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한국어판 서문 = ⅲ
옮긴이 머리말 = ⅴ
머리말 = ⅶ
제1장 교육을 위한 질적 연구의 기초 = 1
1.1 질적 연구의 특징들 = 5
1.2 교육을 주제로 한 질적 연구의 여러 전통들 = 10
1.3 이론적 기초 = 29
1.4 질적 연구에 대한 11가지 공통된 질문 = 45
1.5 질적 연구의 윤리 = 61
1.6 다음 내용 = 69
제2장 연구설계 = 74
2.1 연구선정 = 74
2.2 사례연구 = 79
2.3 다중 연구현장에 대한 연구 = 92
2.4 연구설계와 관련된 부수적 사항들 = 100
2.5 이 장의 결론 = 106
제3장 현장조사 = 107
3.1 접근승인 받기 = 110
3.2 연구현장에서의 처음 며칠 = 119
3.3 참여/관찰의 연속성 = 121
3.4 다른 문화에서 현장조사 하기 = 124
3.5 연구자의 개인적 특성과 라포르 형성 과정의 문제 = 125
3.6 말과 행동을 신중하게 = 131
3.7 정치성과 갈등이 짙은 장소나 상황 연구하기 = 134
3.8 감정 = 135
3.9 인터뷰하기 = 138
3.10 녹화와 현장조사 = 152
3.11 삼각검증법 = 156
3.12 연구현장 떠나기 = 157
제4장 질적 데이터 = 159
4.1 몇 가지 조언 = 161
4.2 현장조사록 = 162
4.3 현장조사록 작성과정 = 173
4.4 녹음된 인터뷰의 녹취록 만들기 = 176
4.5 문서 자료 = 182
4.6 사진 = 193
4.7 공식 통계자료와 다른 양적자료 = 205
4.8 결론 = 210
제5장 데이터 분석과 해석 = 211
5.1 연구현장에서의 분석과 해석 = 214
5.2 데이터 수집 후의 분석과 해석 = 231
5.3 데이터 처리의 기계적 방법 = 248
5.4 컴퓨터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 252
5.5 해석 = 259
5.6 끝내는 말 = 260
제6장 논문작성과 글쓰기 = 267
6.1 글쓰기의 선택 = 269
6.1.7 결론에 대한 결정 사항들 = 284
6.2 더 많은 글쓰기 도움말 = 285
6.3 작문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들 = 293
6.4 텍스트 = 296
6.5 글쓰기 착수를 위한 마지막 조언 = 297
제7장 교육에서의 질적 응용연구 = 299
7.1 평가-정책연구 = 304
7.2 실행연구 = 320
7.3 질적 연구를 활용하는 현직자 = 332
부록 = 339
부록 A 교육 장소나 상황에 대한 관찰용 질문의 예 = 340
부록 B 현장조사록 작성 예 = 352
용어 정리 = 368
참고문헌 = 375
찾아보기(용어) = 395
찾아보기(인명) =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