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이것이 행복

이것이 행복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용삼
서명 / 저자사항
이것이 행복 = Mr. Choi's thoughts on happiness / 최용삼 著
발행사항
서울 :   명지출판사,   2010  
형태사항
474 p. ; 23 cm
ISBN
9788931108552
000 00600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618957
005 20101125104541
007 ta
008 101124s2010 ulk 000c kor
020 ▼a 9788931108552 ▼g 03130
035 ▼a (KERIS)BIB000012210365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82 0 4 ▼a 152.42 ▼2 22
085 ▼a 152.42 ▼2 DDCK
090 ▼a 152.42 ▼b 2010z3
100 1 ▼a 최용삼 ▼0 AUTH(211009)82035
245 1 0 ▼a 이것이 행복 = ▼x Mr. Choi's thoughts on happiness / ▼d 최용삼 著
260 ▼a 서울 : ▼b 명지출판사, ▼c 2010
300 ▼a 474 p. ; ▼c 23 cm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2 2010z3 등록번호 1116010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2.42 2010z3 등록번호 1116010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유머로 보는 러시아>의 저자 최용삼의 행복론. 먼저 1부에서 행복감의 감지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행복을 주로 분해해서 살펴본다. 2부(더욱 더 행복해지려면)에서는 1부에서 파악한 행복감의 감지원리를 자아, 이웃과 환경에 적용해 본다. 본론은 삶 자체가 근본적으로 행복한 것임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더욱 더 행복해질 수 있는 행복 추구 방식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병원의 수술침대에서 수술 중에 혹시 이승을 영원히 떠나게 될지도 모른다는 의구심으로 인한 긴장감 속에서도, 필자는 그동안 열의를 가지고 작성해 오던 행복론(幸福論)을 끝내 완성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하게 될 수 있지 않을까 못내 아쉬워하는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뇌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서 행복한 이승의 삶을 좀 더 즐길 수가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저승의 문전에서 느꼈던 이승의 행복한 삶에 대한 마음의 자세로서 행복론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된데 대하여 보람과 함께 나름대로 행복감을 감지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이제 여러분과 함께 행복에 관하여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차원에서 행복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사람들은 누구나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서 각자 나름대로 노력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행복이 무형으로 존재하면서도 때로는 그것이 구름처럼 다양하게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행복을 감지하는 방법은 사람의 개성과 환경에 따라서 다를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행복 그 자체가 정형定形이 없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이 행복을 분명하게 감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것 이라고 단언하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첫째로, 가능한 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행복 추구 방식을 쉽게 이해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표현하였습니다.
둘째로, 가능한 한 모든 사람들이 희, 로, 애, 락의 일상생활에서도 행복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습니다.
셋째로, 진정한 행복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넷째로, 행복은 마음속에 언제나 존재한다는 이론에서 행복 추구 방식을 전개하였습니다.
다섯째로, 제1부는 행복감의 감지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행복을 주로 분해하는 측면에서 추구하게 됩니다. 제2부(더욱 더 행복해지려면)에서는 제1부에서 파악한 행복감의 감지원리를 자아, 이웃과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행복을 주로 조립하는 측면에서 추구 하게 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론에서는 이승의 삶 자체가 근본적으로 행복한 것임을 일깨워주는 동시에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더욱 더 행복해질 수 있는 행복 추구 방식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최용삼(지은이)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 졸업. 영국런던 대학 대학원 연수. 학위 : 러시아 국립극동대학교 명예 정치학박사 주요경력 : 외무부여권과장 (주)핀란드, 필리핀대사관 서기관 (주)이란대사관참사관 (주)몽골대사대리(대사관개설) (주)블라디보스톡 총영사 본부대사 경기대학교 통일안보대학원 겸임교수. 상훈 : -1990년 12월 26일 모범공무원으로서 노태우 대통령으로부터 근정훈장수령. -1998년 12월 22일 국가사회발전에 기여한것에 대하여 김대중대통령으로부터 표창장 수령. 저서 : 유머로 보는 러시아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행복학
 제1장 행복(幸福)이란 무엇인가?
  제1절 행복은 어디에 있을까? = 19
   1. 우리는 왜 행복을 추구해야 하는가? = 19
   2. 행복은 마음속에 늘 존재하고 있습니다 = 23
   3. 행복이 마음속에 늘 존재함을 미루어 생각할 수 있는 경우 = 32
   4. 행복이 마음속에 언제나 존재하고 있음을 믿으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 36
   5. 행복을 감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 48
   6. 마음속에 있는 행복을 체감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 58
  제2절 행복감은 어떠한 모양새를 하고 있을까? = 69
   1. 행복은 우리의 삶을 즐겁게 합니다 = 69
   2. 행복감의 형질이 다양하여 행복개념을 정의하기가 어렵습니다 = 75
   3. 행복을 자주 감지하는 이에게는 외형상의 특징들이 있습니다 = 83
   4. 사람마다 행복감의 감지 능력은 다릅니다 = 105
   5. 행복도의 수치는 음양으로 수시 변동합니다 = 107
  제3절 행복감의 특이한 성향 = 124
   1. 행복감은 행복도의 원점으로 복귀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 124
   2. 행복도의 원점의 위치가 변동합니다 = 131
   3. 행복감의 최대 절대치(+100)가 높아지면, 행복감이 강해집니다 = 136
   4. 행복감에는 삶의 얼이 충족되어 있습니다 = 141
 제2장 행복감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제1절 행복감의 요인은 어떠한 것일까? = 153
   1. 행복감의 요인이란 무엇을 지칭하는 것일까? = 153
   2. 행복감의 요인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 155
   3. 행복감의 요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159
   4. 행복감의 요인이 행복감을 어떻게 야기 시키는 것일까? = 167
  제2절 행복감의 본질적 요소는 어떠한 것일까? = 177
   1. 행복감의 본질적 요소란 무엇을 지칭하는 것일까? = 177
   2. 행복감의 본질적 요소란 무엇일까? = 178
   3. 행복감의 본질적 요소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 190
 제3장 행복감을 어떻게 감지할 수 있을까?
  제1절 행복감의 본질적 요소를 체감할 수 있어야 합니다 = 203
   1. 본질적 요소가 강할수록 행복감을 강하게 체감할 수 있습니다 = 203
   2. 삶의 얼이 강할수록 행복감을 강하게 체감하게 됩니다 = 206
   3. 행복감에 대한 의식은 삶의 얼을 충족시킵니다 = 210
  제2절 행복감에 대한 의식이 왜 중요할까? = 212
   1. 행복감을 감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 212
   2. 행복감에 대한 의식은 행복을 체감하는 마음의 열쇠입니다 = 215
  제3절 행복감을 어떻게 의식할 수 있을까? = 220
   1. 행복감에 대한 의식을 컴퓨터의 클릭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 220
   2. 행복감에 대한 의식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을까? = 224
  제4절 행복감을 자주 의식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 229
   1. 행복감을 자주 의식하면 진정한 행복감을 감지할 수가 있습니다 = 229
   2. 행복감을 자주 의식하면 행복감의 감지능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 233
   3. 행복감을 자주 의식하면 행복감을 감지하는 수준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235
제2부 더욱 더 행복해 지려면
 제1장 행복감의 본질적 요소를 통하여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제1절 하는 일에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 243
   1. 목표의식은 행복감의 요인을 제공해줍니다 = 243
   2. 목표의식이 강할수록 행복감의 요인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게 됩니다 = 247
   3. 목표의식이 강하면 행복감의 본질적 요소를 강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 257
  제2절 본질적 요소를 추구할 수 있도록 행복감의 요인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 271
   1. 활성화가 어째서 중요할까? = 271
   2. 활성화에 반드시 참고 할 사항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 275
   3. 행복감의 요인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세는 어떠한 것일까? = 282
  제3절 행복감의 특징을 구현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318
   1. 행복감의 특징이란 무엇일까? = 319
   2. 행복감의 특징을 구현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322
   3. 행복감의 특징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 327
   4. 행복감의 특징을 다양화 하면 행복감의 감지 능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333
 제2장 자아상(自我像)을 통하여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제1절 우리는 자아상을 정립하여야 하는가? = 342
  제2절 자아상을 찾는 길은 미로(迷路)가 될 수 있습니다 = 347
  제3절 자아상을 정립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353
   1. 자아상을 어떻게 정립할 수 있을까? = 353
   2. 자아상을 정립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 355
   3. 자아상을 의식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360
 제3장 진정한 행복감을 통하여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제1절 진정한 행복감을 추구하면, 행복감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 367
   1. 진정한 행복감이란 어떠한 것 이어야 할까? = 367
   2. 진정한 행복감이란 내적, 외적 행복요건이 구비되어야 합니다 = 369
  제2절 의도적 행복과 진정한 행복감의 차이는 무엇일까? = 376
  제3절 의도적 행복추구 양식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 383
  제4절 진정한 행복추구 양식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 387
  제5절 진정한 행복감을 감지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 = 391
 제4장 공동체사회의 행복에 기여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제1절 사랑은 공동체사회의 행복도 증진에 관건이 됩니다 = 409
   1. 대인관계에 둔 행복감의 요인은 사랑에서 나옵니다 = 409
   2. 사랑은 사회적 행복도 증진에 관건이 됩니다 = 412
  제2절 행복은 공동체사회와의 관계에서 더욱 강해질 수 있습니다 = 421
   1. 개인의 행복과 공동체사회의 행복은 상관관계에 있습니다 = 421
   2. 외적행복요건에서 오는 행복감이 내적요건의 그것보다 강합니다 = 423
   3. 대인관계에 둔 행복감의 요인을 활성화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공동체 사회에서 사랑과 존경을 받는 것입니다 = 429
  제3절 이웃의 존재를 의식하고 고마워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435
   1. 우리는 왜 이웃의 존재를 의식해야 하는가? = 435
   2. 이웃의 존재를 의식하면 어떠한 효과가 있을까요? = 439
   3. 이웃의 존재를 의식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감사하는 것입니다 = 441
 제5장 생활환경을 개선하면,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제1절 대물관계도 행복도의 증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449
  제2절 대물관계에서 오는 행복감은 일시적입니다 = 452
  제3절 생활환경의 대상물에서도 행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 458
맺음 말 = 470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용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