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현대생성문법 개관 = 13
제1장 서론 = 15
제2장 생성문법의 탄생 = 19
1 전통문법 = 19
2 구조문법 = 20
3 생성문법 = 22
제3장 현대생성문법의 기본 정신 = 25
1 언어와 언어학 = 25
2 언어지식과 언어 습득 및 사용 = 28
3 보편문법과 개별문법 = 33
4 이론적 타당성의 세 단계 = 34
5 자립통사론 = 36
제4장 현대생성문법의 기본 구조 = 39
1 기본원리 = 39
2 문장의 정의 = 41
3 COMP의 이해 = 41
4 X'-이론의 이해 = 43
5 X'-이론과 IP-구조 = 50
6 X'-구조와 소절 = 52
7 DP-가설 = 55
8 X'-이론과 CP-구조 = 58
9 X'-이론과 부가구조 = 59
10 보충어와 부가어 = 61
제5장 GB이론의 기본원리 = 67
1 지배의 정의 = 67
2 격이론 = 69
3 의미역이론 = 70
4 이동규칙 = 76
5 의문사구 이동과 관계절 = 77
6 내적이동의 정당성 = 79
7 통제이론 = 81
8 결속이론 = 83
9 허가원리와 완전해석원리 = 87
제6장 최소이론의 기본원리 = 89
1 최소이론의 기본 개념 = 89
2 최소이론의 자질 점검이론 = 98
제2부 영어의 부정법 = 103
제1장 부정법의 개념과 유형 = 105
1 부정어의 유형 = 106
2 부정어가 미치는 의미의 범위에 따른 유형 = 109
제2장 부정문의 구조 = 113
1 운용자 부정문 = 113
2 비운용자 부정문 = 115
제3장 부정문의 통사적 성질 = 117
1 부정어 축약의 통사성 = 117
2 부정 극성어 = 118
3 내포문의 부정어 이동 = 125
4 부정어의 대용적 용법 = 128
5 부정문의 강조 용법 = 135
6 관용적 부정 표현 = 140
제4장 명사적 비운용자 부정어의 유형 = 143
1 한정사 = 143
2 비지정 대명사 = 144
3 한정사와 대명사의 용법 = 146
4 부정 부사 = 147
5 부정 연결어 = 147
제5장 부정의문문 = 149
1 부정의문문의 구조 = 149
2 부정의문문에 대한 응답 = 150
제6장 부정명령문 = 153
제7장 간접명령문 = 159
제8장 부정의 의미영역 = 161
1 부정의 기본개념과 부정어의 유형 = 161
2 문부정문의 의미 = 162
3 성분부정문의 의미 = 167
4 문부정문과 성분부정문의 비교 = 169
5 부정 의문문의 특수한 의미 = 170
6 부정의미의 해석단계 = 172
제9장 결론 = 183
제3부 국어의 부정법 = 185
제1장 논의의 기본 입장 = 187
제2장 부정법의 개념과 유형 = 189
1 부정어의 단계별 세 유형 = 190
2 부정의 범위에 따른 유형 = 194
제3장 명시적 부정문의 구조와 성질 = 199
1 명시적 부정문의 용어 문제 = 200
2 명시적 부정문의 유형 = 201
3 전술어 부정문의 구조 = 203
4 후술어 부정문의 구조 = 204
5 후술어 부정문의 NegP의 구조의 통사성 = 206
6 '아니'와 '안'의 통사성 = 222
7 내포문의 부정어 이동의 통사적 의의 = 224
8 내포적 부정어의 통사성 = 226
제4장 부정문의 의미영역 = 231
1 문부정문 = 231
2 양화사와 부정의 영역 = 233
3 '안'-부정문과 '못'-부정문의 의미 = 236
4 '말'-부정문의 의미 = 238
5 부정의문문의 특수용법 = 239
제5장 결론 = 241
제4부 국어의 부정의문문 연구 = 245
제1장 국어에도 부가의문문이 있는가? = 247
1 머리말 = 247
2 영어 부가의문문 = 248
3 국어 부가의문문 = 256
4 맺는 말 = 267
참고문헌 = 269
제2장 국어의 부정의문문과 전제 = 271
1 머리말 = 271
2 김동식(1981)의 '확인문'론 비판 = 272
3 장석진(1984)의 부가의문문 = 276
4 영어의 부정의문문과 전제 = 280
5 국어의 부정의문문과 전제 = 285
6 맺는 말 = 294
참고문헌 = 295
제3장 국어의 부정의문문과 화행 = 297
1 머리말 = 297
2 부정의문문 재론 = 299
3 화행이론과 부정의문문 = 307
4 마무리말 = 314
참고문헌 = 316
제4장 국어 부정의문문의 GB분석 시론 = 319
1 머리말 = 319
2 본론 = 321
3 맺는 말 = 326
참고문헌 = 327
제5장 국어 부정의문문의 구조와 의미해석 = 329
1 서론 = 329
2 문장의 정의 = 330
3 의문문의 통사적 특성 = 334
4 어휘부정문과 통사부정문 = 334
5 영어 부정문의 통사 및 의미론적 특성 = 336
6 국어 부정문의 통사 및 의미론적 특성 = 341
7 국어 부정의문문의 구조와 의미 = 347
8 국어 부정의문문의 의미해석과 GB이론 = 351
9 맺는 말 = 353
참고문헌 = 355
제6장 부가의문문의 보편문법과 경상도 방언 = 357
1 머리말 = 357
2 영어 부가의문문과 보편문법 = 358
3 국어 부가의문문의 기존 이론 검토 = 364
4 경상도 방언의 부가의문문과 보편문법 = 340
5 기존 이론 비판 = 374
6 결론 = 378
참고문헌 = 382
제7장 국어 부정의문문의 통사적 연구 = 385
1 서론 = 385
2 선행연구 검토 = 388
3 구종남(1992)에 대한 비판 = 393
4 '장형부정의문문'론의 통사적 논증 = 401
5 결론 = 410
참고문헌 = 412
참고문헌 = 413
찾아보기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