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96c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621819 | |
005 | 20140610154406 | |
007 | ta | |
008 | 101215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79146561 ▼g 93560 | |
020 | ▼a 9788998756864 ▼g 93560 | |
035 | ▼a (KERIS)BIB000011647093 | |
040 | ▼a 211044 ▼c 211044 ▼d 211044 ▼d 211009 | |
082 | 0 4 | ▼a 004.6 ▼2 23 |
085 | ▼a 004.6 ▼2 DDCK | |
090 | ▼a 004.6 ▼b 2009z7 | |
100 | 1 | ▼a 강문식 ▼0 AUTH(211009)62275 |
245 | 1 0 | ▼a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킹 : ▼b 기초 이론과 최신 응용 / ▼d 강문식 저 |
260 | ▼a 서울 : ▼b 한빛미디어 : ▼b 한빛아카데미, ▼c 2009 ▼g (2014) | |
300 | ▼a 508 p. : ▼b 삽화 ; ▼c 24 cm | |
440 | 1 0 | ▼a (IT cookbook) 한빛교재시리즈 ; ▼v 303 |
500 | ▼a 방대함과 자세함보다 필요성과 이해도에 집중한 원리 중심 입문서 | |
500 | ▼a 감수: 최양희 | |
504 | ▼a 참고문헌(p. 492-494)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09z7 | Accession No. 1117188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09z7 | Accession No. 1212009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004.6 2009z7 | Accession No. 1512934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4.6 2009z7 | Accession No. 1117188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 2009z7 | Accession No. 1212009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004.6 2009z7 | Accession No. 15129345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꼭 필요한 만큼만 쉽고 즐겁게 배울 수 있는 현장지향형 입문서
이 책은 4년제 대학 및 2/3년제 대학의 컴퓨터 정보통신 전자관련 학과 학생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꼭 필요한 내용만 엄선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대학교재이다. 교수님의 눈높이를 확 낮추고 철저하게 학생의 입장에서 "왜 배워야 하는가"에 집중하여 오랜 기간의 연구끝에 완성되었다. 다른 교재의 방대함과 난해함에 지쳐있을 학생들에게 필요한 만큼만 쉽고 즐겁게 배울 수 있는 교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장 :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크 개요
2장~3장 : 신호 전송의 원리와 데이터전송 기법
4장 :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계층모델
5장~6장 : 데이터링크와 오류제어 기법 및 라우팅 기법
7장~9장 : TCP, IP, UDP 등 인터넷 프로토콜과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Ipv6)
10장 : 이더넷과 LAN 프로토콜
11장 : 멀티미디어와 ATM 기술
12장 : 큐잉이론 기반의 네트워크 성능분석 기법
13장~14장 : 무선 네트워크 기술(무선 LAN, 무선 PAN, 와이브로)
15장 : 네트워크 응용기술과 웹
16장 : 애드혹과 센서 네트워크
17장 : 차세대 인터넷과 그 응용기법
현장의 목소리 - 수록
* 현업에서 꿈을 잃지 않고 일하기
* 대들보를 세우는 개발자,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 실력있는 네트워크엔지니어가 되는 길
* DR센터 구축에서 Routing 메커니즘 활용
* 프로젝트 성공을 연주하는 지휘자, 프로젝트 관리자
* IT정년을 극복하는 핵심역량의 확보
* 비즈니스를 따라잡는 네트워크 엔지니어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문식(지은이)
강릉원주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연세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전기 및 전자공학과에서 Post-Doc Fellow 과정을 거쳤습니다. 퍼듀대학교의 전기 및 컴퓨터학과에서 객원연구교수로 공동연구를 수행했으며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의 전기 및 컴퓨터공학과에서 Research Associate으로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주 관심 분야는 차세대 융합네트워크의 구조 및 최적화, 무선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QoS 트래픽제어 및 보안 기법, 빅데이터 트래픽 모델링,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및 응용 등입니다. 2009년 IBC(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er)로부터 최상위 100대 공학자에 선정되었으며 2019년부터 대한전자공학회(IEIE)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저널과 학술회의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초고속정보통신과 프로토콜』(21세기사), 『컴퓨터 네트워크와 정보통신』(대영사), 『전자회로』(한빛아카데미), 『New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한빛아카데미) 등이 있습니다.
최양희(감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와 KAIST, 프랑스 ENST(Ecole Nationale Superieure des Telecommunications)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하였다. ETRI에서 약 15년간 근무하였으며, 그곳에서 데이터통신 부문과 프로토콜 엔지니어링 센터의 디렉터를 역임하였다. 1991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래인터넷포럼(Future Internet Forum, http://fif.kr) 의장이며, 주 관심 분야는 멀티미디어시스템과 고속 네트워킹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소개 = 4 저자 머리말 = 5 학습 연계도 = 8 학습 로드맵 = 9 강의 계획 = 10 강의 보조 자료 및 참고 자료 = 11 Chapter 01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크 01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크의 개념 = 22 02 컴퓨터 네트워크의 유형 = 26 03 네트워크 표준화 = 30 04 인터넷의 표준화 활동 = 34 05 유무선 네트워크의 발전 및 진화 = 36 1. 네트워크 및 인터넷의 발전 = 36 2. 차세대 인터넷과 IPv6 프로토콜 = 39 핵심요약 = 41 연습문제 = 42 현장의 목소리 #01 현업에서 꿈을 잃지 않으면서 일하기 = 43 Chapter 02 신호전송과 전송미디어 01 신호의 개념과 표현 = 46 1. 신호의 개념 = 46 2. 신호의 분류와 신호 표현 = 48 02 신호 전송과 정보이론 = 53 1. 정보이론과 채널용량의 법칙 = 53 2. 데이터 전송 시 고려사항 = 56 03 신호 전송과 전송모드 = 58 1. 부호화 방식 = 59 2. 동기식 전송방식 = 61 3. 비동기식 전송방식 = 62 04 전송미디어와 전송특성 = 66 1. 동선 = 66 2. 동축케이블 = 67 3. 광섬유 = 67 4. 마이크로파 = 70 5. 위성통신 링크 = 70 6. 주요 전송미디어의 비교 = 71 핵심요약 = 72 연습문제 = 74 Chapter 03 다중화 기법과 교환기술 01 다중화 기법 = 76 1. 다중화의 개념 = 76 2. 다중화 기법의 종류 = 77 02 교환기술 = 81 1. 회선교환방식 = 83 2. 메시지교환방식 = 85 3. 패킷교환방식 = 86 4. 교환방식의 비교 = 88 핵심요약 = 89 연습문제 = 91 Chapter 04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계층 모델 01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 94 1. 네트워크 프로토콜 = 94 02 OSI 7계층 참조모델 = 97 1. OSI 모델이란 무엇인가 = 97 2. OSI 계층구조 = 99 03 OSI 모델의 계층 기능 = 103 1. 물리 계층 = 103 2. 데이터링크 계층 = 104 3. 네트워크 계층 = 105 4. 전송 계층 = 106 5. 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 = 107 6. 응용 계층 = 108 핵심요약 = 110 연습문제 = 111 현장의 목소리 #02 대들보를 세우는 개발자,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 112 Chapter 05 데이터링크와 오류제어 기법 01 데이터링크와 회선제어 = 118 1. 회선제어 기능 = 119 02 흐름제어 기법 = 123 1. 정지-대기 흐름제어 기법 = 123 2. 슬라이딩 윈도우 흐름제어 기법 = 124 03 오류제어 기법 = 127 1. 정지-대기 ARQ = 127 2. GBn ARQ = 130 3. SR ARQ = 132 04 HDLC 프로토콜 = 133 1. HDLC 프로토콜이란 무엇인가 = 133 2. HDLC 프레임 형식 = 134 3. HDLC 프레임의 종류와 동작 = 136 핵심요약 = 140 연습문제 = 141 Chapter 06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기법 01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프로토콜 = 144 1. 네트워크 계층과 라우팅 = 144 2. 라우팅 기법의 분류 = 146 3. 영역에 따른 라우팅 프로토콜의 분류 = 147 02 거리 벡터와 링크상태 라우팅 알고리즘 = 149 1. 거리 벡터 알고리즘 = 149 2. 링크상태 알고리즘 = 150 03 라우팅 프로토콜의 구현 사례 = 152 1. 역내 라우팅 프로토콜의 예 = 152 2. 역외 라우팅 프로토콜의 구현 예 = 154 04 OSPF 라우팅 프로토콜 = 156 1. OSPF의 라우팅 계위 = 156 2. OSPF의 동작과 특성 = 157 05 RIP 라우팅 프로토콜 = 159 1. RIP 동작 = 159 2. RIP의 여러 기능들 = 160 3. RIP의 장점과 단점 = 162 4. RIPv2 = 163 5. RIP에 라우터 설정 예 = 164 핵심요약 = 166 연습문제 = 167 현장의 목소리 #03 실력 있는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되는 길 = 169 Chapter 07 인터넷과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IPv6) 01 인터넷의 개요 및 현황 = 172 1. 인터넷의 현황 = 172 2. 인터넷의 발전 = 174 3. 국내 현황 = 176 02 인터넷 정보서비스 = 178 1. 웹 서비스 = 178 2. 웹의 기능적 특징 = 179 3. 웹 서비스의 종류 = 181 4. 검색엔진 = 183 03 차세대 인터넷과 IPv6 = 185 1. IPv6 데이터그램의 형식 = 185 2. 확장 헤더 = 187 3. IPv6에서의 IP주소 표기법 = 189 4. IPv6의 주소 체계 = 189 5. IPv6 특성과 응용 = 191 6. 차세대 인터넷에 대한 전망 = 193 핵심요약 = 195 연습문제 = 197 Chapter 08 인터넷 프로토콜과 DNS 01 인터넷 프로토콜과 IP 데이터그램 = 200 1. 인터넷 프로토콜(IP)이란 무엇인가 = 200 2. IP 데이터그램의 구조와 기능 = 201 02 IP 주소체계 = 205 1. IP 주소의 표현 = 205 2. IP 주소의 클래스 = 206 03 서브넷 기법 = 209 1. 서브넷 = 209 04 DNS 구조 = 215 1. DNS의 개념 = 215 2. DNS 서버 = 217 핵심요약 = 219 연습문제 = 221 현장의 목소리 #04 패킷분석을 통한 정보시스템 인터페이스 통합 = 222 Chapter 09 TCP와 UDP 01 TCP의 특성과 스트림 전송 = 228 1. TCP와 스트림 전송 = 228 2. TCP의 특성 = 231 02 TCP 세그먼트 형식과 기능 = 232 1. TCP 세그먼트 형식 = 232 2. 전송제어 프로토콜(TCP)의 동작 = 234 03 흐름제어 기법 = 238 1. 슬라이딩 윈도우 메커니즘 = 238 04 오류제어 기법 = 240 05 혼잡제어 기법 = 244 06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 248 핵심요약 = 251 연습문제 = 253 Chapter 10 이더넷과 LAN 프로토콜 01 LAN 프로토콜과 그 특성 = 256 1. LAN 프로토콜 구조 = 256 2. LAN 토폴로지 = 258 3. LAN의 특성 = 260 02 IEEE 802.3 LAN 프로토콜 = 262 1. CSMA 방식 = 262 2. CSMA/CD 방식 = 263 3. IEEE 802.3 프레임 구조 = 265 03 고속이더넷 기술 = 267 1. 프레임의 구성요소 = 268 2. 프레임 세부사항 = 269 핵심요약 = 275 연습문제 = 276 현장의 목소리 #05 DR 센터 구축에서 Routing 메커니즘 활용 = 278 Chapter 11 멀티미디어와 ATM 01 멀티미디어 정보와 ATM = 282 1. 멀티미디어 정보 = 282 2. ATM 기술 = 283 3. ATM 프로토콜 구조 = 286 02 ATM 교환기술 = 291 1. ATM 교환방식 = 291 2. ATM 서비스 범주 = 292 3. ATM 트래픽 혼잡제어 = 294 03 ATM 트래픽제어 기법 = 297 1. 가상경로를 이용한 자원관리 = 297 2. 연결허가제어와 사용자 파라미터제어 = 298 04 ABR 트래픽관리 기법 = 300 1. 피드백 메커니즘 = 300 2. 셀의 흐름 = 301 3. ABR 용량할당 기법 = 302 핵심요약 = 304 연습문제 = 306 Chapter 12 네트워크 성능분석 기법 01 큐잉분석 기법과 큐잉시스템 = 310 02 네트워크 성능분석 = 313 03 큐잉모델 = 316 1. 단일서버 큐잉모델 = 316 2. 멀티서버 큐 모델과 다중 단일서버 모델 = 318 3. 네트워크에서의 큐 형태와 큐잉분석 = 320 4. 큐잉모델과 샘플평균 = 321 04 자체유사성에 의한 성능분석 = 324 핵심요약 = 329 연습문제 = 330 현장의 목소리 #06 프로젝트의 성공을 연주하는 지휘자, 프로젝트 관리자 = 331 Chapter 13 무선 LAN과 IEEE 802.11 프로토콜 01 무선 LAN과 무선 미디어 = 336 1. 무선 LAN = 336 2. 무선 미디어 = 341 02 무선 LAN의 전송기술 = 345 1. IEEE 802.11 물리 계층 = 345 2. IEEE 802.11 MAC 계층 = 347 3. IEEE 802.11 프레임 구성 = 352 03 IEEE 802.11 WLAN 표준화 = 354 1. 무선 LAN 표준화 절차 = 354 2. IEEE 802.11 무선 LAN 기술표준 = 355 핵심요약 = 362 연습문제 = 363 Chapter 14 WPAN과 와이브로(WiBro)기술 01 WPAN과 홈네트워킹 기술 = 366 1. WPAN 기술 = 366 2. WPAN과 무선 LAN과의 비교 = 368 3. 지그비 기술 = 369 02 블루투스 기술 = 370 1. 블루투스의 개념 = 370 2.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계층구조 = 372 3. 블루투스와 UWB기술 = 374 03 와이브로 기술 = 376 1. 와이브로의 개념 = 376 2. 와이브로 서비스의 특징 = 379 3. 와이브로와 HSDPA = 380 핵심요약 = 382 연습문제 = 383 현장의 목소리 #07 비즈니스를 따라잡는 네트워크 엔지니어 = 385 Chapter 15 네트워크 응용과 웹(WWW) 01 응용 계층과 이메일 시스템 = 388 1. 이메일 시스템 = 388 2. 이메일 시스템의 구성 = 390 3. 우편함과 가명확장 = 392 02 DHCP 기술 = 385 1. DHCP 구조 및 동작 = 395 2. IP 대여 재경신 = 399 03 동적 웹문서를 위한 CGI 기술 = 401 04 웹과 웹 프로그래밍 기법 = 405 1. 웹과 웹 브라우저의 기능 = 405 2. 하이퍼텍스트 전달 프로토콜 = 407 3. HTML을 이용한 웹페이지 작성과 동작 = 409 05 자바와 웹 응용기법 = 415 1. 애플리케이션과 자바 애플릿 = 415 2. 자바프로그램의 특징 = 416 3. 클래스 = 417 4. 메소드 = 420 5. 자바를 이용한 웹 페이지의 작성 = 422 핵심요약 = 426 연습문제 = 428 Chapter 16 애드혹(ad-hoc)과 센서 네트워크 01 애드혹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432 1.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의 특성 = 432 02 주요 요소기술 = 435 1. 라우팅 기술 = 435 2. 무선 및 미디어 기술 = 436 03 MANET과 기존 네트워크와의 연동 = 438 1. 응용 분야 = 438 2. 기존 네트워크와의 연동 = 439 04 주요 연구활동 = 441 1. GloMo 프로젝트 = 441 2. IETF MANET 표준 활동 = 442 3. 그 밖의 연구 활동 = 453 05 USN의 구조 및 응용 = 445 1. USN의 개념 = 445 2. USN 기술의 특성 = 448 3. USN 구축사례 = 450 핵심요약 = 458 연습문제 = 460 현장의 목소리 #08 IT정년을 극복하는 핵심역량의 확보 = 461 Chapter 17 차세대 네트워크와 그 응용 01 차세대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466 1. 차세대 네트워크의 개념 = 466 2. 4G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 = 468 02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 470 03 4G 네트워크 핵심기술 = 473 1. MIMO 기술 = 473 2. OFDM 기술 = 474 3. SDR 기술 = 475 4. 초광대역(UWB) 기술 = 476 04 4G 표준화 활동 = 478 1. ITU 표준화 활동 = 478 2. IEEE 표준화 활동 = 478 3. 3GPP 표준화 활동 = 479 4. 3GPP2 표준화 동향 = 479 5. 각국의 연구단체 추진 동향 = 480 6. 국내 기술개발 동향 = 481 05 광대역 통합 네트워크 = 482 1. BcN의 개념 및 특성 = 482 2. BcN 서비스 = 484 3. BcN 네트워크 구조 = 486 핵심요약 = 488 연습문제 = 490 참고문헌 = 492 찾아보기 =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