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내 마음의 소리 : 작곡가 박영희의 작품세계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은수
서명 / 저자사항
내 마음의 소리 : 작곡가 박영희의 작품세계 / 강은수
발행사항
서울 :   예솔,   2009   (2010)  
형태사항
269 p. : 삽화, 초상화 ; 23 m
ISBN
9788959162566
일반주기
부록: 박영희와 인터뷰(2006년 2월 14일 브레멘), 니콜라스 샬츠 교수와의 인터뷰(2005년 11월 5일 브레멘)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64-269
주제명(개인명)
박영희,   1945-  
000 00785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20806
005 20101207152459
007 ta
008 101207s2009 ulkac b 000c dkor
020 ▼a 9788959162566 ▼g 93670
035 ▼a (KERIS)BIB000011648821
040 ▼a 211014 ▼d 211009
082 0 4 ▼a 780.92 ▼2 22
085 ▼a 780.92 ▼2 DDCK
090 ▼a 780.92 ▼b 2009z4
100 1 ▼a 강은수
245 1 0 ▼a 내 마음의 소리 : ▼b 작곡가 박영희의 작품세계 / ▼d 강은수
260 ▼a 서울 : ▼b 예솔, ▼c 2009 ▼g (2010)
300 ▼a 269 p. : ▼b 삽화, 초상화 ; ▼c 23 m
500 ▼a 부록: 박영희와 인터뷰(2006년 2월 14일 브레멘), 니콜라스 샬츠 교수와의 인터뷰(2005년 11월 5일 브레멘)
504 ▼a 참고문헌: p. 264-269
600 1 4 ▼a 박영희, ▼d 1945-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2 2009z4 등록번호 1116027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2 2009z4 등록번호 1116027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0.92 2009z4 등록번호 121200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2 2009z4 등록번호 1116027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2 2009z4 등록번호 1116027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0.92 2009z4 등록번호 1212003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출신으로 독일에서 살면서 유럽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박영희는 현대 작곡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주목을 받는 작곡가이다. 독일 최초의 음악대학 여성 교수, 현존 작곡가들의 '꿈의 무대'라 할 수 있는 현대 음악제(도나우에싱겐)가 초청한 여성 작곡가 등의 명성을 얻고 있는 그녀는 유럽에서는 '영희 박-파안'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제2의 윤이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책은 한국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그녀의 작품을 여러 관점에서 살피고 있다. 박영희는 한국음악적 토양에 뿌리를 두고 자기만의 방법으로 서양현대음악 무대에 서는데 성공하였다. 박영희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문화적인 배경과 그녀의 정신적 근원이 되는 배경들을 살펴보고 작곡법의 기초가 무엇인지 다루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강은수(지은이)

서울음대 작곡과를 졸업했으며, 독일 뒤셀도로프 국립음대 디플롬, 독일 브레멘대학 음악학박사(Dr. Phill) 학위를 받았다. 2008 서울스프링페스티발 위촉 작곡가로도 활동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4
1장 작곡가 박영희와 그녀의 작품세계
 1. 들어가며 = 18
 2. 박영희의 음악을 이해하는 키워드, 타악기 = 22
  1) 한국전통음악의 영향 = 24
  2) 타악기를 사용하는 심리적인 이유 = 25
  3) 타악기의 거센 소리, 민중의 소리 = 26
 3. 박영희의 삶을 통해 본 음악창작의 정신적 배경 = 27
  1) 한국전통음악적 뿌리와 그녀의 삶 = 27
  2) 모성(母性), 종교, 한(恨) = 32
   (1) 모성을 이해하기 위한 문화적 배경
   (2) 종교적인 배경
   (3) '한'에 대한 철학적 접근과 이행
  3) 낯섦, 이질감의 의미 변화 = 38
   (1) 내 고유의 것과 남의 것, 그 두 극
   (2) 낯설게 느껴지는 그녀의 이름, 영희 박-파안
   (3) Fremdheit의 변천
  4) 작품 분류 = 48
   (1) 제1시기: 독일 이주 전의 한국에서 쓰인 작품
   (2) 제2시기: 독일 이주 후의 작품부터 1980년의 작품〈소리〉까지
   (3) 제3시기: 1980년부터 1999년까지
   (4) 제4시기: 2000년 이래 몰두하는 그리스 신화 소재의 작품
   (5) 2006년 말까지의 모든 작품목록
2장 박영희 작품의 음악언어 연구
 1. 화성, 음색, 형식, 리듬의 음악어법 = 56
  1) 화성 = 56
   (1) 어미화음
   (2) 작품으로 보는 어미화음의 예
   (3) 화성규칙의 의도된 불규칙
  2) 음색, 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의한 구분 = 81
  3) 형식, 시간상의 구성 = 82
  4) 리듬: 아티큘레이션 = 87
   (1) 리듬
   (2) 리듬조직(리듬사슬)
   (3) 리듬에 나타난 또 다른 불규칙의 예
   (4) 선율과 개개 음들의 선적 구성
 2.〈타령IV〉,〈지신굿〉,〈이오〉의 작품분석에 앞서 = 94
  1) 세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유 = 95
 3. 독주 타악기를 위한〈타령IV〉 = 99
  1) 도입 = 99
  2) 포스트모더니즘 = 100
  3) 형식과 구조 = 101
   (1) 형식 
   (2) 확장된 형식
   (3) 악기편성
  4) 원초적 음향과 헤미올라 리듬 = 105
  5) 한국음악과의 연관 = 105
  6) 박과 휴지의 비율 = 107
 4. 네 명의 타악기 주자와 전자음향을 위한〈지신굿〉 = 111
  1) 주요 요소: 기법적 분석 = 112
   (1) 작품의 특징
   (2) 형식 구분
  2) 전자음향의 사용 = 123
   (1) 판소리
   (2) 농악
   (3) 베이스플루트
   (4) 타악기 소리를 미리 녹음하여 다시 재생함
   (5) 사용된 전자기기
  3) 타악기 = 134
   (1) 사용된 악기
   (2) 8음 분류에 의한 악기편성
   (3) 다양한 연주법
   (4) 동양철학에서의 숫자 '4'의 의미
  4) 리듬 = 141
   (1) 한국적 리듬의 사용과 그 변주
   (2) 확장된 형식 개념의 사용
  5) 자신굿의 의미와 가치 평가 = 142
 5. 9명의 주자를 위한〈이오〉 = 144
  1) 작품의 특성 = 145
  2) 악기 편성 = 146
   (1) 각 악기들의 기능
   (2) 타악기 편성
  3) 형식 구분과 설명 = 149
   (1) 타악기의 음색 재료
   (2) 다이내믹의 대조
   (3) 타악기 소리의 수직적 기능
   (4) 타악기의 주제적 사용
   (5) 끝부분
  4)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타악기의 사용 = 163
  5) 타악기의 성격 = 165
   (1) 음색
   (2) 리듬으로 만들어진 구조
   (3) 형식을 이끌어가는 기능
   (4) 형식 구성
  6) 선율/화성/대위/템포 = 166
   (1) 선율 구조
   (2) 음정관계의 구성
   (3) 화성
   (4) 대위법
   (5) 어미화음의 적용
   (6) 개리위치의 화음
  7)  악기의 선택 기준 = 176
   (1) 원시적인 소리
  8) 작품의 이해와 해석 = 178
   (1) 작품의 심리적 인지
   (2) 작품이 연상하게 하는 것
   (3) 끝은 바로 시작
6.〈타령IV〉,〈지신굿〉,〈이오〉의 작품분석 정리 = 180
3장 박영희의 작품세계 깊이 이해하기
 1. 박영희의 음악에 나타나는 시간 개념 = 183
  1) 템포 = 184
  2) 리듬 = 185
  3) 박자와 마디의 변화에 따른 전환 = 185
  4) 계속 이어지는 형식 개념 = 186
  5) 빈 공간을 나는 시간 개념 = 188
  6) 시간의 순환 개념과 진행 개념 = 190
  7) 상호문화적인 의미에서의 시간 개념 = 191
 2. 윤이상의 음악과의 비교 = 192
  1) 음악을 접하게 된 동기 비교 = 193
  2) 한국적 영향 = 194
  3) 정치 참여적 태도 = 195
  4) 윤이상의 음악어법, 중요음기법 = 196
   (1) 정중동
   (2) 붓의 터치
   (3) 중요음기법
   (4) 윤이상의 말년의 작품들
  5) 박영희의 음악어법과 어미화음 = 198
   (1) Fremdheit
   (2) 어미화음
   (3) 종이 위를 나는 붓의 터치
  6) 도교적 영향 = 201
요약 = 205
부록 = 212
 1. 박영희와의 인터뷰(2006년 2월 14일 브레멘)
 2. 니콜라스 샬츠 교수와의 인터뷰(2005년 11월 5일 브레멘)
작품해설 = 248
 이오
 지신굿
 타령IV
작품목록 = 253
참고문헌 = 26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