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주노동자들의 권익과 시민공동체

이주노동자들의 권익과 시민공동체 (Loan 1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한도현, 저 이동희, 저 하승우, 저 장원봉, 저 채수홍, 저
Corporate Author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Title Statement
이주노동자들의 권익과 시민공동체 / 한도현 [외]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백산서당,   2010  
Physical Medium
253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시민공동체연구 ;6
ISBN
9788973274550
General Note
저자: 한도현, 이동희, 하승우, 장원봉, 채수홍  
이 책은 2008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된 연구 결과물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1235camcc2200397 c 4500
001 000045619239
005 20101127122254
007 ta
008 101125s2010 ulka b 000c kor
020 ▼a 9788973274550 ▼g 93340
035 ▼a (KERIS)BIB000012206151
040 ▼a 211032 ▼d 222001 ▼d 211009
082 0 4 ▼a 331.62 ▼2 22
085 ▼a 331.62 ▼2 DDCK
090 ▼a 331.62 ▼b 2010
245 0 0 ▼a 이주노동자들의 권익과 시민공동체 / ▼d 한도현 [외] ; ▼e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246 1 1 ▼a (The) right of foreign migrant workers and the civic community
260 ▼a 서울 : ▼b 백산서당, ▼c 2010
300 ▼a 253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시민공동체연구 ; ▼v 6
500 ▼a 저자: 한도현, 이동희, 하승우, 장원봉, 채수홍
500 ▼a 이 책은 2008년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된 연구 결과물임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한도현, ▼e▼0 AUTH(211009)31677
700 1 ▼a 이동희, ▼e▼0 AUTH(211009)49182
700 1 ▼a 하승우, ▼e▼0 AUTH(211009)89415
700 1 ▼a 장원봉, ▼e▼0 AUTH(211009)136706
700 1 ▼a 채수홍, ▼e
710 ▼a 한국학중앙연구원, ▼e▼0 AUTH(211009)39904
900 1 0 ▼a Han, Do-Hyun, ▼e
900 1 0 ▼a Lee, Donghie, ▼e
900 1 0 ▼a Ha, Seungwoo, ▼e
900 1 0 ▼a Jang, Wonbong, ▼e
900 1 0 ▼a Chae, suhong,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31.62 2010 Accession No. 1116440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62 2010 Accession No. 1116016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62 2010 Accession No. 1116016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한도현(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사회학(역사사회학, 사회발전) 전공. <지역결사체와 시민공동체>(공저),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등.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이주노동자와 시민공동체: 인정의 정치와 상대주의를 중심으로 / 이동희 
1. 들어가는 말 
2. '다문화'를 둘러싼 외국의 논쟁 
3.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이해 
4. 문화상대주의의 철학적 변형: 로티와 자문화중심주의 
5. 다문화에 대한 '보편적 윤리'의 입장 
6. 인정의 정치학을 통한 다문화의 이해 
1) 인정의 욕구와 진정성의 윤리 
2) '인정의 정치'를 통한 다문화의 이해 
7. 결론: 상호 인정의 정치에 기초한 다문화사회의 이해로 

이주민과 시민공동체: 자조, 운동, 정책 / 하승우 
1. 들어가는 말 
2. 한국 이주민정책의 이중성과 이주노동권의 무시 
3. 이주노동자의 자조노력과 이주노동자운동의 발전 
4. 이주노동자와 한국 지역사회의 관계형성 
5. 이주노동자 정책과 관련된 쟁점 
1) 온정주의와 사회권, 노동허가제 
2) 자조공동체의 긍정성과 부정성 
3) 시민권과 데니즌의 권리 
6. 나오는 말 

성남외국인노동자의집의 이주노동자 지원활동과 이주노동자 / 한도현 
1. 사회자본, 참여, 종교단체 
2. 자료수집 
3. 성남외국인노동자의집의 사회구조 
4. 이주노동자 지원활동 
1) 숙소(쉼터) 제공 
2) 노동상담 및 의료지원 
3) 신앙생활지원 
5. 성남외국인노동자의집 운영과 네트워킹 
1) 운영경비 
2) 자원봉사 
3) 성남외국인노동자의집, 정부, 교회 
6. 결론: 참여, 커뮤니티, 네트워킹 

지역화된 세계화 프로젝트로서 '국경없는 마을'의 형성과 과제 / 장원봉 
1.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지역화된 세계화의 공간으로서 '국경없는 마을'의 등장 
1) 이주노동자 밀집지역의 형성 
2) 다문화운동으로서 '국경없는 마을' 개념의 등장 
3. 다문화 시민공동체로서 '국경없는 마을'의 형성과 변화 
1) 내국인 주민과 이주민 지원단체 
2) 이주노동자와 그들의 공동체 
3) 안산시 지방자치단체 
4) 시민공동체 내의 상호작용 
4. 결론: 다문화공동체로서 '국경없는 마을'의 과제 

교외활동을 통해 본 베트남 이주노동자의 배제와 통합: 안양 A교회와 분당 B교회의 사례 / 채수홍 
1. 서론 
2. 연구과정 
3. A교회 이주노동자의 통합과 배제 
1) 한국교회 속의 베트남 교회 
2) 신도의 구성과 이주노동자의 소외 
3) A교회 이주노동자의 한국사회·문화로의 적응과 통합 
4. B교회 이주노동자의 통합과 배제 
1) 한국교회 밖의 베트남 교회 
2) 신도의 구성과 이주노동자의 돌보기 
3) B교회 이주노동자의 한국사회·문화로의 적응과 통합 
5. 요약 및 결론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