녹음 = 145 기본적인 녹음 장비 = 146 중급 사용자를 위한 사운드 장비 = 147 붐 마이크 = 148 붐 마이크 활용 팁 = 149 좋은 붐, 나쁜 붐 = 150 붐을 다루는 기술 = 151 소형 마이크와 헨드헬드 마이크 = 152 소형 마이크 장착하기 = 154 최신 정보: 하나의 소형마이크로 두 명의 인물을 촬영할 때 = 155 적합한 마이크 사용 = 156 사운드 레벨 = 157 사운드 레벨 녹음하기 = 158 왜 믹서를 사용해야 하는가? = 160 현장에서 믹서 사용하기 = 161 믹서의 다른 특성 = 163 잊지 말아야 할 5가지 수칙 = 164 로케이션 사운드 녹음 = 166 촬영지에서 발생하는 소리 녹음의 장애 요소 = 167 케이블 = 168 음향에 관한 잡다한 팁 = 171 사운드 담요 사용하기 = 172 6장 화면 구성과 커버리지 = 175 화면 비율 = 176 와이드스크린 DV 촬영하기 = 177 최신 정보: 저예산으로 거칠게 찍는 DV 와이드스크린 = 178 화면 구성의 기초 = 179 화면 구성의 기교 = 181 렌즈의 초점 거리 = 182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 183 말하지 말고 보여주어야 한다 = 184 다큐멘터리의 시각언어 = 186 이야기 구성과 장면전환 쇼트 = 194 B롤이 곧 A롤이다 = 195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애니메이션을 사용한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 196 피사계 심도에 관하여 = 197 최신 정보: 얕은 피사계 심도 = 198 생생한 현장을 포착하기 위한 10가지 팁 = 199 7장 인터뷰 준비 = 203 인터뷰에 관한 모든 것 = 204 최종 준비 = 205 촬영지에 도착하기 = 206 인터뷰 배경 선택하기 = 207 최신 정보: 혼자서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배경막 = 208 인물의 배치와 시선 = 209 적절한 의상 = 210 의상 문제 = 211 얼굴 수정하기 = 212 최신 정보: 쉽게 할 수 있는 파우더 메이크업 = 213 출연 동의서 = 214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공정하게 인물 조명하기와 동의서 = 215 주제 요약하기 = 216 최신 정보: 현실감을 유지하라 = 217 등장인물에게 일러두어야 할 사항들 = 218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등장인물이 그만두기를 바랄 때 = 219 8장 인터뷰 이끌어내기 = 221 질문하고 대답하기 = 222 질문의 논리적 순서 = 223 인터뷰 준비와 워밍업 = 224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비협조적인 인물 인터뷰 = 225 최신 정보:기자회견장 촬영하기 = 226 듣는 기술 = 227 등장인물에게 반응하라 = 228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탐구를 향한 용기 = 229 최종 자기 발언 질문 = 230 최신 정보: 유명 인사 인터뷰하기 = 231 기술적인 문제 해결 = 232 기술적인 문제 해결하기 = 234 끝맺기 = 235 9장 포스트프로덕션 = 237 포스트프로덕션 과정 = 238 영상 보기와 메모하기 = 239 영상 로깅하기 = 240 최신 정보: 자동 테이프 로깅 = 242 인터뷰 녹취 = 243 누가 편집해야 할까? = 244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편집기사와 함께 작업하기 = 247 타임코드와 DV 테이프 = 248 스톡 비디오클립과 음악 = 249 최신 정보: 미디어 아카이브에 관한 7계명 = 250 팟캐스팅과 비디오 공유를 해야 하는 5가지 이유 = 252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온라인에서 관객 찾기 = 254 영화제 공략 = 256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열정, 사업 그리고 영화제작 = 257 영화제에 진출하기 위한 7가지 방법 = 258 나도 경험한 적이 있다: 선댄스 영화제에서 분주히 움직이기 = 262 부록 = 265 추천 도서 = 266 용어 사전 = 269 영상 로깅하기 = 240 유용한 서식 = 281 라이브 행사/이벤트 체크리스트 = 282 출연/인터뷰 동의서 = 283 비디오 편집 로그 = 284 스토리보드 = 285 크래프트 서비스 체크리스트 = 286 촬영 전 체크리스트 = 287 다큐멘터리 예산서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