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재생의 담론,) 21세기 민족주의

(재생의 담론,) 21세기 민족주의 (4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수일, 1934-, 저 강철구, 저 정영철, 저 이계환, 저 노용석, 저 정해랑, 저 민경우, 저 김치관, 저 유영호, 저 전상봉, 저
단체저자명
21세기민족주의포럼, 편
서명 / 저자사항
(재생의 담론,) 21세기 민족주의 / 정수일 외 지음 ; [21세기민족주의포럼 엮음]
발행사항
서울 :   통일뉴스,   2010  
형태사항
341 p. : 도표 ; 22 cm
ISBN
9788994771007
일반주기
지은이: 정수일, 강철구, 정영철, 이계환, 노용석, 정해랑, 민경우, 김치관, 유영호, 전상봉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1102camcc2200373 c 4500
001 000045622171
005 20101217204651
007 ta
008 101217s2010 ulkd b 001c kor
020 ▼a 9788994771007 ▼g 03300
035 ▼a (KERIS)BIB000012205477
040 ▼a 211032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20.54 ▼2 22
085 ▼a 320.54 ▼2 DDCK
090 ▼a 320.54 ▼b 2010z2
245 2 0 ▼a (재생의 담론,) 21세기 민족주의 / ▼d 정수일 외 지음 ; ▼e [21세기민족주의포럼 엮음]
246 1 1 ▼a 21c nationalism
260 ▼a 서울 : ▼b 통일뉴스, ▼c 2010
300 ▼a 341 p. : ▼b 도표 ; ▼c 22 cm
500 ▼a 지은이: 정수일, 강철구, 정영철, 이계환, 노용석, 정해랑, 민경우, 김치관, 유영호, 전상봉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정수일, ▼d 1934-, ▼e
700 1 ▼a 강철구, ▼e
700 1 ▼a 정영철, ▼e
700 1 ▼a 이계환, ▼e
700 1 ▼a 노용석, ▼e
700 1 ▼a 정해랑, ▼e
700 1 ▼a 민경우, ▼e
700 1 ▼a 김치관, ▼e
700 1 ▼a 유영호, ▼e
700 1 ▼a 전상봉, ▼e
710 ▼a 21세기민족주의포럼,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 2010z2 등록번호 1116037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 2010z2 등록번호 1116037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0.54 2010z2 등록번호 1512938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 2010z2 등록번호 1116037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0.54 2010z2 등록번호 1116037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20.54 2010z2 등록번호 1512938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수일(지은이)

중국 옌볜에서 태어나 옌볜고급중학교와 베이징대학 동방학부를 졸업했다. 카이로대학 인문학부를 중국의 국비유학생으로 수학했고 중국 외교부 및 모로코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평양국제관계대학 및 평양외국어대학 동방학부 교수를 지내고, 튀니지대학 사회경제연구소 연구원 및 말레이대학 이슬람아카데미 교수로 있었다. 단국대 대학원 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동 대학 사학과 교수로 있었다.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5년간 복역하고 2000년 출소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문명교류연구소 소장으로, 문명교류학의 세계적 권위자로서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로 『신라·서역교류사』『세계 속의 동과 서』『기초 아랍어』『실크로드학』『고대문명교류사』『문명의 루트 실크로드』『문명교류사 연구』『이슬람문명』『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다』『한국 속의 세계』(상·하)『실크로드 문명기행: 오아시스로 편』『문명담론과 문명교류』『실크로드 사전』(한글·영어)『실크로드 도록』(육로·해로·초원로편)『민족론과 통일담론』『우리 안의 실크로드』 등 이 책 『시대인, 소명에 따르다: 정수일 회고록』을 포함해 29종 36권, 역주서는 『이븐 바투타 여행기』(전 2권)『중국으로 가는 길』『혜초의 왕오천축국전』『오도릭의 동방기행』등 4종 5권으로 총 33종 41권의 저서 및 역주서가 있다. 정수일 어록 • ‘다민족’과 ‘다문화’는 각이한 민족들의 정체성이 존중될 때만이 비로소 시대정신이 될 수 있다. • ‘세계사적 시대’ ‘민족사적 시대’는 층위적 개념이 아니라 시공을 초월한 상호 보완적이며 평행적인 개념이다. • ‘일체성’이야말로 미래의 인류를 다 같이 공생 공영할 수 있게 하는 역사의 원초적 뿌리이며 밑거름이다. • 나는 나의 학문관을 아위중, 술이작, 천일정의 세 기둥으로 받쳐 세우고 그 실천에 일로매진했다. — 아위중(我爲重): 우리의 것이 중요하다 — 술이작(述而作): 선인의 것을 서술할 뿐만 아니라, 새것을 창작하다 — 천일정(穿一井): 한 우물을 깊이 파다 • 인류가 염원하는 ‘보편 문명’은 결코 어떤 특정 집단에 의해서만 성취되지 않으며, 그 누구의 전유물로 전락될 수도 없다. • ‘보편 문명’은 오로지 서로의 부정이 아닌 긍정, 상극이 아닌 상생 속에서 문명 간의 부단한 상부상조적 교류를 통해서만 실현 가능하다. • ‘문명의 교류’는 인류가 공생 공영하는 이상사회로 가는 첩경이다.

21세기민족주의포럼(엮은이)

고루한 것으로 취급받고 있는 민족주의를 새로운 담론으로 재생시키기 위해 2008년 6월 창립됐다. 포럼은 민족주의가 신자유주의를 꺾고 대안적 담로능로 부상하며, 나아가 우리 민족의 통일 문제에서 이념적 대안으로 설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매달 1회씩 포럼을 개최하여 21세기에 부응하는 민족론과 민족주의를 새롭게 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부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과 민족주의, 그 재생적 담론.정수일
민족주의 이론과 유럽 중심주의.강철구
마르크스주의와 민족.민족주의.정영철
북한의 민족론과 민족주의.이계환
종족집단에서 민족국가로의 연속성.노용석

2부 우리 민족과 민족주의
현대사를 통해 본 민족주의와 반민족주의.정해랑
진보진영의 탈민족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민경우
뉴라이트의 민족과 비판.김치관
다문화시대, 탈민족 담론에 대한 비판.유명호
한국사회의 변화와 21세기 민족주의.전상봉
미국주도의 일극 질서와 민족 문제.민경우

관련분야 신착자료

Diener, Alexander C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