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 간호 기술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 간호 기술 (1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山田律子, 편저 김정희, 역 김규순, 감수
서명 / 저자사항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 간호 기술 / 야마다 리츠코 외 지음 ; 김정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언,   2010  
형태사항
567 p. : 삽화 (일부천연색) ; 23 cm
원표제
生活機能からみた老年看護過程+病態 生活機能關連圖
ISBN
9788955965926
일반주기
공저자: 이데 사토시, 사사키 히데타다, 우치가시마 신야, 오오타키 마미, 오카모토 레이코, 키지마 테루미, 키타가와 키미코, 사이토 시마, 타카오카 테츠코, 하기노 에츠코, 하세 요시코,히구치 하루미, 히라키 나오미, 무라이 유우코, 이시데 노부마사, 이소야마 쇼겐, 시오야 타카노부, 신도 치요히코, 미카미 히로시  
감수자: 김규순  
색인(p. 564-567)수록  
비통제주제어
노인간호 , 간호학 , 노인의학 ,,
000 01318camcc2200337 c 4500
001 000045621949
005 20101228162218
007 ta
008 101124s2010 ulka 001c kor
020 ▼a 9788955965926 ▼g 13510
035 ▼a (KERIS)BIB000012236152
040 ▼d 222001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618.970231 ▼2 22
085 ▼a 618.970231 ▼2 DDCK
090 ▼a 618.970231 ▼b 2010
245 2 0 ▼a (현장에서 바로 통하는) 노인 간호 기술 / ▼d 야마다 리츠코 외 지음 ; ▼e 김정희 옮김
246 1 9 ▼a 生活機能からみた老年看護過程+病態 生活機能關連圖
260 ▼a 서울 : ▼b 한언, ▼c 2010
300 ▼a 567 p. : ▼b 삽화 (일부천연색) ; ▼c 23 cm
500 ▼a 공저자: 이데 사토시, 사사키 히데타다, 우치가시마 신야, 오오타키 마미, 오카모토 레이코, 키지마 테루미, 키타가와 키미코, 사이토 시마, 타카오카 테츠코, 하기노 에츠코, 하세 요시코,히구치 하루미, 히라키 나오미, 무라이 유우코, 이시데 노부마사, 이소야마 쇼겐, 시오야 타카노부, 신도 치요히코, 미카미 히로시
500 ▼a 감수자: 김규순
500 ▼a 색인(p. 564-567)수록
653 ▼a 노인간호 ▼a 간호학 ▼a 노인의학
700 1 ▼a 山田律子, ▼e 편저
700 1 ▼a 김정희, ▼e
700 1 ▼a 김규순, ▼e 감수
900 1 ▼a 야마다 리츠코, ▼e 편저
900 1 ▼a 야마다 리쓰코, ▼e 편저
900 1 0 ▼a Yamada, Ritsuko, ▼e 편저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8.970231 2010 등록번호 13103915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8.970231 2010 등록번호 1410759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8.970231 2010 등록번호 1410759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노인 간호의 대상자 대부분은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안고 생활하는 고령자다. 따라서 ‘문제 해결형 사고’보다는 대상자가 어떤 생활을 바라고 있는가, 즉 ‘목표 지향형 사고’로 간호를 실천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처럼 ‘목표 지향형 사고’를 토대로 실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작성된 교재이다.

고령자의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고 건강한 삶으로 나아가기 위한
노인 간호 실용 백과


1. 문제 해결형 관점이 아닌 목표 지향형 관점으로 살펴본 간호 과정

일반적으로 간호학 실습은 ‘간호 문제’를 선정한 후, 그에 대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진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 해결형 사고’로 노인 간호를 진행하는 것에는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낙상’의 방지를 예로 들 때, ‘간호 문제’만 강조하다 보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행동을 제한해야 한다’는 발상을 초래함으로써, 오히려 고령자의 ‘생기 넘치는 활동’을 방해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노인 간호의 대상자 대부분은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안고 생활하는 고령자다. 따라서 ‘문제 해결형 사고’보다는 대상자가 어떤 생활을 바라고 있는가, 즉 ‘목표 지향형 사고’로 간호를 실천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책은 그처럼 ‘목표 지향형 사고’를 토대로 실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작성되었다.

2. 생활행동 모델을 이용한 간호 과정 전개

이 책의 또 한 가지 특징은 ‘생활행동 모델’을 이용했다는 점이다. 생활행동 모델이란 필자들의 노인 간호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계발한 것으로서, 문자 그대로 ‘고령자의 생활’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생활행동 모델’에서는 다음의 4가지 관점을 중시하여 노년 간호를 전개한다. 첫째, 대상자인 고령자를 ‘신체적, 심리 ? 영적, 사회 ? 문화적’인 전인적(holistic) 존재로 파악한다. 둘째, 큰 눈덩이를 만들어가듯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6가지 생활행동인 ‘활동’, ‘휴식’, ‘식사’, ‘배설’, ‘몸차림’, ‘의사소통’에 비추어 대상자가 낼 수 있는 힘에 주목한다. 셋째, 생활의 확대와 충실을 위해 ‘생활환경’을 정비한다. 넷째, 고령자가 쌓아온 생활사를 기반으로, 풍요로운 인생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따라서 제1편에서는 독자들이 이 모델을 이해하고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생활행동 모델을 토대로 고령자의 생활을 파악하기 위한 관점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제2편에서는 ‘질환별 간호 과정의 전개’, ‘증상 ? 기능장애별 간호 과정의 전개’로 구성하여, 양쪽의 관점으로 간호 과정의 전개를 학습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 책은 모두 노인 간호 실천과 교육에 숙달된 분들이 집필했으며, 집필 과정에서는 ‘기반이 되는 사고방식’에 차이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했음을 밝힌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야마다 리츠코(지은이)

홋카이도 의료대학 간호복지학부 교수.노인 간호학.

김정희(옮긴이)

성균관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바이오메카트로닉스를 전공하였다. 과학기술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며 역서로는 《노인 간호 기술》이 있다.

김규순(감수)

보바스기념병원 간호부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들어가며 = 5
노인 간호 전개의 사고방식 = 7
이 책의 구성과 사용 방법 = 10
제1편 생활행동 정보의 주안점
 1. 활동 = 21
 2. 휴식 = 29
 3. 식사 = 39
 4. 배설 = 51
 5. 몸차림 = 59
 6. 의사소통 = 69
제2편 병태로 살펴보는 간호 과정의 전개
 제1부 질환별 간호 과정의 전개
  【뇌신경계 질환】
   7. 치매 = 82
   8.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지주막하 출혈) = 102
   9. 파킨슨병 = 131
   10. 척수소뇌변성증 = 149
  【운동기계 질환】
   11. 대퇴골 경부ㆍ전자부 골절 = 164
   12. 퇴행성 슬관절염 = 182
  【호흡기계 질환】
   13. 폐렴(흡인성 폐렴) = 197
   14.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 212
  【순환기계 질환】
   15. 심부전(만성 울혈성 심부전) = 230
  【대사질환】
   16. 당뇨병 = 246
  【신ㆍ비뇨기계 질환】
   17. 전립선비대증 = 266
   18. 신경인성 방광 = 280
  【피부질환】
   19. 노인성 피부소양증(노인성 건조증) = 294
   20. 욕창 = 306
   21. 백선 = 322
  【안과 질환】
   22. 백내장 = 332
  【정신질환】
   23. 우울 상태(우울증) = 346
  【감염증】
   24.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 362
   25. 옴 = 374
   26. 요로감염증 = 386
 제2부 증상ㆍ기능장애별 간호 과정의 전개
  27. 섭식ㆍ연하장애 = 402
  28. 탈수 = 421
  29. 부종 = 433
  30. 배뇨장애(요실금, 배뇨곤란, 빈뇨) = 445
  31. 배변장애(변비, 설사) = 456
  32. 수면 장애 = 469
  33. 낙상ㆍ골절 = 483
  34. 언어장애(실어, 구음장애) = 495
  35. 감각ㆍ지각장애 = 511
  36. 섬망 = 522
  37. 혈압조절 장애(저혈압/고혈압) = 535
  38. 폐용증후군 = 550
색인 = 56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