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1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18825 | |
005 | 20101124185324 | |
007 | ta | |
008 | 101124s2010 ulk 000cp kor | |
020 | ▼a 9788956407678 ▼g 03810 | |
020 | 1 | ▼a 9788956407654(세트) |
035 | ▼a (KERIS)BIB000012171105 | |
040 | ▼a 221016 ▼c 221016 ▼d 221016 ▼d 211009 | |
082 | 0 4 | ▼a 895.714 ▼2 22 |
085 | ▼a 897.16 ▼2 DDCK | |
090 | ▼a 897.16 ▼b 조재훈 오 | |
100 | 1 | ▼a 조재훈 ▼g 趙載勳 ▼0 AUTH(211009)32452 |
245 | 1 0 | ▼a 오두막 황제 : ▼b 조재훈 시집 / ▼d 조재훈 |
260 | ▼a 서울 : ▼b 푸른사상, ▼c 2010 | |
300 | ▼a 176 p. ; ▼c 20 cm | |
440 | 0 0 | ▼a 푸른사상 시선 ; ▼v 2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6 조재훈 오 | 등록번호 1116011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6 조재훈 오 | 등록번호 1116011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조재훈(지은이)
인천에서 태어나 충남 서산에서 성장, 초·중·고등학교를 다녔다. 공주사범대 국문과와 고려대 대학원 국문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문학박사). 공주사대부고, 한남대, 공주교대를 거쳐 공주사대 국어교육과 교수를 지냈고, 국립대만사범대 중문연구소 초청 교수, 중국 북경대 교육부 파견교수 및 상해 복단대 객원교수 등을 지냈다. 『시맥』 동인(1955~1958), 민족작가회의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1974년 『한국문학』 신인상 (김현승 시인 추천 「햇살」 외) 『겨울의 꿈』(1984), 『저문 날 빈 들의 노래』(1987), 『물로 또는 불로』(1991), 『오두막 황제』(2010) 등의 시집을 내었다. 『한국시가의 통시적 연구』(1996), 『한국 현대시의 숲과 나무』(2002) 등의 연구서와 비평서, 『소리와 의미』(1998) 등의 역서가 있다. 다수의 논문 등으로 고전시가와 현대시를 아우르는 폭넓은 연구 활동을 해왔다.

목차
목차 시인의 말 = 5 제1부 빼앗긴 바다 봄밤 = 13 봄눈 = 14 진달래 = 15 민들레 = 16 들장미 = 18 한 사람 = 19 웨이밍호를 돌며ㆍ1 = 20 웨이밍호를 돌며ㆍ2 = 22 빼앗긴 바다ㆍ2 = 24 빼앗긴 바다ㆍ3 = 26 낮달 = 29 집ㆍ2 = 30 어두운 날의 기억 = 32 봄ㆍ2 = 34 제2부 가난한 평화 성(城) 머리에 서서 = 37 베이징 낮달 = 38 등바람 = 40 가난한 평화 = 42 비빔밥을 먹으며 = 44 비 오시는 날 = 46 바람 부는 날 = 48 먼 목소리ㆍ1 = 50 먼 목소리ㆍ2 = 52 봉황산 트럼펫 소리 = 54 노을 = 56 보정향찬(寶鼎香讚)을 들으며 = 58 원(願) = 60 그 사람 = 63 제3부 거친 꿈 뿌리의 섬 = 67 작은 아가(雅歌)ㆍ1 = 68 작은 아가(雅歌)ㆍ3 = 70 작은 아가(雅歌)ㆍ4 = 72 말 사랑 = 74 섬ㆍ2 = 78 섬ㆍ4 = 80 섬ㆍ14 = 82 거친 꿈 = 83 섬은 섬들끼리 = 84 까치밥 = 86 너, 그렇게 가기냐 = 88 북방에서 = 92 입동 = 94 개와 달 = 96 삿대울 굴참나무 = 98 제4부 눈발 흩날리는 날엔 부여에 내리는 눈 = 103 향산(香山)에 해는 지고 = 104 눈발 흩날리는 날엔 = 106 또 부여에 와서ㆍ5 = 108 어린이송(頌) = 110 시간의 감옥ㆍ1 = 113 시간의 감옥ㆍ2 = 114 글안(契丹) 그 여자 = 116 평화ㆍ1 = 118 평화ㆍ2 = 120 햇살 한 줌 = 121 너에게도 꽃피는 가슴이 있다 = 122 들국화ㆍ1 = 124 빈 방ㆍ1 = 126 빈 방ㆍ2 = 128 제5부 하늘나라 하얀 섬 강자의 저녁 식사 = 131 안개꽃 = 132 늙은 어느 농투사니의 혼잣말ㆍ1 = 134 늙은 어느 농투사니의 혼잣말ㆍ2 = 136 늙은 어느 농투사니의 혼잣말ㆍ3 = 139 하늘나라 하얀 섬 = 142 구름산 = 144 사랑, 육체 없는 = 146 초록빛 = 148 풍경ㆍ1 = 150 풍경ㆍ2 = 153 한 방울 술로 = 154 어느 계산 = 156 비 = 157 작품 해설 : 낮달, 진달래, 민들레의 이미지 / 이은봉 =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