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23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620788 | |
005 | 20110309131217 | |
007 | ta | |
008 | 101207s2010 ulkad 001c kor | |
020 | ▼a 9788958328698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2184127 | |
040 | ▼a 225007 ▼c 225007 ▼d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9 ▼2 22 |
085 | ▼a 339 ▼2 DDCK | |
090 | ▼a 339 ▼b 2010z7 | |
100 | 1 | ▼a Blanchard, Olivier ▼q (Olivier J.) ▼0 AUTH(211009)25259 |
245 | 1 0 | ▼a 거시경제학 / ▼d Olivier Blanchard ; ▼e 최희갑 옮김 |
246 | 1 9 | ▼a Macroeconomics ▼g (5th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0 | |
300 | ▼a xxix, 783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국민소득 및 생산계정에 대한 소개, 수학 기초, 계량경제학의 소개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Macroeconomics |
700 | 1 | ▼a 최희갑, ▼e 역 ▼0 AUTH(211009)134802 |
900 | 1 0 | ▼a 블랜차드, 올리버,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116150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116150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212003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512940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116150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116150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212003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9 2010z7 | 등록번호 1512940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올리비에 블랜차드의 <거시경제학> 제5판. 저자 올리비에 블랜차드는 다른 경제학 책들이 간단히 스쳐 지나가는 많은 개념들을 철저히 검토한다. '핵심 모형'과 '확대 모형'을 중심으로 구성된 제4판은 대부분의 중요한 개념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강의 내용에 맞추어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올리비에 블랜차드는 이 책을 통해 한 가지 통합적 모형을 발전시키면서 독자들이 거시경제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
■ 올리비에 블랜차드는 다른 경제학 책들이 간단히 스쳐 지나가는 많은 개념들을 철저히 검토한다. 독자들은 학문활동이나 직장생활에서 이러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핵심 모형”과 “확대 모형”을 중심으로 구성된 제4판은 대부분의 중요한 개념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강의 내용에 맞추어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올리비에 블랜차드(지은이)
프랑스인으로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직업 생활의 대부분을 보냈다. 1977년 MIT에서 경제학을 전공한 그는 1982년 하버드대학교에서 MIT로 돌아왔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경제학과장을 역임했다. 2008년에는 IMF의 연구부서를 이끌었고, 2015년 10월부터 워싱턴 소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에서 Fred Bergsten Senior Fellow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또한 MIT의 Robert M. Solow 명예교수로 남아 있다. 그는 통화정책의 역할에서부터 투기거품의 속성, 노동시장의 성격과 실업의 결정요인, 과거 공산국가의 이행, 글로벌 위기의 배경까지 다양한 거시경제 문제를 연구해 왔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여러 국가 및 국제기구와 협력했다. 그는 피셔(Stanley Fischer)와 함께 저술한 대학원 교과서를 포함해 많은 책과 논문을 저술했다. 그는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와 NBER Macroeconomics Annual의 편집장, AEJ Macroeconomics의 설립 편집장이었다. 또한 Econometric Society의 회원이자 위원이며,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의 부회장직을 역임했고, American Academy of Sciences의 회원이다.
최희갑(옮긴이)
서강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삼성금융연구소를 거쳐 2005년까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연구활동에 전념했으며, 현재는 아주대학교 사회과학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논문으로 ‘금융발전과 경제성장’, ‘외환위기와 소득분배의 양극화’, ‘불확실성과 기업의 투자활동’, ‘인플레이션과 상대가격 변동성’, ‘소비, 경기변동과 소비자태도’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국경제론: 성취와 유산 그리고 도전』, 『불확실성을 경영하라』, 『상생의 경제학』(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부 서론 = 1 제1장 세계로의 여행 = 3 1-1 미국 = 4 1-2 유럽연합 = 9 1-3 일본 = 14 1-4 앞으로의 논의 = 16 부록 : 어디에서 거시경제 자료를 얻을 수 있는가 = 20 제2장 책으로의 여행 = 23 2-1 총산출 = 24 2-2 기타 주요 거시경제변수 = 31 2-3 단기, 중기, 장기 = 39 2-4 책으로의 여행 = 41 부록 : 실질 GDP의 구축, 연쇄 지수 = 48 제2부 단기 = 51 제3장 재화시장 = 53 3-1 GDP의 구성 = 54 3-2 재화에 대한 수요 = 56 3-3 균형 산출의 결정 = 60 3-4 투자와 저축의 일치 : 재화시장의 균형에 대한 또 다른 사고방법 = 67 3-5 정부는 전능한가? 경고 = 71 제4장 금융시장 = 77 4-1 화폐에 대한 수요 = 78 4-2 이자율의 결정Ⅰ = 83 4-3 이자율의 결정Ⅱ = 89 4-4 균형을 살펴보는 두 가지 방법 = 96 제5장 재화 및 금융시장 : IS-LM 모형 = 105 5-1 재화시장과 IS 관계 = 106 5-2 금융시장과 LM 관계 = 111 5-3 IS 관계와 LM 관계의 결합 = 114 5-4 정책조합의 활용 = 120 5-5 IS-LM 모형은 현실을 얼마나 잘 설명할까? = 125 부록 : 이자율 규칙으로서 LM 관계의 다른 유도방법 = 132 제3부 중기 = 135 제6장 노동시장 = 137 6-1 노동시장의 개관 = 138 6-2 실업률의 변화 = 141 6-3 임금의 결정 = 144 6-4 가격결정 = 150 6-5 자연실업률 = 151 6-6 어디로 가는가 = 156 부록 : 임금 및 가격 설정관계와 노동수요 및 노동공급 = 161 제7장 재화ㆍ금융ㆍ노동시장의 통합 : AS-AD 모형 = 163 7-1 총공급 = 164 7-2 총수요 = 167 7-3 단기 균형과 중기 균형 = 170 7-4 통화팽창의 파급효과 = 173 7-5 재정적자의 감소 = 178 7-6 유가의 변화 = 181 7-7 결론 = 186 제8장 자연실업률과 필립스 곡선 = 195 8-1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 그리고 실업 = 196 8-2 필립스 곡선 = 198 8-3 요약과 다양한 경고 = 205 부록 : 총공급 관계에서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 그리고 실업 간의 관계로 = 217 제9장 인플레이션, 경제활동 그리고 명목통화 증가율 = 219 9-1 산출, 실업 그리고 인플레이션 = 220 9-2 통화 증가율 변화의 효과 = 225 9-3 디스인플레이션 = 229 제4부 장기 = 243 제10장 경제성장에 관한 사실들 = 245 10-1 생활수준의 측정 = 246 10-2 1950년 이래 부국에 있어서의 경제성장 = 251 10-3 시간과 공간을 넓혀서 본 결과 = 254 10-4 성장에 대한 사고법 : 입문 = 257 제11장 저축, 자본축적 그리고 산출 = 267 11-1 산출과 자본의 상호작용 = 268 11-2 저축률 변화의 효과 = 272 11-3 현실적인 감을 잡기 = 282 11-4 물적자본과 인적자본 = 288 부록 : 콥-더글러스 생산함수와 정상상태 = 295 제12장 기술진보와 성장 = 297 12-1 기술진보와 성장률 = 298 12-2 기술진보율의 결정요인 = 306 12-3 성장 사실에 대한 재검토 = 312 부록 : 기술진보 측정치의 구축 = 319 제13장 기술진보 : 단기, 중기, 장기 = 321 13-1 단기에 있어 생산성, 산출 그리고 실업 = 322 13-2 생산성과 자연실업률 = 326 13-3 기술진보와 분배효과 = 334 13-4 제도, 기술진보 그리고 성장 = 338 제5부 기대 = 347 제14장 기대 : 기초적 수단 = 349 14-1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 = 350 14-2 명목 및 실질이자율과 IS-LM 모형 = 354 14-3 통화 증가율, 인플레이션, 명목 및 실질 이자율 = 355 14-4 기대 현재할인가치 = 364 부록 :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을 이용한 기대 현재할인가치의 유도 = 373 제15장 금융시장과 기대 = 375 15-1 채권가격과 채권 수익률 = 376 15-2 주식시장과 주가의 변화 = 386 15-3 버블, 패드 그리고 주가 = 392 부록 : 재정거래와 주가 = 399 제16장 기대, 소비 그리고 투자 = 401 16-1 소비 = 402 16-2 투자 = 410 16-3 소비와 투자의 변동성 = 419 부록 : 정태적 기대 하에서 이윤의 기대현재가치의 유도 = 426 제17장 기대, 산출 그리고 정책 = 427 17-1 기대와 의사결정 : 전체적 개요 = 428 17-2 통화정책, 기대 그리고 산출 = 433 17-3 재정적자 감축, 기대 그리고 산출 = 438 제6부 개방경제 = 447 제18장 재화시장과 금융시장의 개방 = 449 18-1 재화시장의 개방 = 450 18-2 금융시장의 개방 = 459 18-3 결론과 조망 = 468 제19장 개방경제에서의 재화시장 = 473 19-1 개방경제에서의 IS 관계 = 474 19-2 균형 산출과 무역수지 = 478 19-3 국내 수요 또는 해외 수요의 증가 = 479 19-4 평가절하, 무역수지 그리고 산출 = 485 19-5 동학의 검토 : J-곡선(J-Curve) = 488 19-6 저축, 투자 그리고 무역수지 = 493 부록 : 마샬-러너 조건의 유도 = 499 제20장 산출, 이자율 그리고 환율 = 501 20-1 재화시장의 균형 = 502 20-2 금융시장의 균형 = 503 20-3 재화시장과 금융시장의 통합 = 508 20-4 개방경제에서 정책의 파급효과 = 509 20-5 고정환율 = 513 부록 : 고정환율, 이자율 그리고 이동성 = 522 제21장 환율제도 = 525 21-1 중기 = 526 21-2 고정환율제도 하에서의 환율 위기 = 533 21-3 변동환율제도 하에서의 환율변동 = 537 21-4 환율제도의 선택 = 541 부록 1 : 고정환율제도 하에서의 총수요의 유도 = 552 부록 2 : 실질환율과 국내외 실질 이자율 = 553 제7부 이례적 경제 상황 = 555 제22장 공황과 불황 = 557 22-1 디스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그리고 유동성 함정 = 558 22-2 대공황 = 567 22-3 일본의 경제 불황 = 574 제23장 높은 인플레이션 = 589 23-1 재정적자와 화폐 증발 = 591 23-2 인플레이션과 실질통화잔고 = 593 23-3 재정적자, 시뇨라지 그리고 인플레이션 = 596 23-4 어떻게 초인플레이션은 종결되는가? = 602 23-5 결론 = 607 제8부 정책에 대한 검토 = 611 제24장 정책에 대한 제약 = 613 24-1 불확실성과 정책 = 614 24-2 기대와 정책 = 619 24-3 정치와 정책 = 625 제25장 통화정책 : 요약 = 637 25-1 최적 인플레이션율 = 638 25-2 통화정책의 설계 = 645 25-3 실제 중앙은행의 운영 : 미국의 Fed = 652 제26장 재정정책 : 요약 = 663 26-1 정부의 예산제약 = 664 26-2 재정정책에 있어서의 4가지 주제 = 674 26-3 미국의 예산 : 현재의 수치와 미래 전망 = 681 책의 말미에 = 693 제27장 거시경제학의 역사 = 693 27-1 케인즈와 대공황 = 694 27-2 신고전파 종합 = 695 27-3 합리적 기대 가설 비판 = 699 27-4 현재의 발전 상황 = 703 27-5 공통된 믿음 = 708 제28장 글로벌 위기 = 711 28-1 글로벌 경기침체 = 712 28-2 촉발요인 : 미국의 주택가격 하락 = 713 28-3 증폭 메커니즘 : 레버리지, 복잡성 그리고 유동성 = 715 28-4 금융 위기에서 거시경제 위기로 = 721 28-5 정책의 대응 = 725 28-6 미래에 대한 전망 = 731 부록 1 국민소득 및 생산계정에 대한 소개 = 739 부록 2 수학 기초 = 745 부록 3 계량경제학의 소개 = 752 용어 = 759 찾아보기 = 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