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4
1장 작곡가 박영희와 그녀의 작품세계
1. 들어가며 = 18
2. 박영희의 음악을 이해하는 키워드, 타악기 = 22
1) 한국전통음악의 영향 = 24
2) 타악기를 사용하는 심리적인 이유 = 25
3) 타악기의 거센 소리, 민중의 소리 = 26
3. 박영희의 삶을 통해 본 음악창작의 정신적 배경 = 27
1) 한국전통음악적 뿌리와 그녀의 삶 = 27
2) 모성(母性), 종교, 한(恨) = 32
(1) 모성을 이해하기 위한 문화적 배경
(2) 종교적인 배경
(3) '한'에 대한 철학적 접근과 이행
3) 낯섦, 이질감의 의미 변화 = 38
(1) 내 고유의 것과 남의 것, 그 두 극
(2) 낯설게 느껴지는 그녀의 이름, 영희 박-파안
(3) Fremdheit의 변천
4) 작품 분류 = 48
(1) 제1시기: 독일 이주 전의 한국에서 쓰인 작품
(2) 제2시기: 독일 이주 후의 작품부터 1980년의 작품〈소리〉까지
(3) 제3시기: 1980년부터 1999년까지
(4) 제4시기: 2000년 이래 몰두하는 그리스 신화 소재의 작품
(5) 2006년 말까지의 모든 작품목록
2장 박영희 작품의 음악언어 연구
1. 화성, 음색, 형식, 리듬의 음악어법 = 56
1) 화성 = 56
(1) 어미화음
(2) 작품으로 보는 어미화음의 예
(3) 화성규칙의 의도된 불규칙
2) 음색, 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의한 구분 = 81
3) 형식, 시간상의 구성 = 82
4) 리듬: 아티큘레이션 = 87
(1) 리듬
(2) 리듬조직(리듬사슬)
(3) 리듬에 나타난 또 다른 불규칙의 예
(4) 선율과 개개 음들의 선적 구성
2.〈타령IV〉,〈지신굿〉,〈이오〉의 작품분석에 앞서 = 94
1) 세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 = 95
3. 독주 타악기를 위한〈타령IV〉 = 99
1) 도입 = 99
2) 포스트모더니즘 = 100
3) 형식과 구조 = 101
(1) 형식
(2) 확장된 형식
(3) 악기편성
4) 원초적 음향과 헤미올라 리듬 = 105
5) 한국음악과의 연관 = 105
6) 박과 휴지의 비율 = 107
4. 네 명의 타악기 주자와 전자음향을 위한〈지신굿〉 = 111
1) 주요 요소: 기법적 분석 = 112
(1) 작품의 특징
(2) 형식 구분
2) 전자음향의 사용 = 123
(1) 판소리
(2) 농악
(3) 베이스플루트
(4) 타악기 소리를 미리 녹음하여 다시 재생함
(5) 사용된 전자기기
3) 타악기 = 134
(1) 사용된 악기
(2) 8음 분류에 의한 악기편성
(3) 다양한 연주법
(4) 동양철학에서의 숫자 '4'의 의미
4) 리듬 = 141
(1) 한국적 리듬의 사용과 그 변주
(2) 확장된 형식 개념의 사용
5) 자신굿의 의미와 가치 평가 = 142
5. 9명의 주자를 위한〈이오〉 = 144
1) 작품의 특성 = 145
2) 악기 편성 = 146
(1) 각 악기들의 기능
(2) 타악기 편성
3) 형식 구분과 설명 = 149
(1) 타악기의 음색 재료
(2) 다이내믹의 대조
(3) 타악기 소리의 수직적 기능
(4) 타악기의 주제적 사용
(5) 끝부분
4)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타악기의 사용 = 163
5) 타악기의 성격 = 165
(1) 음색
(2) 리듬으로 만들어진 구조
(3) 형식을 이끌어가는 기능
(4) 형식 구성
6) 선율/화성/대위/템포 = 166
(1) 선율 구조
(2) 음정관계의 구성
(3) 화성
(4) 대위법
(5) 어미화음의 적용
(6) 개리위치의 화음
7) 악기의 선택 기준 = 176
(1) 원시적인 소리
8) 작품의 이해와 해석 = 178
(1) 작품의 심리적 인지
(2) 작품이 연상하게 하는 것
(3) 끝은 바로 시작
6.〈타령IV〉,〈지신굿〉,〈이오〉의 작품분석 정리 = 180
3장 박영희의 작품세계 깊이 이해하기
1. 박영희의 음악에 나타나는 시간 개념 = 183
1) 템포 = 184
2) 리듬 = 185
3) 박자와 마디의 변화에 따른 전환 = 185
4) 계속 이어지는 형식 개념 = 186
5) 빈 공간을 나는 시간 개념 = 188
6) 시간의 순환 개념과 진행 개념 = 190
7) 상호문화적인 의미에서의 시간 개념 = 191
2. 윤이상의 음악과의 비교 = 192
1) 음악을 접하게 된 동기 비교 = 193
2) 한국적 영향 = 194
3) 정치 참여적 태도 = 195
4) 윤이상의 음악어법, 중요음기법 = 196
(1) 정중동
(2) 붓의 터치
(3) 중요음기법
(4) 윤이상의 말년의 작품들
5) 박영희의 음악어법과 어미화음 = 198
(1) Fremdheit
(2) 어미화음
(3) 종이 위를 나는 붓의 터치
6) 도교적 영향 = 201
요약 = 205
부록 = 212
1. 박영희와의 인터뷰(2006년 2월 14일 브레멘)
2. 니콜라스 샬츠 교수와의 인터뷰(2005년 11월 5일 브레멘)
작품해설 = 248
이오
지신굿
타령IV
작품목록 = 253
참고문헌 =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