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너는 나다 : 우리 시대 전태일을 응원한다 (1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손아람, 저 이창현, 저 유희, 저 조성주, 저 임승수, 저 하종강, 저
서명 / 저자사항
너는 나다 : 우리 시대 전태일을 응원한다 / 손아람 [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레디앙 :   후마니타스 :   삶이보이는창 :   철수와영희,   2010  
형태사항
255 p. : 삽화 ; 25 cm
ISBN
9788993463125
일반주기
지은이: 손아람, 이창현, 유희, 조성주, 임승수, 하종강  
이 책은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40주기'를 맞아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 출판사가 공동 기획ㆍ출판한 책임  
000 01002camcc2200301 c 4500
001 000045618583
005 20101124111551
007 ta
008 101123s2010 ulka 000c dkor
020 ▼a 9788993463125 ▼g 03300
035 ▼a (KERIS)BIB000012197770
040 ▼a 241050 ▼c 241050 ▼d 211009
082 0 4 ▼a 331.09519 ▼2 22
085 ▼a 331.0953 ▼2 DDCK
090 ▼a 331.0953 ▼b 2010z1
245 0 0 ▼a 너는 나다 : ▼b 우리 시대 전태일을 응원한다 / ▼d 손아람 [외] 지음
260 ▼a 서울 : ▼b 레디앙 : ▼b 후마니타스 : ▼b 삶이보이는창 : ▼b 철수와영희, ▼c 2010
300 ▼a 255 p. : ▼b 삽화 ; ▼c 25 cm
500 ▼a 지은이: 손아람, 이창현, 유희, 조성주, 임승수, 하종강
500 ▼a 이 책은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40주기'를 맞아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 출판사가 공동 기획ㆍ출판한 책임
700 1 ▼a 손아람, ▼e
700 1 ▼a 이창현, ▼e
700 1 ▼a 유희, ▼e
700 1 ▼a 조성주, ▼e▼0 AUTH(211009)74901
700 1 ▼a 임승수, ▼e▼0 AUTH(211009)87462
700 1 ▼a 하종강, ▼e▼0 AUTH(211009)89385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0953 2010z1 등록번호 1116008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0953 2010z1 등록번호 1116008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0953 2010z1 등록번호 1512929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0953 2010z1 등록번호 11160087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0953 2010z1 등록번호 1116008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0953 2010z1 등록번호 1512929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40주기’를 맞아 사회과학 출판사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가 연대해 한 권의 책을 만들었다. 이 책 구석구석에는 우리 시대의 전태일이 있다. 이 책은 자신의 고된 일터에서 학생, 청년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로서 살아가는 이들을 응원하고 있다. 그리고 고유명사 ‘열사 전태일’을 ‘이웃을 사랑한 형, 오빠’ 같은 보통명사로 만들려는 시도가 담겨 있다.

한 권의 책을 보면서 각 출판사의 다른 색깔이 담긴 4권의 책을 독자들이 보는 것처럼 내용을 구성했다. 먼저 레디앙에서는 “전태일 열전”이라는 제목으로 실제 이름이 ‘전태일’인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삶과 일터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후마니타스는 “나태일 & 전태일”이라는 제목의 만화를 실었다. 삶이보이는창은 “청춘일기”와 “청춘수다”라는 제목의 두 개의 글을 통해 전태일과 같은 또래의 우리 시대 청년들 이야기를 담았다. 철수와영희는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라는 제목으로 청소년들이 궁금해할 만한 노동에 관한 50가지 질문과 답을 실었다.

* 4개의 출판사가 공동 투자, 기획을 통해 책을 펴내는 공동 출판은 대한민국 최초의 시도다.
이 책 판매 이익금의 일부는 (재)전태일재단에 기부된다.

사회과학 출판사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가
연대해 만든 공동 기획·출판 도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40주기’를 맞아 2010년 3월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 출판사가 함께 모여 ‘우리 시대의 전태일들’인 학생, 청년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응원하는 한 권의 책을 만들기로 했다. 그리고 8개월의 여정을 거쳐 이 책이 나왔다.
사회과학 독자들에게 빚을 지고 있는 출판사들이 이번에 이 책을 통해 사회과학 독자들에게 마음의 빚을 일부라도 갚기로 했다. 우리 시대의 전태일들인 사회과학 독자들에게 이 책을 바친다.
4개의 출판사가 공동 투자, 기획을 통해 책을 펴내는 공동 출판은 대한민국 최초의 시도다. 영리를 추구하는 출판사들이 공익적 목적으로 연대해 독자들과 함께 교감하려는 첫 시도인 셈이다. 이 책 판매 이익금의 일부는 (재)전태일재단에 기부된다.
이 책의 내용은 각 출판사들이 각 출판사의 색깔에 맞게 자율적으로 구성했으며, 출판사 전체 기획회의 등을 통해 합의와 조정을 통해 확정했다.
한 권의 책을 보면서 각 출판사의 다른 색깔이 담긴 4권의 책을 독자들이 보는 것처럼 내용을 구성했다.
공동 투자, 공동 기획으로 출간된 이 책의 유통은 <철수와영희>에서 맡기로 했지만, 판권은 4개의 출판사가 공동으로 갖는다.

우리 시대의 전태일들에게 전태일이 응원이 되기를!!!

전태일은 ‘꿈’을 포기할 수 없어 가장 격렬한 방식으로, 주도적으로 ‘삶’을 포기했지만 요즘 전태일들은 꿈을 포기당한 채, 삶은 포기할 수 없어 살아간다. 이 책 구석구석에 전태일들이 있다. 노동조합에서 매년 11월 전태일 주기에 맞춰 노동자대회를 열고 ‘열사정신 계승’을 외치는 게 고마운 일이긴 하다. 하지만 그가 지금 살아 돌아온다면 대규모 집회가 열리는 광장에서 마이크를 잡는 대신, 편의점 같은 곳에 있는 ‘알바 전태일’들을 만나러 갈 것 같다.
응원이 필요한 이 시대의 전태일들. 그들이 자신의 고된 일터인 편의점에서, 커피숍에서, 대형 할인마트에서, 40년 만에 살아 돌아온 전태일 오빠, 전태일 형을 만나면 무슨 말을 할까?

“형, 저 정말 필사적으로 살고 있어요. 손이나 좀 잡아 주세요. 가르치려 들지 마시고.”
“오빠, 너무 힘들어서 죽거나 죽이고 싶지만, 열사는 싫어요. 우리의 응원단장이 돼 주세요.”

책 소개

고유명사 ‘열사 전태일’을
‘이웃을 사랑한 형, 오빠’ 같은 보통명사로


이 책은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40주기’를 맞아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가 함께 만든 책이다. 고유명사 ‘열사 전태일’을 ‘이웃을 사랑한 형, 오빠’ 같은 보통명사로 만들려는 시도가 담겨 있다.

레디앙에서는 “전태일 열전”이라는 제목으로 실제 이름이 ‘전태일’인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삶과 일터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들은 지금, 여기에서 평범하게 살아가고 있는 다양한 세대의 ‘전태일’들이다. 『소수의견』, 『진실이 말소된 페이지』를 쓴 손아람 소설가는 평택의 대학생, 인천의 유통업자, 부산의 극장 안내원, 전주의 고시생, 거제의 선박 배선공을 만나 이들의 생생한 삶의 모양들을 담아왔다.
후마니타스는 “나태일 & 전태일”이라는 제목의 만화를 실었다. 포털사이트 ‘다음’에 만화를 연재 중인 이창현, 유희 씨가 글과 그림을 공동 작업했다. 만화 속 주인공은 게임 회사에서 일하면서 ‘열사 전태일’을 이기적이라고 말하지만 결국 조금이라도 좋은 일터 환경을 만들고자 작은 행동을 하기 시작한다. 회사 신입사원으로 나오는 ‘이름 없는’ 외계인은 만화의 재미를 한층 높이면서 이주 노동자 등 우리 시대 소외된 사람들을 상징하고 있다.
삶이보이는창은 “청춘일기”와 “청춘수다”라는 제목의 두 개의 글을 통해 전태일과 같은 또래의 우리 시대 청년들 이야기를 담았다. ‘청년유니온’ 정책기획팀장 조성주 씨는 아르바이트를 하며 반지하 자취방에서 살아가는 4명의 요즘 청년들의 삶과 당사자 운동을 전태일의 일기처럼 담아냈다. 『차베스, 미국과 맞짱뜨다』 등을 쓴 임승수 씨는 임금은 적지만 자신이 꿈꾸는 일을 하고 있는 3명의 청년들과 자신들의 욕망에 대해 대담을 나눴다.
철수와영희는 “선생님, 노동이 뭐예요?”라는 제목으로 청소년들이 궁금해할 만한 노동에 관한 50가지 질문과 답을 실었다. 노동이 도대체 무엇이고, 노동이 언제 왜 생겨났는지, 공부도 노동인지, 우리나라에 비정규직이 왜 이리 많은지 등의 상식적이지만 중요한 질문들이다. 한울노동문제연구소 하종강 선생이 이해하기 쉽도록 친절한 답을 해주었다.

40년 전의 전태일도 평범한 청년이었다. 그가 꿈꿨던 삶도 지극히 상식적인 것이었다.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것이었다. 이 책이 담고 있는 것은 ‘열사 전태일’을 기억하는 걸 넘어, 그 기억을 재해석하는 걸 넘어, 현재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이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진정한 노동 교양서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임승수(지은이)

사회주의 대중화를 꿈꾸는 사람. 빈부 격차가 심한 사회에 태어나다 보니 기왕이면 경제적으로 넉넉한 쪽에 속하기를 원했고 열심히 공부해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에 입학했다. 그렇게 대한민국 입시 제도에 성공적으로 편승해 안온한 삶을 영위하고자 했으나 대학 시절 우연히 읽은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으로 인해 계획에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극단적인 빈부 격차는 개인의 능력 차이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에 대한 구조적 착취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일하는 자는 점점 가난해지고 일하지 않는 자는 부자가 되는 자본주의의 은폐된 착취 시스템에 눈을 뜬 뒤 세계관이 근본적으로 뒤흔들려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반도체 소자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관련 기업에서 5년간 연구원으로 일했지만 결국 직장을 그만두고 불안정한 작가의 삶을 선택했다. 이후 줄곧 글과 강의를 통해 노동자가 주인이 되는 세상, 돈이 아닌 사람이 중심이 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사회주의자는 불순 세력이며 빨갱이라는 시선이 여전한 분단국가 대한민국에서 30년째 사회주의자로 살아오며 겪은 일들을 이 책에 썼다. 각자도생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동체적 가치를 품고 살아가는 삶에 대한 진솔한 고민과 성찰, 일상의 면면을 꾹꾹 눌러 담았다. 지은 책으로는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원숭이도 이해하는 마르크스 철학》, 《와인에 몹시 진심입니다만,》, 《나는 행복한 불량품입니다》, 《삶은 어떻게 책이 되는가》 외 다수가 있다.

손아람(지은이)

대학에서 미학을 공부했고 소설 『소수의견』, 『디 마이너스』, 『진실이 말소된 페이지』 를 썼다. 영화 「소수의견」의 각본으로 제36회 청룡영화상 각본상, 제24회 부일영화상 각본상을 받았다.

조성주(지은이)

칼 세이건을 읽고 천문학자를 꿈꿨다. 희망대로 천문학과에 진학했으나 정작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이 행성의 청년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청년유니온 정책기획팀장, 국회의원 보좌관, 서울특별시 노동전문관, 정치발전소 공동대표 등을 지냈다. 지금은 정의당 정책연구소 미래정치센터의 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알린스키, 변화의 정치학』『대한민국 20대, 절망의 트라이앵글을 넘어』『레알청춘』(공저)『세상을 바꾼 놀라운 정책들』(공저)『너는 나다』(공저)가 있다.

이창현(지은이)

몇 편의 만화에 참여

유희(지은이)

2007 고순냥 2009 에이스 하이 1(그림) 2009 나를 괴롭히는 여자들(그림) 2010 에이스 하이2(그림) 2011 멍탐정 강가딘

하종강(지은이)

성공회대학교 노동아카데미 주임교수 1981년 인천 지역에서 노동상담과 교육 활동을 시작했다. 23년간 한울노동문제연구소 소장을 지낸 뒤 2012년 성공회대학교에 자리를 잡아 노동대학 제8대 학장을 지냈다. 노동 현장과 긴밀한 유대 관계를 잃지 않는 연구와 교육 활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기획)

이 책은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40주기’를 맞아 레디앙, 후마니타스, 삶이보이는창, 철수와영희 출판사가 공동 기획·출판한 책입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레디앙|전태일 열전 : 우리 시대 전태일 / 손아람 = 7
후마니타스|나태일&전태일 / 이창현 글 ; 유희 그림 = 67
삶이 보이는 창|열혈청춘 = 111
 청춘일기 / 조성주
 청춘수다 / 임승수
철수와 영희|선생님, 노동이 뭐예요? : 하종강의 노동 백과 = 169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동원 (2023)
McMahon, Mary (2022)
過労死弁護団全国連絡会議 (2022)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