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범죄피해자론과 형법정책 : 어느 실정법의 안락사

범죄피해자론과 형법정책 : 어느 실정법의 안락사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일수
서명 / 저자사항
범죄피해자론과 형법정책 : 어느 실정법의 안락사 / 김일수
발행사항
서울 :   세창출판사,   2010  
형태사항
vii, 215 p. ; 24 cm
ISBN
9788984113190
서지주기
참고문헌(p. 205-212)과 색인수록
000 00668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617965
005 20101118165552
007 ta
008 101118s2010 ulk b 001c kor
020 ▼a 9788984113190 ▼g 93360
035 ▼a (KERIS)REQ000017249422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82 0 4 ▼a 344.51903288 ▼a 362.88 ▼2 22
085 ▼a 344.5303288 ▼2 DDCK
090 ▼a 344.5303288 ▼b 2010
100 1 ▼a 김일수 ▼0 AUTH(211009)63982
245 1 0 ▼a 범죄피해자론과 형법정책 : ▼b 어느 실정법의 안락사 / ▼d 김일수
260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0
300 ▼a vii, 215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205-212)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4.5303288 2010 등록번호 1116000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4.5303288 2010 등록번호 1116000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일수 교수의 <범죄피해자론과 형법정책>. '교특법의 문제와 현실', '미해결의 문제점들', '규범론적 관점에서 본 근본적인 결함', '형벌목적론적 관점에서 본 근본적인 결함', '새로운 대안의 모색'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때 '법철학의 안락사'를 우려했던 라드브루흐(Radbruch)의 말을 뒤집어, 이 책에서 저자는 한 법률의 안락사를 정면으로 거론하고 싶었다. 전자가 법철학에 대한 소극적 안락사에 관한 우려를 암시한 것이라면, 후자는 한 실정법의 적극적 안락사를 주창한 것이다. 법률에도 생명력이 있다. 그 제정에서 폐기까지 자연적인 천수를 다하자면 때로는 수술실로 들어가 병든 곳을 도려내는 아픔을 거듭해서 감내해야 할 때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그 천수를 기다릴 필요도 없이 적극적인 안락사로 그 종언을 고해야 할 실정법은 바로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이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존폐론은 특히 오늘날 인구에 회자되는 공정사회라는 미래지평과 법률이 어떻게 기능적으로 맞닿아 있으며, 또한 그 법률이 현재의 지평에서 왜 생성, 유지 또는 폐기되어야 할 것인지에 관한 평가와 결정의 준거점을 제시한다.
저자가 이 책에서 초점을 맞춘 것은 이와 같은 사상은 이미 오늘날 형법의 전통사상 내지 전설이 되었다는 점과 그러한 전통사상은 범죄피해자론이라는 새로운 시각에 따라 진보해 나가야만 한다는 점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일수(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제12회 사법고시 합격, 사법연수원 제2기 수료, 변호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수료(법학석사) 독일 M?nchen 대학 수학(법학박사: Dr. jur) 독일 Humboldt Foundation Fellow 미국 Harvard University Law School Visiting Scholar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학장 역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장, 국가경찰위원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중국 무한대학 법학원 겸직교수, 길림대학·요령대학 법학원 객좌교수Zeitschrift f.d. ges. Strafrechtswissenschaft(ZStW) 국제편집자문위원 저서 및 역서 한국형법Ⅰ(총론 상)/Ⅱ(총론 하)/Ⅲ(각론 상)/Ⅳ(각론 하) 새로 쓴 형법총론(제13판)(2008년 중국어 역간; 2019년 일본어 역간) 새로 쓴 형법각론(제9판) 사랑과 희망의 법/개혁과 민주주의/공정사회로 가는 길/ 법·인간·인권/수사체계와 검찰문화의 새 지평/범죄피해자론과 형법정책/ 바람직한 양형조사제도/전환기의 형사정책/형법질서에서 사랑의 의미/ Lebensschutz im Strafrecht(Mithrsg.)/C.Roxin, 형사정책과 형법체계(역서)/ N.Brieskorn, 법철학(역서)/G.Jakobs, 규범·인격·사회(공역)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서론 = 1
Ⅱ 교특법의 문제와 현실 = 12
 1. 문제의 제기 = 12
 2. 교특법 규범창설시 입법자의 의도 = 25
 3. 교통안전을 통한 질서확립보다 이완된 법규범의 등장 = 32
 4. 법과 경제의 관점에서 본 딜레마 = 46
 5. 현상유지론과 그에 대한 반론 = 62
 6. 헌재의 위헌결정과 그 파장 = 68
Ⅲ 미해결의 문제점들 = 76
 1. 전통형법의 잃어버린 고리 = 76
 2. 법감정의 문제 = 83
 3. 피해자학적 관점의 형벌론 = 96
 4. 대화적 소송절차론과 피해자의 공판절차참여권 = 105
Ⅳ 규범론적 관점에서 본 근본적인 결함 = 122
 1. 사회적 갈등해결과 방법 = 122
  (1) 사회적 갈등해결수단의 일부인 형법 = 122
  (2) 사회적 갈등해결의 최후수단인 형법 = 124
  (3) 사회적 갈등해결의 법치국가적 한계 = 126
  (4) 사회적 갈등해소를 위한 형법 = 127
 2. 위험형법론의 도전 = 129
 3. 형법의 임무론에서 본 문제점 = 134
  (1) 논의의 출발 = 134
  (2) 보충적인 법익보호 = 135
  (3) 사회보호 = 136
  (4) 사회윤리적 심정가치의 보호 = 138
  (5) 소결 = 141
  (6) 형법의 임무에서 본 교특법 특례조치의 문제점 = 142
Ⅴ 형벌목적론적 관점에서 본 근본적인 결함 = 147
 1. 형벌목적 개념의 의미와 한계 = 147
 2. 사회화ㆍ자기화 개념의 의미와 기능 = 151
  (1) 전제로서 형법학의 새로운 개념정립 = 151
  (2) 사회화의 의미와 기능 = 154
  (3) 자기화의 의미와 기능 = 157
 3. 사회화의 관점에서 본 일반예방 = 160
 4. 자기화의 관점에서 본 특별예방 = 161
 5. 요약 = 163
 6. 소결 = 164
Ⅵ 새로운 대안의 모색 = 166
 1. 운전기술ㆍ운전문화ㆍ교특법의 상관관계 = 166
 2. 교특법 특례조항의 특혜성 = 170
 3. 개선방안의 검토 = 174
  (1) 논점의 정리 = 174
  (2) 형법정책적 측면에서의 대안 = 178
   (가) 임의적 형의 면제규정 도입 = 178
   (나) 피해원상회복제도의 도입 = 180
   (다) 가해자(범인)-피해자-화해제도의 도입 = 184
  (3) 형사소송법 정책의 측면에서 본 대안 = 187
   (가) 피해자 재판절차 참가제도 = 187
   (나) 형사조정제도 = 191
   (다) 교통범죄의 간편처리절차 제도 = 194
  (4) 형벌집행법정책의 측면에서 본 대안 = 197
Ⅶ 결론 = 199
참고문헌 = 205
찾아보기 = 213

관련분야 신착자료