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ECTION 01 내분비계와 호르몬 = 1
CHAPTER 01 내분비학의 원리 = 3
Ⅰ. 서론 = 3
Ⅱ. 호르몬의 합성 = 3
Ⅲ. 혈액 내 호르몬의 이동 = 5
Ⅳ. 표적세포와 수용체 = 5
Ⅴ. 호르몬의 분비 = 6
Ⅵ. 호르몬의 측정 = 8
Ⅶ. 내분비질환 = 9
Ⅷ. 내분비질환의 치료 = 9
CHAPTER 02 펩티드 호르몬 생성 및 작용기전 = 11
Ⅰ. 서론 = 11
Ⅱ. 폴리펩티드 호르몬 유전자의 구조 = 11
Ⅲ. 폴리펩티드 호르몬 유전자 발현과 조절기전 = 12
Ⅳ. 세포막 수용체 = 18
Ⅴ. 세포막 수용체와 내분비질환 = 28
CHAPTER 03 핵수용체 작용 호르몬 = 32
Ⅰ. 서론 = 32
Ⅱ. 핵수용체 리간드 = 34
Ⅲ. 고아핵수용체(Orphan Nuclear Receptor, ONR) = 35
Ⅳ. 핵수용체 신호전달 = 40
Ⅴ. 핵수용체 호르몬 결합/표적 유전자 인식/수용체 이합체화 = 41
Ⅵ. 핵수용체 리간드의 전사조절 = 43
CHAPTER 04 내분비 환자와 평가 = 46
Ⅰ. 내분비질환의 특징 = 46
Ⅱ. 병력청취 및 신체 검사 = 47
Ⅲ. 검사실 검사 및 영상진단 = 48
SECTION 02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 53
CHAPTER 01 신경내분비 및 시상하부 = 55
Ⅰ. 신경내분비 조절 = 55
Ⅱ. 신경내분비조절의 다양한 측면 = 60
Ⅲ. 신경내분비질환 = 67
CHAPTER 02 뇌하수체 전엽 = 72
Ⅰ. 뇌하수체 호르몬 조절 = 72
Ⅱ. 뇌하수체 종양 = 74
Ⅲ. 호르몬의 검사방법 및 해석 = 83
Ⅳ. 호르몬 결핍 : 뇌하수체기능저하증 = 86
CHAPTER 03 뇌하수체 후엽 = 93
Ⅰ. 서론 = 93
Ⅱ.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 94
Ⅲ. 뇌하수체 후엽질환 = 101
SECTION 03 갑상선 = 107
CHAPTER 01 갑상선의 구조와 기능 = 109
Ⅰ. 갑상선의 발생과 구조 = 109
Ⅱ. 갑상선의 기능 = 112
Ⅲ. 갑상선 기능의 조절기전 = 116
CHAPTER 02 갑상선기능검사 = 118
Ⅰ. 갑상선기능검사 = 118
Ⅱ. 갑상선스캔 및 섭취율 = 122
Ⅲ. 갑상선 영상술 및 미세침흡인세포검사 = 123
Ⅳ. 기타 검사들 = 125
CHAPTER 03 갑상선기능항진증 = 129
Ⅰ. 정의 및 분류 = 129
Ⅱ. 그레이브스병 = 130
Ⅲ. 갑상선중독발증 = 151
Ⅳ. 중독성 선종 및 중독성 다결절성 갑상선종 = 153
Ⅴ. TSH - 분비 뇌하수체종양 = 155
CHAPTER 04 갑상선과 연관된 안병증 = 159
Ⅰ. 안병증의 병인 = 159
Ⅱ. 안병증의 임상상 = 160
Ⅲ. 안병증의 진단 및 평가 = 162
Ⅳ. 안병증의 치료 = 164
Ⅴ. 정상갑상선기능 안병증 = 167
CHAPTER 05 갑상선기능저하증 = 168
Ⅰ.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정의 및 원인 = 168
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임상상 = 170
Ⅲ.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진단 = 174
Ⅳ.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 176
Ⅴ. 점액부종 혼수 = 178
Ⅵ. 중추성 갑상선기능저하증 = 178
CHAPTER 06 갑상선염 = 180
Ⅰ.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의 분류, 정의, 병인 = 180
Ⅱ.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하시모토 갑상선염) = 181
Ⅲ. 위축성 자가 면역성 갑상선염(1차성 점액수종) = 188
Ⅳ. 아급성 림프구성 갑상선염(무통성 갑상선염, 산후 갑상선염) = 188
Ⅴ. 아급성 육아종성 갑상선염 = 190
Ⅵ. 급성 갑상선염 = 192
Ⅶ. 리델 갑상선염 = 194
Ⅷ. 약제-유발 갑상선염 = 194
Ⅸ. 기타 갑상선염 = 194
CHAPTER 07 갑상선 양성종양과 비중독갑상선종 = 196
Ⅰ. 갑상선세포의 증식과 성장 = 196
Ⅱ. 병리 및 병리기전 = 197
Ⅲ. 임상상 = 198
Ⅳ. 진단 및 감별진단 = 199
Ⅴ. 치료 = 201
CHAPTER 08 갑상선암의 소개 = 205
Ⅰ. 갑상선암의 역학 = 205
Ⅱ. 갑상선암의 병리학적 분류 = 206
Ⅲ. 갑상선암의 병인 = 206
Ⅳ. 갑상선암의 진단 = 207
Ⅴ. 갑상선암의 치료 = 210
CHAPTER 09 갑상선 분화암 = 211
Ⅰ. 서론 = 211
Ⅱ. 조직병리 소견 = 212
Ⅲ. 갑상선 분화암의 임상상 = 214
Ⅳ. 갑상선 분화암의 치료 및 경과 관찰 = 215
Ⅴ. 갑상선 분화암의 예후 및 예후인자 = 227
CHAPTER 10 기타 갑상선암 = 235
Ⅰ. 갑상선 저분화암(Poorly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insular, solid, trabecular) = 235
Ⅱ. 갑상선 미분화암(역형성암, Undifferentiated or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 235
Ⅲ. 갑상선 수질암(Medullary thyroid carcinoma) = 236
Ⅳ. 갑상선 림프종(Thyroid lymphoma) = 238
CHAPTER 11 전신질환과 갑상선 = 240
Ⅰ. 비갑상선질환 = 240
Ⅱ. 각 질환에 따른 갑상선기능의 변화 = 242
Ⅲ. 비갑상선질환의 진단 = 245
Ⅳ. 결론 = 245
CHAPTER 12 임신과 갑상선 = 247
Ⅰ. 갑상선질환과 생식생리 = 247
Ⅱ. 임신 중 갑상선의 변화 = 248
Ⅲ. 임신 중 갑상선질환 = 250
Ⅳ. 산후 갑상선질환 = 254
SECTION 04 부신 = 259
CHAPTER 01 정상 부신피질 = 261
Ⅰ. 부신피질의 구조와 기능 = 261
CHAPTER 02 부신피질 기능의 평가 = 287
CHAPTER 03 부신피질질환 = 309
Ⅰ. 쿠싱증후군 = 309
Ⅱ. 알도스테론증 = 319
Ⅲ. 부신기능저하증 = 328
Ⅳ. 부신우연종(Adrenal incidentaloma) = 339
CHAPTER 04 부신수질 및 내분비성 고혈압 = 342
Ⅰ. 교감신경계의 부신수질 = 342
Ⅱ. 갈색세포종 = 350
Ⅲ. 염류코르티코이드의 과다로 인한 내분비성 고혈압 = 367
Ⅳ. 내분비성 고혈압의 기타 원인 = 372
CHAPTER 05 당질코르티코이드제 사용 = 376
Ⅰ. 부신 스테로이드호르몬 구조와 약물동태학 = 376
Ⅱ. 당질코르티코이드의 사용 = 379
Ⅲ. 스테로이드 투여 중단 = 389
SECTION 05 생식 = 393
CHAPTER 01 여성생식생리와 생식질환 = 395
Ⅰ. 여성 생식생리 = 395
Ⅱ. 난소 기능의 평가 = 398
Ⅲ. 여성 생식질환 = 399
Ⅳ. 폐경 = 406
CHAPTER 02 호르몬 피임제 = 411
Ⅰ. 호르몬 피임제의 성분 = 412
Ⅱ. 호르몬 피임제의 종류와 작용 = 412
CHAPTER 03 고환 장애 = 420
Ⅰ. 고환 생리: 성호르몬 생산과 작용 = 420
Ⅱ. 고환질환들 = 425
Ⅲ. 여성형 유방 = 433
Ⅳ. 성호르몬 작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들 = 434
Ⅴ. 남성 불임과 수정능 감소 = 436
Ⅵ. 남성호르몬의 남용 = 441
Ⅶ. 고환 종양 = 442
CHAPTER 04 성기능장애 = 444
Ⅰ. 남성의 성기능장애 = 444
Ⅱ. 여성의 성기능장애 = 452
CHAPTER 05 임신 중 내분비 변화 = 455
Ⅰ. 태반의 분화 = 455
Ⅱ. 임신에 따른 모성 적응(Maternal adaptation to pregnancy) = 455
Ⅲ. 태반호르몬의 생산 = 458
SECTION 06 발달과 성장 = 467
CHAPTER 01 성분화 이상 질환 = 469
Ⅰ. 정상 성 결정과 성분화 = 469
Ⅱ. 성분화 이상질환 = 477
CHAPTER 02 정상 성장 및 성장장애 = 502
Ⅰ. 정상성장 = 502
Ⅱ. 성장장애 = 512
CHAPTER 03 정상 사춘기 및 사춘기 이상질환 = 524
Ⅰ. 정상 사춘기 = 524
Ⅱ. 사춘기 이상질환 = 540
SECTION 07 노화 = 551
CHAPTER 01 노화의 기전과 노인관련 질병의 역학 = 553
Ⅰ. 노화의 생리 = 553
Ⅱ. 노화의 기전 및 유전 = 554
Ⅲ. 노화의 역학 = 557
CHAPTER 02 노인 환자의 일반적 평가 = 559
CHAPTER 03 노인 환자의 관리 = 566
SECTION 08 기타 내분비질환 = 571
CHAPTER 01 카르시노이드종양, 카르시노이드증후군 및 기타 관련 질환 = 573
Ⅰ. 카르시노이드 종양, 카르시노이드증후군 = 573
Ⅱ. 홍조를 유발하는 기타 질환 = 581
CHAPTER 02 다발내분비질환 = 583
Ⅰ. 다발내분비종양 = 583
Ⅱ. 다분비선자가면역증후군 = 594
CHAPTER 03이소성호르몬증후군 = 600
Ⅰ. 부적절 호르몬 분비 = 600
Ⅱ. 각종 암의 이소성호르몬증후군 = 603
CHAPTER 04 내분비의존성 종양 = 619
Ⅰ. 유방암(Breast cancer) = 619
Ⅱ.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 = 627
Ⅲ. 전립선암(Prostate cancer) = 628
SECTION 09 당대사 질환 = 635
CHAPTER 01 제2형 당뇨병 = 637
Ⅰ. 제2형 당뇨병 역학과 진단 = 637
Ⅱ. 제2형 당뇨병의 유전학 = 641
Ⅲ. 제2형 당뇨병과 인슐린저항성 = 645
Ⅳ.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 = 649
Ⅴ. 제2형 당뇨병과 인슐린 분비 = 653
Ⅵ. 제2형 당뇨병의 치료 = 658
Ⅶ. 제2형 당뇨병의 예방 = 673
CHAPTER 02 제1형 당뇨병 = 676
Ⅰ. 제1형 당뇨병의 면역유전학적 특성(Immunology and genetic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 676
Ⅱ. 제1형 당뇨병과 베타세포 = 684
Ⅲ. 제1형 당뇨병의 치료 = 688
Ⅳ. 제1형 당뇨병에서 이식치료(Transplantation of T1DMM) = 692
Ⅴ. 제1형 당뇨병의 합병증 = 697
CHAPTER 03 임신성 당뇨병 = 705
Ⅰ.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과 치료 = 705
CHAPTER 04 당뇨병의 합병증 = 711
Ⅰ. 고혈당 고삼투압 상태(Hyperglycemic hyperosmolar state) = 711
Ⅱ. 당뇨병 미세혈관 합병증의 발생기전 = 713
Ⅲ. 당뇨병 망막병증 = 721
Ⅳ. 당뇨병성 신경병증 = 731
Ⅴ. 당뇨병성 신증 = 736
Ⅵ.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 = 739
Ⅶ. 이상지질혈증 = 747
Ⅷ. 당뇨병과 고혈압 = 753
Ⅸ. 당뇨병성 족부병변(Diabetic foot) = 756
CHAPTER 05 저혈당증 = 760
Ⅰ. 저혈당의 발생빈도 = 760
Ⅱ. 포도당 대사의 생리 = 760
Ⅲ. 저혈당의 증상과 방어기전 = 761
Ⅳ. 당뇨병 환자에서의 저혈당 = 763
Ⅴ. 저혈당 유발 질환(Hypoglycemic disorders) = 765
Ⅵ. 저혈당 환자에 대한 접근 = 770
CHAPTER 06 비만 = 772
Ⅰ. 에너지 대사 = 772
Ⅱ. 지방세포 생물학 = 778
Ⅲ. 비만의 정의와 병태생리 = 791
Ⅳ. 비만증의 역학과 합병증(Epidemiology and complications of obesity) = 796
Ⅴ. 비만의 치료 = 799
SECTION 10 지단백 대사와 이상 = 805
CHAPTER 01 지질대사 = 807
Ⅰ. 서론 = 807
Ⅱ. 분류 = 807
Ⅲ.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의 임상적 분류 = 809
Ⅳ. 지질 대사의 경로 = 809
Ⅴ. LDL 콜레스테롤 = 810
Ⅵ. HDL 콜레스테롤 = 811
Ⅶ. 지단백(a)(Lipoprotein[a]) = 812
CHAPTER 02 지질과 죽상경화증 = 814
Ⅰ. 총론 = 814
Ⅱ. 죽상경화의 기전 = 814
Ⅲ. 죽상경화증의 발생에 관련된 임상적인 위험인자 = 821
Ⅳ. 이상지질혈증의 정의 및 개관 = 822
Ⅴ. 결론 = 826
CHAPTER 03 지질대사이상 질환 = 827
Ⅰ. 지질이상혈증에 의한 일차성 질환 = 827
Ⅱ. HDL 대사의 일차성 질환 = 841
Ⅲ. 일차성 유전적 저지혈증 = 842
Ⅳ. 기타 흔하지 않은 일차 지방질환 = 844
Ⅴ. 이차성 지방대사 질환 = 845
CHAPTER 04 이상지질혈증의 치료 = 852
Ⅰ.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접근 = 852
Ⅱ. 이상지질혈증의 치료 = 855
SECTION 11 골ㆍ무기질 대사 = 861
CHAPTER 01 기초 병태 생리 = 863
Ⅰ. 골격의 구조와 기능 = 863
Ⅱ. 골의 형성과 재형성 = 870
Ⅲ. 골소실의 기전 = 874
CHAPTER 02 부갑상선질환 = 879
Ⅰ. 칼슘 항상성과 칼슘조절 호르몬 = 879
Ⅱ.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고칼슘혈증 = 890
Ⅲ. 저칼슘혈증 = 907
Ⅳ. 부갑상선기능저하증 = 917
CHAPTER 03 골다공증 = 928
Ⅰ. 정의 역학 병태생리 = 928
Ⅱ. 진단 = 934
Ⅲ. 이차성 골다공증 = 942
Ⅳ. 골다공증의 치료 = 948
CHAPTER 04 기타 대사성골질환 = 955
Ⅰ. 비타민D 결핍과 골연화증 = 955
Ⅱ. 신성골이영양증 만성신장질환 - 골ㆍ무기질이상 = 960
Ⅲ. 파제트 병 및 기타 = 967
index = 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